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3297 | |
005 | 20170828131509 | |
007 | ta | |
008 | 170825s2017 ggkd b 001c kor | |
020 | 1 | ▼a 9788918024639 |
035 | ▼a (KERIS)BIB000014532841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09 | |
082 | 0 4 | ▼a 351.519 ▼2 23 |
085 | ▼a 351.53 ▼2 DDCK | |
090 | ▼a 351.53 ▼b 2017z2 | |
110 | ▼a 한국행정학회 ▼0 AUTH(211009)87094 | |
245 | 1 0 | ▼a 한국행정학 60년 : ▼b 1956~2016 / ▼d 한국행정학회 편 |
246 | 3 | ▼a 한국행정학 육십년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17 | |
300 | ▼a 2책 : ▼b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05 | 0 0 | ▼n 1. ▼t 공공관리와 공공정책 / ▼d 정용득, ▼e 이송호, ▼e 박홍식, ▼e 전영한, ▼e 이선우, ▼e 이정희, ▼e 권경득, ▼e 이원희, ▼e 이혜영, ▼e 김정수, ▼e 은재호, ▼e 이덕로 ▼g (xiii, 468 p.) -- ▼n 2. ▼t 접근방법과 패러다임 / ▼d 정용덕, ▼e 이광석, ▼e 권기석, ▼e 김윤권, ▼e 한승연, ▼e 윤은기, ▼e 김동원, ▼e 오철호, ▼e 김근세, ▼e 박희봉 ▼g (xi, 418 p.)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1117775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511037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111777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5110373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1513469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1513469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1117775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511037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111777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5110373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1 | 등록번호 1513469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51.53 2017z2 2 | 등록번호 1513469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난 60년간 한국 행정학 연구의 흐름과 내용, 방법론, 성과 등을 세부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고 있다. 서양이론을 소개하고 적용하던 초기의 연구에서부터 한국 행정현상을 자기기반적 관점에서 서술.설명.비판하고 한국행정이론을 탐구해나가는 응용학문분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발전해온 모습을 담았다.
머리말
한국 행정학 연구는 한국행정학회와 역사적 발걸음을 같이 해 왔습니다. 2016년은 한국행정학회 창립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 뜻깊은 해에 그간에 축적된 한국 행정학의 연구 내용과 성과를 집대성하고 분석하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의미 있는 연구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이 사업을 위해 학회는 2016년 초에 두 개의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하나는 ‘60주년기념사업위원회’로서, 과거 60년간의 학문적 역정과 성과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일을 추진했습니다. 다른 하나는 ‘미래특별위원회’로서, 행정학 교육과 연구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에 대비하는 일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한국행정학 60년, 1956~ 2106」은 바로 60주년기념사업위원회의 소산이며 역작입니다.
이 책은 지난 60년간 한국 행정학 연구의 흐름과 내용, 방법론, 성과 등을 세부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고 있습니다. 서양이론을 소개하고 적용하던 초기의 연구에서부터 한국 행정현상을 자기기반적 관점에서 서술.설명.비판하고 한국행정이론을 탐구해나가는 응용학문분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발전해온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그간의 학문적 발전과 성숙을 반영하듯, 이번 「한국행정학 60년, 1956~ 2106」은 이전에 간헐적으로 출간된 저서들에 비해 보다 세부 영역으로 분화되고 분량도 늘었습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권경득(지은이)
미국University of Akron, Ph.D.(행정학 전공) 행정고시 출제위원 및 면접시험위원 공무원 채용시험선진화추진위원회 위원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 한국공공행정학회 회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부회장, 한국행정학회 상임이사, 한국정책과학학회 편집위원장 선문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장, 인문사회대학장, 행정대학원장, 입학홍보처장 역임 현, 선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창현(지은이)
뉴욕주립대학교 행정 및 정책학 박사 현 금강대학교 공공정책학부 초빙교수 전 한반도선진화재단 조사센터 소장 •한국조직학회 회장 •관동대 행정학과 교수 •뉴욕주립대 록펠러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RPI 테크노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 경찰대학 교환교수 •파고다 외국어학원 TOEIC 강사 역임 SPSS, UCINET 활용 조사방법론(2011),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Made Simple for TOEIC(2016), 국력이란 무엇인가(2015),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2012), 복잡계로 바라본 조직관리(2005) 등 4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고, 논문 40여 편이 있다.
정용덕(지은이)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행정학을 공부했다. 성균관대 및 서울대 교수, 영국 런던정경대(LSE) 연구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FU) 객원교수, 그리고 현재는 서울대 명예교수 겸 금강대 석좌교수로 있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원장으로 봉사했다. 「현대 국가의 행정학」 (2001/2014), 「한일 국가기구 비교연구」 (2002), 「공공갈등과 정책조정리더십」 (편저, 2011),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at the Crossroad (편저, 1994),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United State and Korea (편저, 2009), The Korean State,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2014) 등의 책이 있다.
이원희(지은이)
한경대학교 총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동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박사를 취득했다. 국회입법조사분석실 재정담당 연구관, 한경대 행정학과 교수, 조세재정연구원 공공기관 연구센터 소장. 한국정부회계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지방공기업평가단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경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며, 공공기관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열린 행정학, 나라살림 이야기』 등이 있다.
김정수(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 Yale University, Ph.D in Political Science 현재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주요 저서: 『문화행정론: 이론적 기반과 정책적 과제』, 『21세기를 위한 문화와 문화정책』, 『미국 통상정책의 정치경제학』 외 온라인 강의: K-MOOC ‘정책학개론’, YouTube ‘정책학개론’ 블로그: http://blog.naver.com/lovejesus153
은재호(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Universite Paris 10-Nanterre))에서 정치사회학을 전공했다(석사). 이후 고등사범학교(ENS-Cachan)에서 정치학(정책학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무총리 산하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하면서 튀니지 총리실 정부혁신 자문관(파견)과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지원국장(파견) 등을 역임했다. 또한 프랑스 파리 1대학(Universite Paris 1 Pantheon-Sorbonne) 방문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겸직교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객원교수 등으로 활동하며 아카데미즘과 정책 현장을 이어주는 정책중개자(policy mediator)의 임무를 다하고 있다. 특히 평화학과 숙의민주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대한민국 국민에게 길을 묻다, 2014 국민대토론회’를 시작으로 ‘신고리 원전 공론화’ 등 중앙과 지방의 다양한 공론화 현장에서 참여와 숙의를 통한 합의형성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갈등관리와 사회통합, 거버넌스와 리더십, 공적개발원조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 Sida et action publique(2009), 국가 거버넌스 연구(공저, 2010), 공정사회와 갈등관리(공저, 2016), 한국 행정학 60년(공저, 2017), 대한민국 공무원 그들은 누구인가(공저, 2019) 등이 있다.
김동원(지은이)
미국 버지니아테크대(Virginia Tech)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북대를 거쳐 현재 인천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 관심분야는 미래의 관리, 행정의 헌법적 이슈, 기후변화공적개발(ODA) 등이며, 최근 논문으로는 “Finding a Model of Judicial Review for Administration: Implications from the Chevron Case for Separation of Powers in South Korea” (2016), “A Study on an Authority Distribution Model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rime Minister in Korea” (2014), “Court as a Policy Facilitator: Comparing Republic of Korea and the US in Dealing with Climate Change Crisis” (2016) 등이 있다.
양재진(지은이)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복지국가와 관료제이론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을 역임하고, 사회보장위원회 평가전문위원회 위원장과 연세대 복지국가연구센터 소장 등을 맡고 있다. 2017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판부에서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mall Welfare State in South Korea(작은 복지국가 한국의 정치경제학)》를 출간하고, 이 책으로 한국정치학회 인재저술상을 받았다.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교수상을 다섯 차례 수상했으며, 2013년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2019년 아시아행정학회 아키라 나카무라 최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편저로 2020년 영국 에드워드 엘가 출판사에서 출간된 《The Small Welfare State: Rethinking Welfare in the US, Japan, and South Korea(작은 복지국가: 미국, 일본, 한국의 복지를 다시 생각하다)》가 있다. 공저로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 《복지국가의 조세와 정치》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 과정》 《사회정책의 제3의 길》 등이 있다.
김윤권(지은이)
서울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중국 국무원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 시각의 적용을 중심으로”)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제도론, 조직론, 인적자원관리론, 중국행정·정책 등이다. 저서로는 「글로벌 리더 국가의 빛과 그림자」 (편저, 2013), 「중국의 행정과 공공정책」 (편저, 2008) 등이 있으며, 논문은 “정부3.0의 이론적 연구” (2016), “정부 조직개편의 로직과 기능별 개편전략” (2013) 등이 있다.
조선일(지은이)
서울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순천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조직, 인사, 관료제 등이며, 한국조직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인사행정학회 편집위원장, 한국거버넌스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인사행정론」 (공저, 2016), 「실패한 정책들-정책학습의 관점에서」 (공저, 2015), 「대한민국 정부를 바꿔라」 (공저, 2015), 「새행정학2.0」 (공저, 2014), 「공직사회의 낭중지추를 찾아서」 (공저, 2013), 「미국의 행정과 공공정책」 (공저, 2009), 「한국행정60년」 (공저, 2008) 등이 있다.
서진완(지은이)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 저자는 행정과 정부, 전자정부 분야의 전문가로서 학문적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온 활동 이외에도, 대학 내에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파격적인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5년 연속 최우수 강의교수로 선정된 바 있다. 검색사이트에서 그의 이름을 쳐보면, 강의와 저술 활동 이외의 연관검색어 하나가 눈에 띌 것이다. 가족과의 여행이 바로 그것이다. '아빠와 아들의 성장여행' 산티아고 여행기(길 위의 공부, 2011)에서는 커가면서 부모와 점점 멀어지는 사춘기 아들과의 소통에 대해 고민하고 해답을 찾아보려고 했던 그다. 서진완 교수의 풍부한 지식과 학생들과의 특별한 소통방식은 그가 했던 다양한 여행 경험에 기인한 바가 크다.
박희봉(지은이)
1960년생.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Temple University 정치학 박사(학위논문: CitizenParticipation,Satisfaction,and Government Responsiveness in the Process of Local Autonomy of Korea,1994).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및 행정대학원장. 한국정책과학학회장, 한국공공관리학회장,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역임. 사회자본,신뢰,정부신뢰 등이 핵심저술분야.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2002),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2002), “조직내 사회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2002), “인터넷활용과 사회자본”(2003), “한국정부 신뢰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2003).“사회자본과정치참여”(2005),“시민참여와 로컬거버넌스”(2006),”한국과 일본의 신뢰특성 비교”(2009),“신뢰와 국가경쟁력”(2011),“정부신뢰의 본질”(2018) 등을 포함 148편의 논문 학회지 등재. 2015년 신동아 4월호 ”논문인용지수로 본 한국교수들의 실력“에서 행정학 분야 연구성과 1위 교수로 선정. 대표 저서로 「사회자본:불신에서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2009), 「좋은정부,나쁜정부: 철인정치에서 사회자본론까지,철학자가 말하는 열가지 정부이야기」(2013), 「교과서가 말하지않는 임진왜란 이야기」(2014), 「5800진주성결사대이야기」(2019) 등
신희영(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부학, 사회복지행정, 사회과학방법론 등이다(shinhy@gu.ac.kr).
이광석(지은이)
영국 뉴캐슬대(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로 근무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정책, 국제행정, 다문화행정 등이며, 최근 논문으로는 “프레임의 명명과 전환 및 검증에 관한 연구: 영국 스코틀란드의 지방자치와 독립 논의를 중심으로” (2016), “치매특별등급 제도운영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016), “행정학에서 과학주의와 인문학주의의 대립과 대립 넘어서기에 관한 연구” (2016) 등이 있고, 최근 저서로는 「복지언어론: 복지정책학의 과학철학과 인문학주의의 융합」 (2016), 「정책으로서의 행정언어: 국어정책론」 (2016), 「소통학: 학문, 문화, 응용」 (공저, 2016), 「발전행정시대의 정부와 사회: 새마을 운동을 중심으로」 (공저, 2016) 등이 있다.
이선우(지은이)
미국 시라큐스대(Syracuse University)에서 정책학 박사학위(“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High Performance Management”)를 취득하고, 한국방송통신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원격교육연구소 소장, 산학협력단 단장, 기획처 처장 등의 교내 활동경력이 있다.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한국갈등학회 회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정부인사혁신추진위원회 위원, 지방인사혁신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인적자원관리, 조직 및 행정관리, 갈등관리 등이다. 인적자원관리론, 협상조정론 등의 저서와 “The Impacts of the PATCO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명석(지은이)
미국 인디애나대(Indiana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균관대 국정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정전문대학원 원장, 한국행정학회 총무위원장,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장과 편집위원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편집위원장 등으로 봉사했다. 주요 관심분야는 거버넌스이론, 제도주의, 공공선택론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휴먼서비스 관점에서 본 고령화정책 프레임,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2012), “대안적 사회조정양식으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홍도 유람선 좌초사고 민간자율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2015), “거버넌스: 신드롬 또는 새로운 행정학 이론?” (2016) 등이 있다.
김근세(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행정학과 교수(현) 미국 Syracus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사
이덕로(지은이)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정치학사) 서강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석사) Florida State University(Ph.D.) 한국국방연구원 기획관리연구실장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공공정책대학원장 한국국정관리학회장 입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위원 7·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위원 서울시·국방부 공무원 채용 및 승진시험위원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전문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평가위원·지방공기업평가위원·정책과제평가위원, 외교부 정책자문위원·공적심사위원,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 해양수산부 중앙수산자원관리위원, 농림축산식품부 규제심사위원, 국방부 기관평가위원 현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 세종대학교 국정관리연구소장 한국행정학회장(제58대)
박흥식(지은이)
미국 남가주대(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Toward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Whistleblowing and Ethical Culture, 1996)를 취득하고, 대전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과학대학장, 입학처장 등의 교내 활동경력이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행정윤리, 행정이론, 행정철학 등이며, “윤리적 내비보고제(whistleblowing)의 조건” (1998), “국가배상 및 공무원 개인의 배상책임(liability)제도의 개선을 위한 행정이념적 고찰” (2000), “행정윤리 접근법의 모색: 이기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2003), “공직자 이해충돌 행위의 개선을 위한 연구” (2008) 등의 행정책임 관련 논문을 게재하였다.
이송호(지은이)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국립경찰대 행정학과 교수(현) 국립경찰대 치안대학원장 한국협상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국제협력위원장 한국경찰학회 연구위원장 서울행정학회 부회장 대통령인수위원회 자문위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행정개혁전문위원 행자부 국가기반체계보호 정책자문위원장 [ 저서 및 논문 ] 대통령과 보좌관 (2002, 박영사, 문광부 우수도서) 관계장관회의 (2008, 대영문화사) 정책조정론 (2019, 박영사, 한국연구재단 지원도서) 연해주와 고려인 (2003, 공저, 백산서당) 비교정책연구에 있어서 전통적 방법론의 재검토 주요국 중장기 정책싱크탱크에 관한 연구 지자체의 문화행정체제에 관한 연구 지자체 환경행정기관의 조직화 원칙과 그 응용 공자의 예치질서관에 관한 연구 한비자의 법치질서관에 관한 연구 홉스의 계약질서관에 관한 연구 등 다수.
이정희(지은이)
미국 아메리칸대(American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시립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정부회계학회 총무이사, 한국재무행정학회 설립준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재정규율 및 재정건전성을 위한 예산관리, 재정통계 및 정부회계, 중소기업정책 등 산업정책이다. 「국제행정론」 (공저, 2013), 「재정규율과 재정책임의 이론과 실제」 (공저, 2011)의 저서가 있다.
이혜영(지은이)
서울대에서 “한국의 금융부문 규제개혁에 관한 연구: 재규제의 관점에서” (2004)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광운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규제정책, 위험규제, 정책이론, 성과관리 등이며, 주요 연구로는 “위험규제거버넌스에 관한 시론적 연구” (2014), “경제적 규제 도입과정에서 공익 논의에 관한 연구” (2016), “Challenges of Public Sector BSCs: A Focus on its Causal Relationships” (공저, 2010) 등이 있다.
전영한(지은이)
전영한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및 행정대학원 졸업 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조지아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강사로, 중앙대학교 및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연구 및 교육 관심 분야는 공공조직의 관리 및 설계, 조직정책 등이다.
권기석(지은이)
영국의 서섹스(University of Sussex) 대학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밭대학교 공공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위원장(2015년도, 2016년도_을 역임하였으며, 현재(2017년, 2018년) 편집위원장을 역임 중이다.
김호정(지은이)
부산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직무특성이 관료행태에 미치는 영향”, 1988)를 취득하고, 현재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내에서는 행정대학원장을, 학회에서는 한국조직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관료행태론과 행정조직론 분야에서 한국행정학보에 10여 편의 단독 논문을 게재하는 등 관련 학회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주요 논문들을 정리하여 「행정조직과 관료행태」 (2012)로 출간하였다. 그 외 「사회과학통계분석」 (제4판 2013)과 「행정통계학」 (제3판 2011)을 발간하였다.
배병룡(지은이)
고려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중간조직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 농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 1992)를 취득하고 현재 경상대 행정학과 교수로 있다. 미국 미시간대 객원 교수를 역임(2000)하였으며, 최근 주요 연구로는 「제도와 행위」 (편저, 2016)와 논문 “행정 현상 연구를 위한 해석적 방법론”(2016)이 있다.
오철호(지은이)
숭실대학교 행정학부 교수 정부혁신컨설팅단, 단장 (전)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실무위원장 (전) 정부3.0추진위원회 변화관리위원장 (전) 한국정책학회·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전) 알칸소주립대학교 교수 University of Illinois-Urbana 정책학 박사
윤은기(지은이)
토론토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에서 정치학학사(B.A)를 취득하고,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에서 정치학 박사과정을 거쳐, 버밍엄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에서 정치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책학, 행정문화와 이론, 부패, 비교발전행정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Administrative System and Culture in East Asia, Europe, and USA: A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 through the Mutual Mixture of Cultures”(SSCI), “A Structuration Theory for the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ve Culture in South Korea with the Comparative Method of Huge Comparison”(Scope), “A Comparative Analysis of Corruption in Canada and South Korea: Focusing the Effect of Corruption on Social Development and Social Capital”(SSCI) 등이 있고, 한국행정학보 및 한국정책학회보를 비롯한 주요 학회보에 다수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학회활동으로는 한국지방정부학회 회장, 한국부패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주요한 정부위원회 활동으로는 감사연구원과 통일연구원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및 대통령 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실무위원을 역임했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과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및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승연(지은이)
·약 력·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행정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중앙일보 조사기자 역임 현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주요저서· 「한국 行政指導 연구」(박사학위 논문 출판) (공저) 「정책수단론」(2014년 세종도서 선정) (공저) 「한국행정학 60년, 1956∼2016: 제2권 접근방법과 패러다임」(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주요논문· 「행정 관료의 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 관료 임용시험제도를 중심으로」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일제시대 근대 ‘국가’ 개념 형성과정 연구」 「조선총독부 관료제 연구: 비상통치기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문화정치기’ 조선총독부 관료제 연구: 행정의 ‘능률 증진’을 중심으로」 「갑오개혁 전후 의정부와 6조 당상관 인사이동 비교 연구」 「행정개혁기구의 성공 조건: 통리기무아문과 그 후속기구의 인사행정을 중심으로」 외 다수
한국행정학회(엮은이)
<Selected Readings In Public Administration 2>

목차
[1권: 공공관리와 공공정책] 제1장 서 론 정용덕 제1편 정치적 환경, 행정책임, 행정개혁 제2장 정치적 환경 이송호 제3장 행정책임 박흥식 제4장 행정개혁 조선일 제2편 공공관리 제5장 행정조직 전영한 제6장 인사행정 이선우 제7장 재무행정 이정희 제8장 정 보 화 서진완 제9장 지방행정 권경득 제10장 공공기관 이원희 제3편 공공정책 제11장 경제정책 이혜영 제12장 복지정책 양재진 제13장 교육·문화정책 김정수 제14장 사회정책 은재호 제15장 대외정책 이덕로 [2권: 접근방법과 패러다임] 제1장 서 론 정용덕 제1편 행정학 접근방법 제2장 실증주의 김호정 제3장 주관주의 이광석·권기석 제4장 규범이론 신희영 제5장 비교연구 김윤권 제6장 행 정 사 한승연 제7장 행정문화 윤은기 제2편 행정학 패러다임 제8장 관 리 론 김동원 제9장 체계이론 최창현 제10장 공공정책론 오철호 제11장 공공선택론 이명석 제12장 국 가 론 김근세 제13장 제도주의 배병룡 제14장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박희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