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10200 | |
005 | 20170713143949 | |
007 | ta | |
008 | 170712s2017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9300417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4534090 | |
040 | ▼a 221002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7z2 | |
245 | 0 0 | ▼a 교육과정 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 ▼b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통합하기 / ▼d 성열관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17 | |
300 | ▼a 19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진수, 양도길, 엄태현, 김선명, 김성수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성열관, ▼e 저 ▼0 AUTH(211009)53066 |
700 | 1 | ▼a 김진수, ▼e 저 |
700 | 1 | ▼a 양도길, ▼e 저 |
700 | 1 | ▼a 엄태현, ▼e 저 |
700 | 1 | ▼a 김선명, ▼e 저 |
700 | 1 | ▼a 김성수,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17z2 | 등록번호 1117758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론의 소개나 주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제로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참여와 성장과정을 지켜본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는 아이디어’는 연구진이 도출한 핵심 전략이다. 이 책에서 제안한 전략들은 모든 학교의 모든 교사들이 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그리고 수행평가를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에 학생의 부담은 물론 교사의 평가 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지식과 삶을 통합시킨 교육과정,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는 아이디어를 실현하다!
이 책은 이론의 소개나 주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제로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참여와 성장과정을 지켜본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는 아이디어’는 연구진이 도출한 핵심 전략이다.
이 책에서 제안한 전략들은 모든 학교의 모든 교사들이 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그리고 수행평가를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에 학생의 부담은 물론 교사의 평가 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 책은 또 혁신학교나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축하는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자유학기제는 많은 측면에서 혁신학교를 모델로 삼았으며, 그 결과 이 두 정책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에서 공통점이 많다.
혁신학교는 아래로부터의 자발적 혁신 모델이며 자유학기제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학교혁신 모델이다.
이 두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만나면 ‘줄탁동시’가 될 수 있으며,
우리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은 이러한 노력에 효과적인 촉매가 될 것이다.
그동안의 임상적 경험으로 볼 때, 수업혁신, 평가혁신, 교사학습공동체 구축 등 학교혁신 과제 수행에서
이 책이 제시한 통합교육과정 운영 방식은 매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_서문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성열관(지은이)
경희대학교 교수이며,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Curriculum & Instruction)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공저), 『국가와 공적 지식(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 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가 있다. 최근에는 여러 국제 학자들과 함께 『강한 국가와 교육과정 개혁(The Strong State and Curriculum Reform)』과 『국제 성취도평가 제도에 대한 관심을 이해하기(Understanding PISA’s Attractiveness)』 집필에 참여했다. 2008년 세계인명사전 『마르키스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고, 2011년과 2017년에 한국교육학회에서 수여하는 운주논문상을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혁, 평가 혁신 등 한국교육의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국제적으로는 ≪Curriculum Inquiry≫, ≪Comparative Education≫, ≪International Social Work≫ ≪Oxford Review of Education≫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실었다.
김선명(지은이)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와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였고 공주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지역사와 근대현대사에 관심이 많다. 충남역사교사모임과 천안아산역사교사모임 회장을 지냈으며 2014년 현재 아산전자기계고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
김진수(지은이)
내포중학교 교사
양도길(지은이)
홍동중학교 교사
엄태현(지은이)
공주고등학교 교사
김성수(지은이)
대화고등학교 교사

목차
서문 7 1장 통합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13 1. 통합교육과정의 개념과 중요성 15 2. 통합교육과정이 왜 필요한가? 19 3. 이 시점에 왜 통합교육과정인가? 23 2장 통합교육과정의 유형과 특징 27 1. 통합교육과정의 기본 3유형 29 2. 교과 간 통합과 교과 내 통합 35 3. 교육 성취의 통합 43 3장 통합교육과정 운영 원리 47 1.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의구심 49 2. 물음으로 살펴보는 통합교육과정의 통합 활동 원리 51 4장 통합교육과정 활동 전략 65 1. 통합교육과정의 활동 원칙 67 2.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방법 71 5장 다과목 통합교육과정 운영 실제 85 1. ‘다과목 통합교육과정’ 87 2. 다과목 통합교육과정의 주제 선정 89 3. 교육과정 통합 활동 선정 93 4. 교육과정 통합 활동 템플릿 작성 95 5. 교육과정 통합 활동 계획서 작성 98 6. 과목별 학습 내용 재구성(학습 자료 제작 등) 101 7. 활동 실시와 교과별 과목 평가(Subject Assessment) 105 6장 2~3과목 통합교육과정 운영 실제 107 1. ‘2~3과목’ 통합교육 과정의 특징 109 2. 2~3과목 통합교육과정의 주제 선정 111 3. 교육과정 통합 활동 선정의 예 115 4. 교육과정 통합 활동 템플릿 작성 116 5. 교육과정 통합 활동 계획서 작성 118 6. 과목별 학습 내용 재구성(학습 자료 제작 등) 120 7. 활동 실시와 교과별 과목 평가 125 7장 홍동중학교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129 1. 홍동중학교 통합교육과정 운영 개요 131 2. 홍동중학교 통합교육과정 실제 운영 사례 134 8장 신능중학교 통합교육과정 운영 사례 147 1. 통합교육과정 운영을 하게 된 배경 149 2. 통합교육과정 운영 실제 151 참고문헌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