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1929 | |
005 | 20170817124308 | |
007 | ta | |
008 | 170814s2017 ulk b AU 001c kor | |
020 | ▼a 9791159012082 ▼g 93750 | |
035 | ▼a (KERIS)BIB000014562923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82 | 0 4 | ▼a 418.02 ▼2 23 |
085 | ▼a 418.02 ▼2 DDCK | |
090 | ▼a 418.02 ▼b 2017z2 | |
100 | 1 | ▼a 안미현 ▼0 AUTH(211009)85415 |
245 | 1 0 | ▼a 경계 횡단으로서의 번역 = ▼x Translation as border-crossing / ▼d 안미현 |
260 | ▼a 서울 : ▼b HU:iNE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c 2017 | |
300 | ▼a 40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61-392)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8.02 2017z2 | 등록번호 11177719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8-2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에서는 번역이 텍스트 연구나 분석, 문화 연구나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방법임을 상정하고, 모든 가치가 원전으로만 귀속되는 자기 폐쇄적인 환원주의를 벗어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적인 기제이자 유의미한 분석 도구임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번역이 문화적, 학문적 제도와 규범에 어떻게 대응하며, 시기마다 그것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어떤 학문 영역이나 문화의 영역도 자체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부단한 번역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고, 지식 형성이나 문화의 유통 과정 또한 번역 행위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때 번역은 비어있고 닫힌 공간에서 일어나는 고립된 행위가 아니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각종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규범, 가치 범주들 사이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적이고 상호교환적인 행위이다. 그렇다면 번역에 관한 연구는 번역을 둘러싼 외부 요인들의 작동 방식을 분석하고, 번역이 그것에 어떻게 대응하고, 저항하고, 변화시켜 왔는지를 밝혀내야 한다.
이 책에서는 번역이 텍스트 연구나 분석, 문화 연구나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방법임을 상정하고, 모든 가치가 원전으로만 귀속되는 자기 폐쇄적인 환원주의를 벗어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적인 기제이자 유의미한 분석 도구임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번역이 문화적, 학문적 제도와 규범에 어떻게 대응하며, 시기마다 그것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미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일어, 영어, 교육학을, 동 대학원에서 독일문학을 전공하고,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과 독일 계몽주의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목포대학교 독일언어문화학과/문화콘텐츠학과에 재직 중이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독문과에서 방문교수로 연구했다. 독일 문학과 문화, 번역학 이외에도 수사학, 젠더연구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해 왔다. 저서로 《레싱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 구조적 관련성》(독문), 《경계횡단으로서의 번역》, 역서로 게르트 위딩의 《수사학의 재탄생》 외 다수가 있으며, W. G.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로 제6회 시몬느번역상(제13회 한독번역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서문 _ 5 Chapter 1 이론적 토대 _ 17 Chapter 2 독일 계몽주의 시대의 번역문학 논쟁 _ 33 Chapter 3 근대 독일의 여성번역가 _ 61 Chapter 4 괴테와 번역 _ 73 Chapter 5 낭만주의에서의 언어, 번역, 해석 _ 99 Chapter 6 번역과 젠더 _ 123 Chapter 7 제국주의와 번역 _ 149 Chapter 8 시적 창작 과정으로서의 번역 _ 173 Chapter 9 게오르게의 『악의 꽃』과 벤야민의 『악의 꽃』 _ 203 Chapter 10 망명과 번역 _ 231 Chapter 11 번역과 디아스포라 _ 255 Chapter 12 번역비평1 _ 281 Chapter 13 번역비평2 _ 317 Chapter 14 번역교육과 외국어교육 _ 333 참고문헌 _ 359 찾아보기 _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