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지 레이코프

조지 레이코프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나익주 羅益柱, 1958-
서명 / 저자사항
조지 레이코프 = George Lakoff / 나익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형태사항
xl, 124 p. ; 19 cm
총서사항
컴북스 이론총서
ISBN
9791130472300 9791130424743 (세트)
주제명(개인명)
레이코프, 조지  
Lakoff, George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5117
005 20170523095600
007 ta
008 170510s2017 ulk 000c kor
020 ▼a 9791130472300 ▼g 04300
020 1 ▼a 9791130424743 (세트)
035 ▼a (KERIS)BIB000014475343
040 ▼a 221022 ▼d 22102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401 ▼2 23
085 ▼a 401 ▼2 DDCK
090 ▼a 401 ▼b 2017z2
100 1 ▼a 나익주 ▼g 羅益柱, ▼d 1958-
245 1 0 ▼a 조지 레이코프 = ▼x George Lakoff / ▼d 나익주 지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7
300 ▼a xl, 124 p. ; ▼c 19 cm
440 0 0 ▼a 컴북스 이론총서
600 1 4 ▼a 레이코프, 조지
600 1 0 ▼a Lakoff, Georg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01 2017z2 등록번호 1513347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컴북스이론총서. 전통적으로 ‘은유’는 시인이나 능변가처럼 선택받은 소수가 시나 웅변을 더 설득력 있고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문체상 기교로 간주돼 왔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은 은유가 단지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사고 과정의 문제임을 밝힌다. 인간 인지 과정은 본질상 은유적이라는 것이다. 은유는 소수의 특별한 사람뿐만 아니라 언어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기제다. 이 책은 세계적 인지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의 이론을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한다. 세상을 이해하는 프레임이 여기 있다.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 1941∼ )
언어학자, 인지언어학자. 미국 뉴저지주 베이온에서 태어났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놈 촘스키에게 사사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 언어학자로서 변형생성문법의 지평 내에서 활동했다. 이후 촘스키의 언어이론이 언어의 본질을 해명하는 데 근본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비판, 언어 연구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인지’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인지언어학자’로서 폭넓은 연구 영역을 개척해 왔다. 특히 은유가 본질적으로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사고 과정의 문제이며, 인간 인지 과정의 많은 부분이 본질상 은유적이라고 주장하는 은유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4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펴낸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통해 정치에서 프레임 형성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2008년에 펴낸 『폴리티컬 마인드』를 통해서는 프레임 형성이 정치적 사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자신의 견해가 최신 신경과학과 뇌과학의 관점에서 타당함을 입증했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의 언어학과 교수이자 인지과학협동과정 교수를 지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나익주(지은이)

전남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대학원과 전남대 대학원에서 영어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UC버클리대 언어학과에서 객원학자로서 은유와 인지언어학을 공부했다. 전남대와 충남대, 광주교대에서 강의했고 광주여고, 서강고, 광주상고 등에서 영어를 가르쳤으며 광주 지산중학교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담화인지언어학회의 학술지 『담화와 인지』 편집위원과 한겨레말글연구소의 연구위원을 맡고 있으며, 전남대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이다. 소수만이 아니라 모두에게 정의롭고 평화로운 사회를 소망하면서 언어와 은유가 어떻게 우리 삶을 지배하는가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왔다. 은유 이론과 정치적 프레임 이론을 소개한 『조지 레이코프』(2017)를 쓰고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과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을 공저했으며, 『삶으로서의 은유』(1995/2006 공역), 『몸의 철학』(2003 공역), 『개념 영상 상징』(2005), 『프레임 전쟁』(2007), 『자유 전쟁』(2009), 『이기는 프레임』(2016), 『지구적 불평등』(2019), 『과학의 은유: 진리 만들기』(2020 공역) 등의 역서를 펴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	개념적 은유 이론 
02	은유의 종류 
03	은유적 사상: 원천 영역에서 목표 영역으로 
04	시적 은유 대 일상적 은유 
05	프레임, 세상을 이해하는 창 
06	‘국가는 가정’ 은유 
07	진보와 보수의 정치적 세계관 
08	인과관계와 정치적 세계관 
09	‘자유’ 대 ‘자유’: 개념 쟁탈전 
10	신체화된 마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