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매핑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정 매핑의 이론과 실제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le, Janet A. 강현석, 역 김영은, 역 오승욱, 역 전호재, 역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매핑의 이론과 실제 / Janet A. Hale 지음 ; 강현석 [외]옮김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7  
형태사항
367 p. ; 26 cm
원표제
A guide to curriculum mapping : planning, implementing, and sustaining the process
ISBN
9788925411811
일반주기
공역자: 김영은, 오승욱, 전호재  
서지주기
참고문헌(p. 362-365)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urriculum planning Teacher participation in curriculum planning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10420
005 20170717144256
007 ta
008 170714s2017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1181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1 ▼2 23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17
100 1 ▼a Hale, Janet A. ▼0 AUTH(211009)86713
245 1 0 ▼a 교육과정 매핑의 이론과 실제 / ▼d Janet A. Hale 지음 ; ▼e 강현석 [외]옮김
246 1 9 ▼a A guide to curriculum mapping : ▼b planning, implementing, and sustaining the process
246 3 9 ▼a Guide to curriculum mapping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7
300 ▼a 367 p. ; ▼c 26 cm
500 ▼a 공역자: 김영은, 오승욱, 전호재
504 ▼a 참고문헌(p. 362-365)과 색인수록
650 0 ▼a Curriculum planning
650 0 ▼a Teacher participation in curriculum planning
700 1 ▼a 강현석, ▼e▼0 AUTH(211009)94962
700 1 ▼a 김영은, ▼e▼0 AUTH(211009)11195
700 1 ▼a 오승욱, ▼e▼0 AUTH(211009)27988
700 1 ▼a 전호재, ▼e▼0 AUTH(211009)11877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17 등록번호 1117760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에 주목한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여기에 부합하는 수업의 실천, 그리고 수업의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간의 일관성에 초점을 두면서 매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우리는 엄정한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매핑 작업은 교사들 간의 협력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교사의 학습 공동체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역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학생의 진정한 학습에 최우선적인 관심을 가진다. 학생을 위해서 가르쳐야 할 것과 실제 수업에서 제대로 가르침으로써 학생의 온전한 학습을 최대한 보장한다. 교사의 입장이 아닌 학생의 입장에서 제대로 교육과정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백워드 설계, 과정중심 수행 평가와도 긴밀하게 관련성이 높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에 주목한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여기에 부합하는 수업의 실천, 그리고 수업의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 간의 일관성(alignment)에 초점을 두면서 매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우리는 엄정한 교육과정(rigorous curriculum)이라고 부른다.
매핑 작업은 교사들 간의 협력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교사의 학습 공동체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매핑 작업은 교사 혼자만이 하는 외로운 작업이 아니다. 동 교과, 동 학년, 동 관심사의 교사들과 토의하고 협력하여 이루어내는 과정이자 산물이다. 이런 점에서 매핑은 협력학습 전문성을 촉진시킨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8 
서문(Foreword) 12 
저자 서문(Preface) 15 
감사의 글 19 
출판사에서 드리는 감사의 말 22 
저자 소개 24 

1장 우리는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만날 필요가 있는가? 25 
다르게 생각하기: 계획된 교육과정 대 실행중인 교육과정 25 
다르게 행동하기: 검증 대 추측 28 
다르게 만나기: 동료 간의 협력적 포럼 31 
결론 34 
검토 문제 34 

2장 교육과정 지도의 네 가지 유형은 무엇인가? 37 
교육과정 지도의 네 가지 유형 38 
교육과정 지도 요소: 개요 46 
결론 51 
검토 문제 51 

3장 교육과정 지도를 개발하기 전에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 53 
첫 번째 고려사항: 교육과정 설계에 관해 개인적협력적 이해를 탐색하기 54 
두 번째 고려사항: 매핑 검토과정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60 
세 번째 고려사항: 당신의 학습 조직에 맞는 매핑 순서 63 
결론 68 
검토 문제 69 

4장 교육과정 지도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71 
교육과정 지도 연계 및 요소 71 
요소 작성 74 
결론 136 
검토 문제 137 

5장 일기지도와 계획지도를 작성하기 전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149 
깊이 생각해야 할 점 149 
실행 시 고려사항 154 
결론 160 
계획지도와 일기지도의 사례 161 
검토 문제 168 

6장 합의지도와 필수지도를 만들기 전에 우리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185 
지도 유형 구별 185 
발전적 고려사항 198 
결론 202 
합의지도와 필수지도의 예시 203 
검토 문제 207 

7장 우리가 만든 교육과정 지도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209 
데이터 기반 검토 수행하기 209 
교육과정 탐구하기 218 
결론 230 
검토 문제 230 

8장 교육과정 지도를 정련할 때 어떤 정보가 더 필요한가? 233 
추가 데이터 233 
본질적 질문과 보조적 질문 240 
결론 249 
검토 문제 250 

9장 교육과정 성취기준 해석은 교육과정 설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53 
기준과 교육과정 254 
기준 분석하기 256 
핵심 기준 결정하기 266 
7단계 검토 초점: 핵심 기준 결정하기 268 
결론 273 
검토 문제 273 

10장 공학 기술과 관련하여 우리는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275 
상용 온라인 매핑 시스템 276 
매핑 시스템의 고려 사항 279 
결론 289 
검토 문제 289 

11장 실행을 계획할 때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가? 291 
체계적인 변화와 교육과정 매핑 292 
기술(skills) 306 
자원 313 
보상 316 
실행계획 319 
결론 322 
검토 과제 323 

12장 우리는 길을 가다가 어떤 종류의 장애물이나 장벽을 접하게 되는가? 325 
실천가로부터 실질적인 조언 326 

용어해설 353 
교육과정 매핑 353 
지도의 종류 353 
지도 요소 354 
연계(정렬) 356 
일곱 단계의 검토 과정 357 
공통적인 검토 초점 359 
교육과정 매핑 내부 조직 359 
기타 용어 360 

참고문헌 362 
찾아보기 36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