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신수) 교육과정이론

(신수) 교육과정이론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홍우 李烘雨, 19396-
Title Statement
(신수) 교육과정이론 / 이홍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7  
Physical Medium
xi, 480 p. ; 23 cm
ISBN
978892541173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8157
005 20170615163511
007 ta
008 170614s2017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1173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7z1
100 1 ▼a 이홍우 ▼g 李烘雨, ▼d 19396- ▼0 AUTH(211009)28281
245 2 0 ▼a (신수) 교육과정이론 / ▼d 이홍우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7
300 ▼a xi, 480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7z1 Accession No. 1117744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랫동안 망각의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성리학을 세계의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모범적인 교육과정 이론의 사례로 내세우는 데에 그 근본 취지가 있다. 또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한 서양 교육과정 이론의 小史를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과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 이론에서의 ‘범형 변화’를 꾀하면서 그 이론반정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문체반정을 보여준다.

책이 표방하는 이념에 의하면, 교육과정 이론은 단순히 교육을 받는 사람 편에 일어나기를 바라는 인격완성 또는 심성함양을 설명하고 제안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이론을 공부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점에서 ‘일체의 교육은 자기교육’이라는 명제는 ‘교육’에만 아니라 ‘교육과정 이론 공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 책은 너무나 오랫동안 망각의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성리학을 세계의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모범적인 교육과정 이론의 사례로 내세우는 데에 그 근본 취지가 있다. 또한 이 책은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한 서양 교육과정 이론의 小史를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과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교육과정 이론에서의 ‘범형 변화’를 꾀하면서 그 이론반정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문체반정을 보여준다.
바로 그 이유에서 이 책은 완전하게 성숙한 교육과정 이론에 비하여 재조직을 필요로 하는 자료요 捨石이다.
이 책이 표방하는 이념에 의하면, 교육과정 이론은 단순히 교육을 받는 사람 편에 일어나기를 바라는 인격완성 또는 심성함양을 설명하고 제안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이론을 공부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점에서 ‘일체의 교육은 자기교육’이라는 명제는 ‘교육’에만 아니라 ‘교육과정 이론 공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홍우(지은이)

李烘雨(1939~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육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저서 및 역서 인지학습의 이론, 1973, 박종덕(편), 2015. 증보 교육과정 탐구, 1977, 1992, 2010. 증보 지식의 구조와 교과, 1979, 1997, 2006. 교육의 목적과 난점, 1984, 1998, 2016.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1985. 주석 증보 교육의 개념, 1991, 2009.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2000, 2014. 교육과정 이론(공저), 2003. 대승기신론 통석, 2006. 신수 교육과정 이론, 2017. 미국 교육학의 정체, 2018. J. S. Bruner, 교육의 과정, 1973. R. S. Peters, 윤리학과 교육, 1980, 수정판(공역), 2003. J. Dewey, 민주주의와 교육, 1987, 개정 증보, 2008. D. W. Hamlyn, 경험과 이해의 성장, 1990, 교육인식론(증보), 2010. W. Boyd, 서양교육사(공역), 1994, 개정 증보, 2008. J. R. Manheimer,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공역), 2003. 馬鳴, 大乘起信論, 1991. F. Schiller, 인간의 심성교육, 2019. H. I. Marrou, 서양 고대교육사(공역), 2019.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Ⅲ 

제1부 삶과 교육과정 
제1장 학문적 탐구 분야로서의 교육과정 3 
1. 교육과정의 고전모형 5 
2. 마음과 그 표현 30 
3. 이론과 실제 53 

제2장 삶의 맥락에서의 교육과정 73 
1. 사람의 한평생 74 
2. 교과와 생활의 관련 94 
3. 우리의 교육적 유산 120 

제3장 교육과정 이론으로서의 성리학 143 
1. 세계와 마음의 이론 147 
2. 교육의 실제 172 
3. 결론 198 
[추기] 성리학의 미래 201 
1. 서론 201 
2. 청조 기학의 도전 203 
3. 반정초주의의 도전 210 
4. 프로이트 심리학의 도전 221 
5. 교육과 형이상학: 메타프락시스를 향하여 233 

제2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제4장 형식도야이론 251 
1. 일반적 능력의 개발 251 
2. 형식도야이론에 대한 비판 266 
3. 형식도야이론의 매력과 함정 280 

제5장 지식의 구조 293 
1. 생활적응교육 294 
2. 지식의 구조와 탐구학습 310 
3. 지식의 구조의 재조명 329 

제6장 지식의 형식 341 
1. 보는 지식과 하는 지식 344 
2. 교과로서의 ‘지식의 형식’ 359 
3. 삶의 이상으로서의 자유교육 375 

증보자료 
[증보자료] 
1. 교과와 실재 391 
2. 교육의 근본: 그 말살과 회복 419 
3. 이십일 세기 학교교육의 과제 443 
참고문헌 471 
찾아보기 47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