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6957 | |
005 | 20170605102323 | |
007 | ta | |
008 | 170601s2016 ulkac b 001c kor | |
020 | ▼a 9791186096253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4076995 | |
040 | ▼a 21101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420 ▼2 23 |
085 | ▼a 420 ▼2 DDCK | |
090 | ▼a 420 ▼b 2016z1 | |
100 | 1 | ▼a 한학성 ▼0 AUTH(211009)50891 |
245 | 1 0 | ▼a 영어 그 안과 밖 / ▼d 한학성 |
260 | ▼a 서울 : ▼b 채륜, ▼c 2016 | |
300 | ▼a 634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 |
500 | ▼a 부록: 에스퍼슨 고별 강연 | |
504 | ▼a 참고문헌(p. 598-601)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0 2016z1 | 등록번호 1117735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희대학교 영어학부의 교수인 저자 한학성이 영어의 안과 밖을 나누었다. 먼저 안에서는 영어라는 언어를 해부해 보았다. 먼저 영어의 소리를 알아보았다. 영어에 어떤 소리가 사용되고 그 소리는 어떻게 다른지, 소리의 결합에는 어떤 규칙과 제약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어와 문장을 들여다보았다. 단어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내부 구조는 어떠한지 그 단어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문장의 오묘함을 파헤쳤다.
또 밖에서 영어를 살펴본다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영어를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라는 언어가 역사적으로 어떤 변화를 거쳐 왔는지, 또 지역적 혹은 사회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영어라는 언어는 어떻게 습득되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영어에 대한 가벼운 의문점에서부터 영문법과 영어 사전, 영어학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영어의 안은 무엇이고, 밖은 무엇인가
경희대학교 영어학부의 교수인 저자 한학성은 이 책을 통하여 영어의 안과 밖을 나누었다.
안에서는 영어라는 언어를 해부해 보았다. 먼저 영어의 소리를 알아보았다. 영어에 어떤 소리가 사용되고 그 소리는 어떻게 다른지, 소리의 결합에는 어떤 규칙과 제약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어와 문장을 들여다보았다. 단어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내부 구조는 어떠한지 그 단어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문장의 오묘함을 파헤쳤다.
또 밖에서 영어를 살펴본다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영어를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라는 언어가 역사적으로 어떤 변화를 거쳐 왔는지, 또 지역적 혹은 사회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영어라는 언어는 어떻게 습득되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영어에 대한 가벼운 의문점에서부터 영문법과 영어 사전, 영어학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30대 중반 초임 교수에서 정년을 바라보는 교수가 되어버린 저자의 숙성된 학문과 또 회환이 이 책에 담겨있다. 이미 몇 차례 영어의 안쪽 모습을 조명해왔던 저서들의 종합서라고 볼 수도 있겠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는 외국어 공부를 어학 공부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정확하지 않다. 우리는 정치를 잘 한다고 하여 정치학을 잘 한다고 하지 않고, 행정 수완이 좋다고 해서 행정학을 잘 한다고 하지 않는다. 이는 외국어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점을 정확히 잡아내고 있다. 저자는 그 차이를 지저가여 영어를 안과 밖으로 나누었다. 이 책은 영어와 영어학에 대한 의문을 차례로 풀어냈기에, 언어적 영어는 물론이고 학문적 영어에 대해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 그 안
영어의 안, 이는 기본적으로 영어라는 언어의 안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영어를 해부해보는 것이다.
이 파트에서는 먼저 영어의 소리를 해부하였다. 영어에는 어떤 소리들이 있고 그 소리들이 분류되고 어울리며 어떤 단어와 문장이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집중하였다. 소리들이 어우러졌을 때의 특징, 음운규칙 즉 발음규칙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단어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내부 구조는 어떠한지, 또 단어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문장의 다양한 의미 해석도 알아보았다.
영어 그 밖
영어를 밖을 바라본다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영어라는 언어를 살펴본다는 것이다.
기본 발음이나 단어, 문법, 의미 면에서 영어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알아보면 영어의 역사를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영어의 역사를 살펴본다는 것은 결국 영어의 소리와 의미와 관련된 역사적 변천을 살펴본다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특히 영어라는 언어가 어떤 가지를 통해 파생되어 왔으며 고대 영어의 통사적 특징과 영어 역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는 모음대추이, 또 영어 문자의 유래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어의 지역적 방언, 사회적 방언을 살펴보며 기본적으로 지역 혹 사회 계층에 따라 발음이 어떻게 다른지, 어휘나 문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살펴보았다.
더불어 인간은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였는지까지도 함께 이야기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한학성(지은이)
충청북도 산골에서 태어나 줄곧 서울에서 성장했다. 전체 수석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입학했지만 대학 생활은 별로 즐겁지 않았다. 영어과에 다니면서도 영어보다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주변을 더 기웃거리기도 했다. 넓은 세계를 보며 평범하게 살겠노라며 선택한 대기업 수출부에서의 직장 생활은 평범한 생활을 보장해주지도, 넓은 세계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직장인으로서의 삶에 회의를 느끼다가 1983년 미국 유학 중 잠시 귀국한 친구를 통해 남의 일을 해주며 사는 생활보다는 자신의 일을 하면서 사는 삶을 꿈꾸게 되었다. 그즈음 우연히 들른 책방에서 서울대학교 이정민 교수 등이 펴낸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보고 언어학에 강한 매력을 느꼈다. 다음 해 미국 텍사스대 대학원에 입학했는데 여기서 처음으로 공부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3년 만에 석사와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뒤 1988년 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영문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1991년에 경희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재직했고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다.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당 기간 촘스키에 매료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한국인 및 한국어적 관점에서의 영어학, 한국어 화자를 위한 영어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업에 덴마크 출신이면서 가장 위대한 영어학자라는 평을 듣기도 하는 오토 예스퍼슨Otto Jespersen을 큰 귀감으로 삼고 있다. 그동안 《GB 통사론》, 《영어란 무엇인가》, 《생성문법론》, 《영어 관사의 문법》,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 교과서》, 《우리시대 영어 담론: 그 위선의 고리들》 등의 책을 펴냈으며, 존 마허 John Maher와 주디 그로브스 Judy Groves의 《촘스키Introducing Chomsky》, 오토 예스퍼슨의 《외국어 교육 개혁론How to Teach a Foreign Language》 등을 번역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프롤로그 제1장 영어에 관한 몇 가지 질문들 1. ‘English’의 ‘l’은 ‘-land’의 ‘l’인가? 2. 영어에서는 왜 3인칭 단수 동사의 경우에만 유독 ‘-s’ 표시를 하는 것일까? 3. 영어에는 왜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의 구분이 있는 것일까? 4. ‘ox’의 복수형은 왜 ‘oxes’가 아니고 ‘oxen’일까? 5. ‘wolf’는 복수형에서 왜 ‘f’가 ‘v’로 바뀌는 것일까? 6. 영어, 그 안과 밖 제2부 영어: 그 안 제2장 영어의 소리 I: 낱내소리 1. 그 사람 이름은 ‘Gang’ 2. 브이 3. ‘쉬고울’에 갔습니다 4. 아임 더티 5. 영어 소리의 분류에 들어가기에 앞서 6. 자음과 모음의 구분 7.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 8. 비음과 구두음의 구분 9. 영어 자음의 분류 10. 조음위치에 따른 영어 자음의 분류 11. 조음방법에 따른 영어 자음의 분류 12. 영어 모음의 분류 13. 단모음과 이중모음 14. 자연음군 15. 발음 표기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제3장 영어의 소리 II: 소리의 어우러짐 1. ‘pin’의 ‘p’ 소리와 ‘spin’의 ‘p’ 소리 (밝은 ‘p/t/k’ 소리와 된 ‘p/t/k’ 소리) 2. 음소와 이음 3. ‘Inkel’은 ‘잉켈’? 4. Chomsky 5. ‘water’의 발음(여린 ‘t’ 소리) 6. ‘Latin’의 발음(막힌 ‘t’ 소리) 7. ‘try’의 발음(밀린 ‘t’ 소리) 8. ‘t’ 소리의 종류 9. ‘film’의 발음(흐린 ‘l’ 소리) 10. schwa(정 중앙의 모음) 11. ‘should have’를 왜 ‘should of’처럼 발음하나요? 12. ‘exactly’에서 ‘t’ 탈락 13. 기타 탈락 현상 14. 명사 복수형 어미 ‘-s’와 동사 과거형 어미 ‘-ed’의 발음 15. 개인 넘버 16. 기타 부정적 이전의 예 17. 도락구 18. 강세와 인토네이션, 그리고 초분절자질 19. 변별적 자질 20. ghoti, 그리고 영어 철자법의 문제 제4장 영어의 단어: 그 구조와 형성 1. 의미의 최소 단위 2.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 3. 영어 단어의 파생 4. 내용어와 기능어 5. 영어 단어의 내부 구조 6. ‘unlockable’ 7. ‘sunrise’와 복합어 8. ‘ad’와 절단어 9. ‘brunch’와 혼성어 10. ‘TESOL’과 머리글자어 11. ‘hamburger’와 민간 어원 12. ‘pea’와 역성 13. 품사 변환 14. 신조어 15. 영어에 들어온 외래어 16. 켈트어 차용어 17. 라틴어 차용의 시기 구분 18. 제1기 라틴어 차용어 19. 제2기 라틴어 차용어 20. 제3기 라틴어 차용어 21. 스칸디나비아어 차용어 22. ‘shirt’와 ‘skirt’ 23. ‘die’ 24. ‘Rugby’ 25. ‘they’, ‘their’, ‘them’ 26. 프랑스어 차용어 27. ‘feast’ 28. ‘change’ 29. ‘catch’와 ‘chase’ 30. ‘war’ 31. ‘ox’와 ‘beef’ 32. 기타 차용어 제5장 영어의 문장: 그 구조와 형성 1. 단어의 배열 2. 영어학 3.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4.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5. The dog chased the cat 6. 최대 길이의 영어 문장과 인간 언어능력의 창의성 7. 문법의 발굴 8. 연구의 순서 9. 구구조규칙의 필요성 10. 구조적 중의성 11. 구구조문법의 문제점 12. 변형규칙의 필요성 13. 로스의 제약조건들 14. 경험적 문제와 개념적 문제 15. 로스식 제약조건들의 통합과 하위인접조건 16. 구구조규칙의 통합과 X’-이론 17. 변형규칙 체계의 문제점과 그 해결의 모색 18. 촘스키의 언어관과 보편문법 제6장 영어의 의미: 의미 현상의 종류와 작용 1. 단어의 의미, 문장의 의미 2. 의미 속성과 의미 자질 3. 단어들 간의 의미 관계 4. 중의성 5. 기이성 6. 의미 상충 7. 의미 중복 8. 함의 9. 동의성 10. 분석적 참과 종합적 참 11. The Morning Star is the Evening Star 12. The present king of France is bald 13. 맥락과 의미, 그리고 화용론 14. 직시적 표현 15. 발화수반행위 16. 추의 17. 협력 원칙과 대화상의 격률 제3부 영어: 그 밖 제7장 영어의 역사: 그 기원과 변천 1. 언어의 변화 2. 바벨탑 이야기 3. 윌리엄 존스 경 4. 인도유럽어와 영어 5. 영어의 시대적 구분과 예 6. 고대 영어의 통사적 특징 7. 모음대추이 8. 의미의 변화 9. 킹 제임스 영어 성경과 초기 현대 영어의 특징 10. 영어 문자의 유래 제8장 영어의 종류 1.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 2. 미국 남부 방언 3. 코크니 영어 4. 방언과 언어 5. 사회적 방언 6. 아프리카계 미국 영어 7. 링구아 프랑카 8. 피진어와 크리올어 9. 이중언어사용과 코드변환 10. 속어 11. 금기어와 완곡어 12. 전문어 13. 언어적 성차별 14. 정치적 올바름 제9장 영어의 습득 1. 인간은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가설 1: 모방에 의해 습득하는가? 가설 2: 정정과 강화에 의해 습득하는가? 가설 3: 유추에 의해 습득하는가? 가설 4: 구조적 입력에 의해 습득하는가? 2. 모두 아니라면 인간은 도대체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3. 언어 습득의 단계 4. 인간은 태어날 때 백지 상태로 태어나는가? 5. 결정적 시기 가설 6. 모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7. 제2언어로서의 영어와 외국어로서의 영어 8. 전이, 중간어, 화석화 9. 하나의 문법인가, 두 개의 문법인가? 10. 자동 언어 습득의 3요소 11. 한국어 화자를 위한 영어교육 12. 다른 동물이 인간 언어를 배울 수 있는가? 제4부 영문법과 영어 사전: 영어를 담는 그릇 제10장 영문법 연구 1. 규범문법과 기술문법 2. 영문법 연구 방법의 주요 세 갈래 3. 전통문법 4. 학술전통영문법과 헨리 스위트 5. 구조주의문법 6. 오토 예스퍼슨 7. 생성문법과 촘스키 제11장 영어 사전 1. 인류 최초의 사전과 초기 영어 사전들 2. 로버트 코드리 사전 3. 새뮤얼 존슨 사전 4. 노아 웹스터 사전 5. 옥스퍼드 영어 사전 제5부 에필로그 제12장 우리나라 영어학에 관한 몇 가지 질문들 1. 한국에서의 영문법 연구와 영어 사전 편찬 2. 영어학은 인문학인가? [부록] 예스퍼슨 고별 강연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