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생체재료학 제2판

생체재료학 제2판 (Loan 2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한국생체재료학회
Title Statement
생체재료학 = Biomaterials / 한국생체재료학회 지음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자유아카데미,   2016  
Physical Medium
xvi, 617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5808073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8265
005 20170616112222
007 ta
008 170615s2016 ggkad b 001c kor
020 ▼a 9791158080730 ▼g 93500
035 ▼a (KERIS)BIB000014023513
040 ▼a 221031 ▼c 221031 ▼d 221031 ▼d 222001 ▼d 211009
082 0 4 ▼a 610.28 ▼2 23
085 ▼a 610.28 ▼2 DDCK
090 ▼a 610.28 ▼b 2016
110 ▼a 한국생체재료학회
245 1 0 ▼a 생체재료학 = ▼x Biomaterials / ▼d 한국생체재료학회 지음
250 ▼a 제2판
260 ▼a 파주 : ▼b 자유아카데미, ▼c 2016
300 ▼a xvi, 617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28 2016 Accession No. 1212406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지난 2009년 한국생체재료학회 강인규 교수님을 위시한 편찬위원과 70여 명의 저자 분들의 각고의 노력으로 15장 500여 페이지에 이르는 초판이 발간되었다. 집필 시 재료의 다양성과 다학제 학문의 특성상 교재내용의 수렴과정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개요 및 이해부터 임상적용까지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초판으로서 짜임새 있게 잘 구성되었다고 본다.

이로부터 6년이 지난 2015년에 한국생체재료학회에서는 학부 교재로서 내용이 좀 어려운 부분, 대학원 교재로서 미진한 부분, 각 장별 업데이트 및 축약 부분, 그리고 생체재료의 최근 동향에 따른 신규 내용 추가 등을 보완해서 개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초판의 15장에서 개정판에서는 신규로 줄기세포, 3D 프린팅, 바이오센서 내용이 추가되어 17장으로 늘었으며 초판의 내용도 이해하기 쉽도록 압축해서 집필하려고 노력하였다. 처음 논의 과정에서 서술형의 기존 교재가 가진 가독성 결여 부분을 탈피하고 개조식 형태의 교재를 구성하려고 하였으나 많은 저자 분들의 서술형 교재 선호도를 반영하여 같은 형식을 유지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장 생체재료의 개요 
1.1 생체재료의 정의 
1.2 생체재료의 역사 

2장 생체재료의 분류 및 특성 
2.1 생체재료의 개념 및 분류 
2.2 생체재료의 요건 
참고문헌 

3장 고분자 생체재료(1) 
3.1 고분자 생체재료의 분류 
3.2 고분자 생체재료의 특성 

4장 고분자 생체재료(2) 
4.1 생분해성 고분자 
4.2 하이드로젤 
4.3 유·무기 복합재료 
참고문헌 

5장 금속생체재료 
5.1 개요 
5.2 금속생체재료의 역사 
5.3 금속생체재료의 상변태 
5.4 금속생체재료의 물리적 특성 
5.5 금속생체재료의 기계적 특성 
5.6 금속생체재료의 표면 특성 
5.7 금속생체재료의 부식 특성 
5.8 금속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 평가방법 
5.9 금속생체재료의 종류 
5.10 금속생체재료의 제조법 
참고문헌 

6장 바이오세라믹스 
6.1 서론 
6.2 생체불활성 바이오세라믹스 
6.3 생체활성 및 생분해성 바이오세라믹스 
6.4 생체활성유리 및 결정화유리 
6.5 다양한 형상의 바이오세라믹스 
참고문헌 

7장 생체재료의 표면개질 
7.1 표면중합 - 표면반응 
7.2 저온 플라즈마 - 표면반응 
7.3 생체분자의 고정화 
7.4 개질표면의 분석 
참고문헌 

8장 생체와 재료의 계면현상 
8.1 서론 
8.2 계면현상 
8.3 단백질 흡착 
8.4 세포점착 
참고문헌 

9장 생체적합성 평가 
9.1 생체적합성의 개념 
9.2 생체재료의 조직적합성 
9.3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9.4 의료기기 임상시험 
참고문헌 

10장 생체재료의 역학 특성 
10.1 재료의 물성 
10.2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생체역학적 연구 
10.3 바이오 트라이볼로지 
참고문헌 

11장 조직공학용 생체재료 
11.1 지지체 제조방법 
11.2 조직공학용 생체재료 지지체의 특성 분석 
11.3 조직공학용 지지체의 임상적용을 위한 요건 
참고문헌 

12장 약물전달용 생체재료 
12.1 서론 
12.2 저분자 약물전달용 생체재료 
12.3 단백질전달용 생체재료 
12.4 유전자전달용 생체재료 
12.5 그 외의 약물전달용 생체재료 
참고문헌 

13장 생체재료용 3D 프린팅 기술 
13.1 서론 
13.2 세포 프린팅 기술 
13.3 금속 3D 프린팅 기술 
13.4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 
13.5 마무리 
참고문헌 

14장 줄기세포 
14.1 서론 
14.2 줄기세포의 구분 
14.3 줄기세포의 특성 
14.4 생체재료를 활용한 줄기세포의 기능조절 
14.5 생체재료를 활용한 줄기세포의 조직재생 
참고문헌 

15장 바이오센서 
15.1 바이오센서의 정의 및 구성요소 
15.2 나노바이오센서 및 나노바이오칩 
15.3 바이오센서: 산소-센싱 인광 나노입자 
15.4 바이오센서: 하이드로젤 기반 바이오마커 센싱 
15.5 미세유체 바이오칩 기반 바이오센서 
15.6 요약 
참고문헌 

16장 치과용 생체재료 
16.1 치과생체재료의 특성 
16.2 치과용 수복 및 보철재료 
16.3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참고문헌 

17장 생체재료의 임상적 응용 
17.1 심혈관계 
17.2 신경외과 
17.3 정형외과 
17.4 안과 
17.5 성형외과 
17.6 비뇨기과 
17.7 이비인후과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
박훈평 (2022)
간호사연구소 (2022)
이강재 (2023)
간호사적응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