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영어: 역동적 언어
제2장 영어의 자음과 모음
2.1 영어의 자음과 모음
2.2 음성학(Phonetics)과 음운론(Phonology)
제3장 영어 강세
3.1 영어에서의 강세: 변별적 자질
3.2 강세란 무엇인가?
3.3 영어의 음보 형성
3.4 영어 강세와 분절 음운현상
제4장 영어와 음운이론의 발전
4.1 단선음운론(Linear Phonology)
4.2 비단선음운론(Nonlinear Phonology)
4.3 어휘음운론(Lexical Phonology)
4.4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
제5장 영어방언음운론 I: 자음음운론
5.1 s-유성음화(s-Voicing)
5.2 연구개연화(Velar Softening)
5.3 마찰음화(Spirantization)
5.4 구개음화(Palatalization)
5.5 Yod-탈락(Yod-Dropping)
5.6 탄설음화(Flapping, Tapping)
5.7 성문음화(Glottaling)
5.8 성문음 삽입(Glottal Stop Insertion)
5.9 어초 마찰음 유성음화(Initial Fricative Voicing)
5.10 기식음화(Aspiration)
5.11 선기식음화(Pre-aspiration)
5.12 h-탈락(h-Dropping, h-Deletion)
5.13 h-삽입(h-Insertion)
5.14 h~ø 교체현상(h~ø Alternation)
5.15 겹자음화(Consonant Gemination)
5.16 l-연구개음화(l-Velarification)
5.17 l-모음화(l-Vocalization)
5.18 l-삽입(l-Insertion, Intrusive l)
5.19 r-삽입(r-Insertion, Intrusive r)
5.20 r-모음화(r-Vocalization)
5.21 r-이화현상(r-Dissimilation)
5.22 과대 r-삽입(Hyper-Rhoticity)
5.23 nt-단순화(nt-Simplification)
5.24 n-탈락(n-Deletion)
5.25 g-탈락(g-Deletion)
5.26 유성 장애음 탈락(Voiced Obstruent Deletion)
5.27 TH-폐쇄음화(TH-Stopping)
5.28 TH-순음화(TH-Fronting)
5.29 전이음 연쇄 탈락(Glide Cluster Reduction)
5.30 자음선행 연쇄 탈락(Preconsonantal Cluster Reduction)
5.31 어말 연쇄 탈락(Final Cluster Reduction)
5.32 어두 자음연쇄 탈락(Initial Cluster Reduction)
5.33 모음 비음 연쇄 융합(Vowel-Nasal(VN) Sequence Coalescence)
5.34 파찰음화(Affrication)
5.35 어말 유성장애음 무성음화(Final Obstruent Devoicing)
5.36 유음음절화(Syllabic Consonant Formation)
5.37 폐쇄음 연화(Soft Mutation)
5.38 파열음 삽입(Plosive Epenthesis)
5.39 위치동화(Place Assimilation)
5.40 유·무성동화(Voicing Assimilation)
5.41 요크셔동화(Yorkshire Assimilation)
5.42 유성자음 비음화(Voiced Consonant Nasalization)
5.43 유성 치마찰음 탈락(ð-Deletion)
제6장 영어방언음운론 II: 모음음운론
6.1 선어말 셋째 음절 단모음화(Trisyllabic Shortening)
6.2 CiV 장모음화(CiV Lengthening)
6.3 선모음 긴장음화(Prevocalic Tensing)
6.4 Happy-긴장음화(Happy-Tensing)
6.5 강세모음 장음화(Stressed Tense Vowel Lengthening)
6.6 이중모음화(Diphthongization)
6.7 선설전음 모음 분화(Pre-R Breaking)
6.8 선약모음 이완음화(Pre-Schwa Laxing)
6.9 선설측음 분화(Pre-L Breaking)
6.10 홑모음화(Smoothing)
6.11 선마찰음 장모음화(Pre-Fricative Lengthening)
6.12 전이음 약화(Glide Weakening)
6.13 모음삽입(Vowel Epenthesis)
6.14 남부모음 분화(Southern Breaking)
6.15 약화모음 흡수(Schwa Absorption)
6.16 약화모음 삽입(Schwa Epenthesis)
6.17 약화모음 융합(Schwa Coalescence)
6.18 약화모음 탈락(Schwa Deletion)
6.19 캐나다 상승 현상(Canadian Raising)
6.20 모음상승(Vowel Raising)
6.21 Mouth 상승(Mouth Raising)
6.22 Bath 상승(Bath Raising)
6.23 모음비음화(Vowel Nasalization)
6.24 Bath 확장 현상(Bath-Broadening)
6.25 i-모음화(i-Vocalization)
제7장 영어방언음운론과 최적성이론
7.1 들어가는 말
7.2 최적성이론에서의 방언변이 설명 방법
7.3 영어 방언에 관한 음운론적 연구
7.4 영어방언음운론 연구를 통한 이론적 성과
7.5 영어방언음운론의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