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5105 | |
005 | 20170522162806 | |
007 | ta | |
008 | 170510s2017 ulka 001c kor | |
020 | ▼a 9791185788104 ▼g 93010 | |
035 | ▼a (KERIS)BIB000014469437 | |
040 | ▼a 221022 ▼c 221022 ▼d 221022 ▼d 244002 | |
082 | 0 4 | ▼a 028.1 ▼2 23 |
085 | ▼a 028.1 ▼2 DDCK | |
090 | ▼a 028.1 ▼b 2017z4 | |
100 | 1 | ▼a 김기태 ▼g 金基泰, ▼d 1964- |
245 | 1 0 | ▼a 서평의 이론과 실제 / ▼d 김기태 지음 |
260 | ▼a 서울 : ▼b 이채, ▼c 2017 | |
300 | ▼a 438 p. : ▼b 삽화 ; ▼c 22 cm | |
440 | 0 0 | ▼a 서평학 총서 |
500 | ▼a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28.1 2017z4 | 등록번호 15133472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2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평이란 “서평자의 전문지식 및 학문 수준과 경향을 바탕으로 특정 도서에 대한 가치 평가와 비평을 도모할 목적으로 서술, 비판, 해설 등을 통해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독서 욕구를 자극하는 한편, 바람직한 독서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문화성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글쓰기로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라고 정의했다. 나아가 서평을 서술적 서평과 비판적 서평, 해설적 서평으로 갈래를 나누고 이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고, 서평 방법론을 정리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모두 6개의 장으로 꾸며졌다. 제1부에서는 주로 서평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제1장 출판론, 제2장 독서론, 제3장 서평론 등 3개 장을 배치하였다. 특히 출판과 독서에 대해 먼저 알아야 제대로 된 서평이 가능하다는 저자의 지론이 돋보인다. 제2부는 서평의 실제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4장 서평과 출판평론의 유형별 실제, 제5장 전문가 서평과 출판평론의 실제, 제6장 정형화된 서평의 실제 등으로 마무리했다. 특히 제5장에는 이 시대를 풍미하는 서평 전문가들(문학평론가 진형준, 도서관문화비평가 이용훈, 도서평론가 이권우, 책과사회연구소 대표 백원근, 출판평론가 표정훈, 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이구용, 출판평론가 장동석, 매일경제 문화전문기자 허연 등)의 주옥같은 글들이 실려 있다.
서평을 학문으로 정리한 최초의 저술!
한국출판평론상/한국출판학회상/한국전자출판학회상을 수상한
저작권 전문가 김기태 교수의 역작!
독서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시나브로 책의 존재감 또한 사라지고 있는 듯하여 안타깝다. 언제까지 책을 읽어야 하는 당위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책을 읽을 만한 환경 만들기에는 인색한 우리 사회의 모순을 탓하고 있어야 할 것인가? 저작권 전문가 김기태 교수의 『서평의 이론과 실제』(도서출판 이채, 값 25,000원)는 바로 그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서평이란 무엇인가? 서평이 왜 중요한가? 독서와 서평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서평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그리고 서평은 학문이 될 수 있는가? 등등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서평의 실제 모습을 담아내는 것이 바로 이 책의 목표다. 나아가 이 책은 궁극적으로 책 읽기를 좋아하고 책 읽은 느낌을 정리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바치는 마음으로 기획되었다.
과연 서평이란 무엇인가?
구체적 방법론과 전문가들의 풍부한 실제 사례 담아
『서평의 이론과 실제』에서 저자는, 서평이란 “서평자의 전문지식 및 학문 수준과 경향을 바탕으로 특정 도서에 대한 가치 평가와 비평을 도모할 목적으로 서술, 비판, 해설 등을 통해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독서 욕구를 자극하는 한편, 바람직한 독서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문화성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글쓰기로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라고 정의했다. 나아가 서평을 서술적 서평과 비판적 서평, 해설적 서평으로 갈래를 나누고 이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고, 서평 방법론을 정리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모두 6개의 장으로 꾸며졌다. 제1부에서는 주로 서평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제1장 출판론, 제2장 독서론, 제3장 서평론 등 3개 장을 배치하였다. 특히 출판과 독서에 대해 먼저 알아야 제대로 된 서평이 가능하다는 저자의 지론이 돋보인다. 제2부는 서평의 실제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4장 서평과 출판평론의 유형별 실제, 제5장 전문가 서평과 출판평론의 실제, 제6장 정형화된 서평의 실제 등으로 마무리했다. 특히 제5장에는 이 시대를 풍미하는 서평 전문가들(문학평론가 진형준, 도서관문화비평가 이용훈, 도서평론가 이권우, 책과사회연구소 대표 백원근, 출판평론가 표정훈, 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이구용, 출판평론가 장동석, 매일경제 문화전문기자 허연 등)의 주옥같은 글들이 실려 있다.
저자는 한국서평학회를 창립하고 독서와 서평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에 매진할 계획이다. 『서평의 이론과 실제』가 서평 전문가들의 지침서가 되고, 서평 전문가로 발돋움하려는 이들에게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전문가들의 한 마디>
★서평이란 어떤 책의 가치와 내용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해주는 글이며, 동시에 독자들이 그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글이다.
- 진형준(문학평론가, 전 한국문학번역원장, 홍익대 교수)
★서평이란 그 책에 대한 보물지도다.
- 이용훈(도서관문화비평가, 전 서울도서관장)
★서평은 한 책의 가치를 드러내고 그 책의 한계를 비판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그런데 실제로 한 책을 비판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전공 분야라면 몰라도 교양 수준에서 지은이와 지적으로 ‘맞짱’ 뜬다는 것은 난감하지 않겠는가. 그래서 나는 서평이라 써놓고 독후감이라 읽는다. 한 책을 읽고 느낀 진솔한 소감으로도 충분히 서평 역할을 할 수 있다 믿는다.
- 이권우(도서평론가)
★서평은 독자에게 또 다른 상상의 공간을 보여줌으로써 독서에 대한 호기심과 즐거움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 이구용(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서평은 책과 독자를 이어주는 중매쟁이다. 서로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좋은 인연을 만들어주는 것이 훌륭한 중매쟁이의 미덕이듯, 좋은 서평은 세상의 많은 책 중에서 바로 그 책을 읽도록 하는 매력적인 메신저다. 중매쟁이가 만남의 행복을 선사하는 것처럼, 서평은 독서의 동기와 즐거움을 독자에게 선물한다.
-백원근(출판평론가, 책과사회연구소 대표)
★서평은 책?독자?출판을 매개하는 평가적 성격의 공적(公的) 커뮤니케이션이다.
- 표정훈(출판평론가, 건국대 강사)
★서평이란 내가 읽었던 책을 다시 '환생'시키는 일. 그래서 나와 책이 '윤회'로 다시 얽히게 하는 일이다.
- 허 연(시인, 매일경제 문화전문기자)
★서평이란 결국 삶이다. 하루하루의 삶을 어떻게 채워갈 것인가. 이것이야말로 힘 있는 글을 만들어내는 공공연한 비밀이다.
- 장동석 (출판평론가)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기태(지은이)
2001년 3월부터 세명대학교 인문예술대학 디지털콘텐츠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미디어와 저작권의 관계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한국출판평론상, 2003년 책의 날 문화관광부장관 표창, 2005년 제26회 한국출판학회상(저술·연구부문), 2007년 책의 날 국무총리 표창, 2016년 제3회 한국전자출판학회상(저술·연구부문) 등을 수상했다. 2018년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에 [생활 속의 표절과 저작권]이 선정되었다. 출판평론가로서 각종 매체에서 활발한 비평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여러 기관과 단체를 대상으로 저작권과 연구윤리에 대한 자문과 강의를 하고 있다. 그밖에 한국저작권위원회 산하 표절위원회 위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윤리평가단 간사, 국립중앙도서관 문헌번호센터 운영위원장, 제천기적의도서관 운영위원장, (사)한국전자출판학회 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위원회 위원, 롯데출판문화대상 심사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글쓰기에서의 표절과 저작권』(지식의날개, 2010) -『나도 저작권이 있어요』(상수리, 2012) -『응답하라 저작권』(도서출판 이채, 2014) -『동양 저작권 사상의 문화사적 배경 비교 연구』(도서출판 이채, 2014) -『저작권, 카피라이트냐? 카피레프트냐?』(내인생의책, 2016) -『서평의 이론과 실제』(도서출판 이채, 2017) -『김기태의 저작권 수업』(맥스미디어, 2018) -『출판실무와 저작권』(화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시대에 꼭 알아야 할 저작권』(동아엠앤비, 2020) -『한국 근대잡지 창간호 연구』(학연문화사, 2022)

목차
여는 글_글 읽는 대한민국을 위한 헌사(獻詞)_4 제1부 읽고 또 읽다_서평의 이론적 배경 들어가는 글_13 제1장 출판론(出版論)_19 제2장 독서론(讀書論)_65 제3장 서평론(書評論)_113 나오는 글_180 제2부 읽고 쓰다_서평의 실제 들어가는 글_185 제4장 서평과 출판평론의 유형별 실제_187 제5장 전문가 서평과 출판평론의 실제_349 제6장 정형화된 서평의 실제_397 나오는 글_427 닫는 글_읽으면 행복합니다_430 찾아보기_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