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성혁 朴性爀, 1961-, 저 김자영 金姿榮, 저 배화순 裵花順, 저 이수진 李秀眞, 저
서명 / 저자사항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 / 박성혁 [외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16  
형태사항
xiv, 249 p. ; 23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416
ISBN
9788930317542 9788930315005 (세트)
일반주기
부록: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2차), 시민의식 설문지  
공저자: 김자영, 배화순, 이수진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09-21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1348
005 20170728152110
007 ta
008 170728s2016 ggk b 000c kor
020 ▼a 9788930317542 ▼g 94300
020 1 ▼a 9788930315005 (세트)
035 ▼a (KERIS)BIB000014445825
040 ▼a 011001 ▼c 011001 ▼d 249002 ▼d 211009
082 0 4 ▼a 342.519083 ▼2 23
085 ▼a 342.53083 ▼2 DDCK
090 ▼a 342.53083 ▼b 2016
245 0 0 ▼a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 : ▼b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 / ▼d 박성혁 [외
260 ▼a 파주 : ▼b 집문당, ▼c 2016
300 ▼a xiv, 249 p. ; ▼c 23 cm
440 0 0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416
500 ▼a 부록: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2차), 시민의식 설문지
500 ▼a 공저자: 김자영, 배화순, 이수진
504 ▼a 참고문헌: p. 209-212
700 1 ▼a 박성혁 ▼g 朴性爀, ▼d 1961-, ▼e▼0 AUTH(211009)25282
700 1 ▼a 김자영 ▼g 金姿榮, ▼e▼0 AUTH(211009)24085
700 1 ▼a 배화순 ▼g 裵花順, ▼e
700 1 ▼a 이수진 ▼g 李秀眞, ▼e▼0 AUTH(211009)139375
900 1 0 ▼a Park, Sung-hyeok, ▼e
900 1 0 ▼a Kim, Ja-young, ▼e
900 1 0 ▼a Bae, Hwa-soon, ▼e
900 1 0 ▼a Lee, Su-ji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3 2016 등록번호 1117759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083 2016 등록번호 15133630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9-06-1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3 2016 등록번호 1117759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083 2016 등록번호 15133630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9-06-1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16집. 우리나라의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들의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를 분석하고, 현행 법률과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탐구하기 위하여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과정에서 고민을 경험한 해외 주요국의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과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제도에는 어떤 내용과 형태가 담겨야 하는지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성혁(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한국사회과교육학회 부회장과 한국법교육학회 학회장, 교육부교육과정 심의위원, 재단법인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 운동 국민재단 이사로 활동하면서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어요.

김자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및 동대학원(교육학박사) 한국법교육센터 연구원 한국법교육학회 이사 현)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배화순(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석사 졸업 현재 서울 개웅중학교 교사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박사과정

이수진(지은이)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석사 졸업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박사과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I.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 

II. 다문화 관련 법제의 이해 
1. 우리나라 다문화 관련 법제의 이해 
1) 헌법과 국제법 분석 
2) 국적법 및 출입국관리법 분석 
3) 교육 관련법 분석 
4) 노동법 및 사회보장 관련법 분석 
5) 다문화 관련 법제 현황 분석 
2. 해외 다문화 관련 법제의 이해 
1) 캐나다의 다문화 관련 법제 
2) 독일의 다문화 관련 법제 
3) 호주의 다문화 관련 법제 

III. 사회통합형 다문화 법제에 대한 인식 조사 
1. 전문가 델파이 조사 
1) 조사 개요 
2) 1차 조사 결과 
3) 2차 조사 결과 
2. 시민의식 조사 결과 
1) 조사 개요 
2) 응답자 특성 
3) 다문화 관련 법률 및 정책에 대한 인식 
4) 다문화구성원별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5) 다문화구성원 지원 여부 숙지 정도 
3. 조사 결과 논의 
1) 전문가 델파이 조사 
2) 시민의식 조사 

IV. 다문화 관련 법제의 개선 방안 
1. 현행 다문화 관련 법제의 문제점 
2. 외국 다문화 관련 법제의 특징 
1) 캐나다 
2) 독일 
3) 호주 
3. 다문화 관련 법제의 개선방안 제안 

V. 결 론 
1. 요약 
2. 제언 

참고문헌 

부 록 
1.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1차) 
2.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2차) 
3. 시민의식 설문지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