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1장 교육과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위치
1) 교육의 의미
2) 교육과 교육기관
3) 교육기관과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개념
1) 실제적 입장
2) 이론적 입장
3. 교육과정의 유형
1) 공식적 교육과정
2) 영 교육과정
3) 실제적 교육과정
4) 잠재적 교육과정
4. 교육과정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운영
3) 교육과정 평가
4)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2장 교육과정 활동의 기초
1. 교육과정 활동을 하는 집단
2. 교육과정 활동의 원천
1) 교육철학
2) 교육심리학
3. 교육과정 활동의 사회적 배경
1) 법적인 권위
2) 사회·문화적 환경
4. 교육과정 참여집단의 관점
1) 학문적 합리주의자의 관점
2) 인본주의자의 관점
3) 사회적응·재건주의자의 관점
3장 교육과정 개발과 개발 모형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2. 교육과정 개발 수준
1) 국가수준 교육과정
2) 지역수준 교육과정
3) 학교수준 교육과정
3. 교육과정 개발 모형
1) 기술·절차 모형
2) 숙의 모형
3) 구성주의 모형
4장 교육목적과 핵심역량
1. 교육목적의 개념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3) 교육의 구체적 목표
2. 교육목적의 설정과정
1) 설정과정
2) 설정자원
3) 설정원칙
3. 교육목적의 영역
4. 교육목적으로서의 핵심역량
5. 교육목적의 진술
1) 교육목표 이원 분류표
2) 행동적 목표 진술
3) 비행동적 목표 진술
5장 교육내용과 성취기준
1. 교육내용의 의미
2. 교과, 경험, 지식, 학문
1) 교과와 경험
2) 지식과 교과
3) 학문과 교과
3. 교육내용의 선정
1) 타당성의 원리
2) 확실성의 원리
3) 중요성의 원리
4) 사회적 유용성의 원리
5) 인간다운 발달의 원리
6) 흥미의 원리
7) 학습 가능성의 원리
4. 성취기준의 의미와 진술
6장 교육과정 설계와 교과 통합
1. 교육과정 설계의 기반
1) 조직구조
2) 조직요소
3) 조직중심
4) 조직원칙
5) 조직원리
2. 교육과정 설계의 유형
1) 학문/교과중심 설계
2) 사회중심 설계
3) 학습자중심 설계
4)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선택
3. 교과 통합 운영의 개념과 필요성
4. 교과 통합 운영의 전개 방안
1) 교과 통합의 과정
2) 교과 통합의 유형
3) 교과 통합의 절차
7장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1. 특별활동
1) 특별활동의 개념과 성격
2) 2007 개정 특별활동 교육과정
2. 재량활동
1) 재량활동의 개념과 성격
2) 2007 개정 재량활동 교육과정
3. 창의적 체험활동
1)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과 성격
2)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3)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4.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제와 전망
8장 학교수준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1.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2.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역사와 주요 특성
3.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본 원리
1) 타당성의 원리
2) 적법성의 원리
3) 전체성의 원리
4) 민주성의 원리
5) 전문성의 원리
6) 현실성의 원리
4.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실제
5.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수준별 편성과 운영
6.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발전 과제
7. 자유학기제의 개념과 교육과정 편성
1) 자유학기제의 개념 및 교육과정으로서의 자유학기제
2)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3) 자유학기제의 성과 및 개선점
9장 교과서의 성격, 구성 체제, 외형 체제, 제도
1. 교과서의 성격
1) 교육과정과 교과서
2) 교과서의 개념
3) 교과서의 역할
4) 교과서의 유형과 기능
2. 교과서의 체제
1)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제
2) 교과서의 외형 체제
3. 교과서 제도
1) 교과서 편찬 제도(검정기준 포함)
2) 교과서 공급 제도
3) 교과서 채택 방법
4. 교과서의 발전 방향
1) 좋은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
2) 디지털 교과서의 전망과 한계
10장 교실수준 교육과정과 백워드 설계
1. 교사와 교육과정
2. 학습경험의 의미
3.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1) 수업내용의 선정과 조직
2) 학습활동의 선정과 조직
4. 학습경험과 수업 모형
5. 교육과정 문서와 수업계획
1) 교육과정 문서 속의 수업계획
2) 교사용 지도서와 수업계획
6. 백워드 수업설계 모형
1) 백워드 수업설계 모형
2) 백워드 설계모형의 최신 동향
3) 백워드 설계 방식으로 단원 설계하기
11장 교육과정의 역사와 2015 개정 교육과정
1. 과거의 교육과정
1)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1946)
2) 교수요목기(1946∼1954)
3)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4)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4)
5)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6)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7)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8)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9)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10) 2007 개정 교육과정
2. 최근의 교육과정
1) 2009 개정 교육과정(2009∼2015)
2)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
12장 교육과정 변화와 운영
1. 교육과정의 변화
1) 교육과정 변화의 개념
2) 변화의 단계
2. 교육과정의 운영 개념과 요인
1)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과 관점
2)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교육과정 운영 전략
1) 연구-개발-보급 모형
2) 교사의 관심에 기반을 둔 수용 모형
3) 협력적 입장
4) 교사 연수의 방법
13장 교육과정 평가와 질 관리
1.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2)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3) 교육과정 평가의 주체
4)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영역
5)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와 기준
6)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7)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
2.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1)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
2)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3)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주체
4)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영역/준거와 기준
5)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3.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와 성취평가제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2) 성취평가제
4. 교육과정 평가의 과제
14장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1. 미국에서의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1) 전통주의자
2) 개념-경험주의자
3) 재개념주의자
2. 우리나라에서의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1)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흐름
2)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에서 본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
3) 2005년 이후의 교육과정 연구 동향
3.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의 발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