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창조적 기억 : 창조와 상기의 힘

창조적 기억 : 창조와 상기의 힘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港千尋, 1960- 김경주, 역 이종욱, 역
Title Statement
창조적 기억 : 창조와 상기의 힘 / 미나토 지히로 지음 ; 김경주, 이종욱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논형,   2017  
Physical Medium
287 p. ; 23 cm
Varied Title
記憶 : 「創造」と「想起」の力
ISBN
978896357179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7020
005 20170602164742
007 ta
008 170601s2017 ulk b 001c kor
020 ▼a 9788963571799 ▼g 03380
035 ▼a (KERIS)BIB000014493888
040 ▼a 211048 ▼c 211048 ▼d 244002
041 1 ▼a kor ▼h jpn
082 0 4 ▼a 700.103 ▼2 23
085 ▼a 700.103 ▼2 DDCK
090 ▼a 700.103 ▼b 2017
100 1 ▼a 港千尋, ▼d 1960-
245 1 0 ▼a 창조적 기억 : ▼b 창조와 상기의 힘 / ▼d 미나토 지히로 지음 ; ▼e 김경주, ▼e 이종욱 옮김
246 1 9 ▼a 記憶 : ▼b 「創造」と「想起」の力
260 ▼a 서울 : ▼b 논형, ▼c 2017
300 ▼a 287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경주, ▼e
700 1 ▼a 이종욱, ▼e
900 1 0 ▼a 미나토 지히로, ▼e
900 1 0 ▼a Minato Chihiro,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03 2017 Accession No. 1513351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기억은 보존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동적으로 구축되는 것이라는 시점을, 우선 신경 생리학 연구나 기억술의 전통에서 끄집어낸다. 그것을 전제로 자코메티의 조각, 샤를 마통의 회화, 빌 비올라의 비디오 아트를 인용하면서, 예술 제작에 있어서의 기억의 작용을 분석한다. 이어서 기억의 상으로서의 사진의 감각·감정과 기억의 관계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집단적 기억을 둘러싸고 기억의 정치학을 논한다.

이것들을 통해 끊임없이 논의를 촉발하는 것은 촉각을 핵으로 한‘신체의 기억’이다. 혹은 현재 속에 부재를 보는‘애도’의 시선이다. 기념일을 내세운 국가에 의한 기억의 관리, 기억을 말소하는 집단적 행위, 변경되는 지명, 사라져 가는 언어, 이중 언어화하는 현대도시, 알츠하이머라는 의구심 속에서도 그리기를 멈추지 않은 만년의 데 쿠닝(de Kooning), 유실물 보관소에 눌러 붙은 남자 이야기 등 읽을거리로서도 스릴만점이다.

이 창조적 기억론은 횡단과 촉각과 상기, 그것들이 교차하는 장소로부터 실을 잣듯 나온다. 이 책의 특징은 영상작가인 저자가 촉각의 근원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어떻게 한 잔의 홍차에서 ‘기억의 대가람(大伽藍)’이 출현할 수 있는가? 기억이란 각인의 ‘집적’이 아닌
지속적인 ‘생성’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시스템이다. 회상·추억·상기가 갖는 놀라운 창조력에 빛을
비추어 예술의 현장, 역사인식, 언어현황을 횡단하면서 끝없는 구축으로서의 ‘기억’을 투시한다.


기억은 보존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동적으로 구축되는 것이라는 시점을, 우선 신경 생리학 연구나 기억술의 전통에서 끄집어낸다. 그것을 전제로 자코메티의 조각, 샤를 마통의 회화, 빌 비올라의 비디오 아트를 인용하면서, 예술 제작에 있어서의 기억의 작용을 분석한다. 이어서 기억의 상으로서의 사진의 감각·감정과 기억의 관계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집단적 기억을 둘러싸고 기억의 정치학을 논한다.

이것들을 통해 끊임없이 논의를 촉발하는 것은 촉각을 핵으로 한‘신체의 기억’이다. 혹은 현재 속에 부재를 보는‘애도’의 시선이다. 기념일을 내세운 국가에 의한 기억의 관리, 기억을 말소하는 집단적 행위, 변경되는 지명, 사라져 가는 언어, 이중 언어화하는 현대도시, 알츠하이머라는 의구심 속에서도 그리기를 멈추지 않은 만년의 데 쿠닝(de Kooning), 유실물 보관소에 눌러 붙은 남자 이야기 등 읽을거리로서도 스릴만점이다.

이 창조적 기억론은 횡단과 촉각과 상기, 그것들이 교차하는 장소로부터 실을 잣듯 나온다. 이 책의 특징은 영상작가인 저자가 촉각의 근원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와시다 기요카즈鷲田 淸一(교토시립예술대 학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미나토 지히로(지은이)

1960년 일본 가나가와(神奈川)현 출생. 1984년 와세다대 정치학과 졸업. 남미 각국에 장기 체류 후, 1985년부터 파리를 거점으로 사진가ㆍ평론가로서 활동. 2002년 옥스퍼드대 울프손 칼리지(Wolfson College) 연구원, 2007년 제52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일본관 커미셔너 역임. ‘군중’, ‘이동’ 등을 테마로 한 사진을 찍어왔고 경계를 넘나드는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1995년부터 다마(多摩)미술대학 미술학부 정보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진집으로는 <파도와 귀 장식(波と耳飾り)>, <내일, 광장에서-유럽 1989∼1994(明日?場で-ヨ-ロッパ 1989∼1994)>, <순간의 산―형태창출의 신성성(瞬間の山-形態創出と聖性)>, <Inbetween No.2 France Greece>, <문자의 어머니들(文字の母たち)>이 있다.

이종욱(옮긴이)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재학 중으로, 2012년 베스트 프레젠터상(대 한프레젠테이션협회)을 수상하였다. 삼성, LG, SK 등 국내 유수 기업과 서울대 등 대학은 물론 서울시 등 관공서 및 공공기관에서 프레젠테이션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프레젠테이션 디자인 및 파워포인트 활용방법을 담은 《파워포인트 2010 무작정 따라하기》등이 있다.

김경주(옮긴이)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12회의 개인전과 100여 회의 국내외 기획전을 열었다. 지금은 동신대학교 공연전시기획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5월시 판화집>(공저, 한마당, 1983), <민족현실과 지역운동>(공저, 광주출판사, 1985), <화문집-화창한 날의 상처>(전라도닷컴, 2002), <복잡성-예술을 통한 문화적 역동성의 이해>(심미안, 2007), <프랙털로부터 미의 추출>(심미안, 2008), <문화기획용어사전>(심미안, 2013) <생각하는 피부> 외 다수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기억의 생성론	
1장 기억과 창조 

1. 신경다위니즘	
2. 빌럼 데 쿠닝의‘흰 부분’	
3. 노스텔지어	
4. 장과 기억술	

2장 회상의 힘 

1. 황금색 돌- 자코메티 1946년의 기억에 대하여	
2. 거울나라의 릴리풋- 샤를 마통의 작은 방	
3. 발화하는 기억의 나무- 빌 비올라와 기억의 요소	

3장 사진과 부재 

1. 태양의 기억- 기상, 인상, 추상	
2. 사진의 탄생	
3. 검은 섬-부재를 탐구하는 사진가	

4장 상기하는 역사 

1. 기억의 역사	
2. 역사의 유실물계	
3. 평행사-역사의 리사이클에 대하여	
4. 바벨연대기	
에필로그- 문화로서의 기억	

저자후기/ 역자후기/ 색인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