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8423 | |
005 | 20170620160744 | |
007 | ta | |
008 | 170620s2017 ulka 000c kor | |
020 | ▼a 9791186946138 ▼g 03680 | |
035 | ▼a (KERIS)BIB000014498058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791.437 ▼2 23 |
085 | ▼a 791.437 ▼2 DDCK | |
090 | ▼a 791.437 ▼b 2017 | |
245 | 2 0 | ▼a (각본) 비밀은 없다 / ▼d 이경미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유어마인드, ▼c 2017 | |
300 | ▼a 195 p. : ▼b 삽화 ; ▼c 20 cm | |
500 | ▼a 공저자: 박찬욱, 정서경, 정소영, 김다영 | |
500 | ▼a 부록: 스토리보드 | |
700 | 1 | ▼a 이경미, ▼e 저 |
700 | 1 | ▼a 박찬욱, ▼d 1963-, ▼e 저 |
700 | 1 | ▼a 정서경, ▼e 저 |
700 | 1 | ▼a 정소영, ▼e 저 |
700 | 1 | ▼a 김다영,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7 2017 | 등록번호 1117746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총선 보름 전 사라진 딸 민진과 그 실종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쫓는 영화 [비밀은 없다]의 각본집. 2008년 [미쓰 홍당무] 이후 이경미 감독 8년 만의 신작이다. 민진(신지훈 분)의 실종을 축으로 하는 범죄 미스터리, 종찬(김주혁 분)의 유세와 선거를 축으로 하는 정치 스릴러, 연홍(손예진 분)이 전체 사건의 진상을 밝혀 나가는 추리물이자 민진과 미옥(김소희 분)의 관계와 음악, 따돌림당하는 학교 생활이 전체 영화를 계속 뒤흔드는 다면적인 영화다.
다양한 장르가 충돌하고 빠른 편집으로 복선들을 과감하게 배치하면서 이경미 감독만이 만들 수 있는 영화를 직조해냈다. 때문에 [비밀은 없다]는 영화를 연거푸 보거나, 텍스트로 읽거나, 음악으로 반복해서 들을 때 다섯 명의 각본가가 설치한 여러 층이 매력적으로 드러난다.
<각본 비밀은 없다>는 영화 촬영에 앞서 완성된 최종교를 발간하여 영상을 서적화하는 것이 아닌, 각본으로서의 특성을 강조했다. 현장과 촬영과 편집과 연기 등 종합적인 영화 산업에 진입하여 최종 영화로 제작되기 전, 각본가에 의해 완결된 문학으로 읽을 수 있다. 또한 편집 시 삭제된 씬들이 남아 있어 다소 다른 엔딩, 장면, 대사 역시 확인 가능하다. 부록으로 특정 장면이 스크린 뒤에서 어떻게 지시되고 짜여졌는지 스토리보드(이스라 스토리보드 작가) 중 일부를 발췌해 수록했다.
제11회 파리한국영화제 관객상, 제25회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 제1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 여우주연상,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10대영화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2016 올해의 여성영화인 각본상, 연기상, 제3회 제작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수상, <씨네21> 2016년 한국영화 결산에서 2016 TOP3로 꼽힌 영화.
총선 보름 전 사라진 딸 민진과 그 실종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쫓는 영화 <비밀은 없다>(2016)의 각본집. 2008년 <미쓰 홍당무> 이후 이경미 감독 8년 만의 신작이다. 민진(신지훈 분)의 실종을 축으로 하는 범죄 미스터리, 종찬(김주혁 분)의 유세와 선거를 축으로 하는 정치 스릴러, 연홍(손예진 분)이 전체 사건의 진상을 밝혀 나가는 추리물이자 민진과 미옥(김소희 분)의 관계와 음악, 따돌림당하는 학교 생활이 전체 영화를 계속 뒤흔드는 다면적인 영화다. 다양한 장르가 충돌하고 빠른 편집으로 복선들을 과감하게 배치하면서 이경미 감독만이 만들 수 있는 영화를 직조해냈다. 때문에 <비밀은 없다>는 영화를 연거푸 보거나, 텍스트로 읽거나, 음악으로 반복해서 들을 때 다섯 명의 각본가가 설치한 여러 층이 매력적으로 드러난다.
<각본 비밀은 없다>는 영화 촬영에 앞서 완성된 최종교를 발간하여 영상을 서적화하는 것이 아닌, 각본으로서의 특성을 강조했다. 현장과 촬영과 편집과 연기 등 종합적인 영화 산업에 진입하여 최종 영화로 제작되기 전, 각본가에 의해 완결된 문학으로 읽을 수 있다. 또한 편집 시 삭제된 씬들이 남아 있어 다소 다른 엔딩, 장면, 대사 역시 확인 가능하다. 부록으로 특정 장면이 스크린 뒤에서 어떻게 지시되고 짜여졌는지 스토리보드(이스라 스토리보드 작가) 중 일부를 발췌해 수록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경미(지은이)
단편 <잘돼가? 무엇이든>(2004)으로 제6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아시아 단편 부문 최우수작품상과 관객상, 제2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대상 등을 수상했다. ‘두 여자의 관계’에 대한 관심을 확장한 장편 데뷔작 <미쓰 홍당무>(2008)로 제29회 청룡영화상 신인감독상과 각본상 등을 수상했다. 배우 손예진의 새 얼굴을 선보인 장편 <비밀은 없다>(2016)로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감독상, 제1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 등을 수상했다. 단편 <아랫집>(2017), 넷플릭스 옴니버스 영화 <페르소나>(2019) 중 <러브 세트>, 정세랑 소설 원작의 넷플릭스 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2020)을 발표했다. 저서로 에세이집 『잘돼가? 무엇이든』(2018)과 각본집 『비밀은 없다』(2017), 『잘돼가? 무엇이든』(2019), 『미쓰 홍당무』(2020)가 있다.
박찬욱(지은이)
<달은… 해가 꾸는 꿈>을 통해 영화감독으로 데뷔했다. <3인조>, <공동경비구역 JSA>, <복수는 나의 것>, <여섯 개의 시선 : 믿거나 말거나, 찬드라의 경우>, <올드보이>, <쓰리, 몬스터 : 컷>, <친절한 금자씨>,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쥐>, <파란만장>, <스토커>, <고진감래>, <A Rose Reborn>, <아가씨>, <격세지감>, <리틀 드러머 걸>, <일장춘몽>, <헤어질 결심> 등의 작품을 만들었다. 지은 책(공저 포함)으로 『박찬욱의 몽타주』, 『박찬욱의 오마주』, 『박쥐 각본』, 『아가씨 각본』, 『친절한 금자씨 각본』,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각본』, 『박쥐 각본』, 『각본 비밀은 없다』, 『아가씨 아카입』, 『미쓰 홍당무 각본집』, 『아가씨 가까이』, 『너의 표정』이 있다.
정서경(지은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졸업하고 「모두들, 괜찮아요?」를 통해 작가로 데뷔했다. 2005년 영화 「친절한 금자씨」를 시작으로 2006년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2009년 「박쥐」, 2016년 「아가씨」, 2022년 「헤어질 결심」까지 박찬욱 감독과 주로 작업했다. 드라마로는 2018년 「마더」와 2022년 「작은 아씨들」을 썼다. 「박쥐」를 쓸 때에 첫째 아이를 가졌고 미국 영화 「스토커」 작업을 할 즈음 둘째 아이를 가졌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는 시나리오 쓰는 일보다 아이들 키우는 일을 우선에 두었지만 이제는 아이들이 10대가 되어 그러지 않을 수 있다. 가끔은 아이들이 나서서 엄마의 일이 더 중요하다고 말해준다. 아이들이 커가는 것을 보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가 더해지는 것을 느낀다. 지금은 아이들이 없었더라면 쓰지 못했을 시나리오들을 쓰고 있다.
정소영(지은이)
김다영(지은이)

목차
- 〈비밀은 없다〉 각본 - 에필로그 - 부록: 스토리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