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4670 | |
005 | 20170502090315 | |
007 | ta | |
008 | 170501s2017 ggk 000c kor | |
020 | ▼a 9788996248262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1.809519 ▼2 23 |
085 | ▼a 321.80953 ▼2 DDCK | |
090 | ▼a 321.80953 ▼b 2017 | |
100 | 1 | ▼a 양동안 ▼g 梁東安, ▼d 1945- |
245 | 2 0 | ▼a (벼랑 끝에 선)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 ▼d 양동안 지음 |
260 | ▼a 안양 : ▼b 인영사, ▼c 2017 | |
300 | ▼a 349 p. ; ▼c 23 cm | |
500 | ▼a 부록: 1. 우익은 죽었는가?, 2. 현 시점에서 본 「우익은 죽었는가?」, 3. 「우익은 죽었는가?」그 후 30년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1.80953 2017 | 등록번호 1212401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양동안(지은이)
1945년 전남 순천시(구 승주군)에서 출생했다. 196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언론계에 투신했다. 합동통신 외신부 기자로 일하면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이수, 1975년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80년대 말까지 언론계와 학계 두 분야에서 활동했다. 합동통신 외신부 기자로 일하면서는 중앙대 강사로 활동했고, 조선대학교, 경기대학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등의 교수로 일하면서는 경향신문 및 세계일보의 비상임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 1988년 여름에는 「우익은 죽었는가?」라는 글을 발표하여, 국민들에게 당시 한국사회에서 활동하던 좌익혁명세력의 동향과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1990년대부터는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접고 학문연구에 집중했으며, 학문연구 틈틈이 여러 월간지들에 한국사회의 사상적 동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글들을 많이 발표했다. 2009년 25년간 재직해온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퇴임했다.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이다. 주된 연구영역은 정치이데올로기, 혁명론, 한국현대정치사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정치현실』(삼화출판사, 1989), 『대한민국 건국사』(현음사, 2001), 『민주적 코포라티즘』(현음사, 2005), 『사상과 언어』(북앤피플, 2011), 『대한민국 ‘건국일’과 ‘광복절’ 연구』(백년동안, 2016), 『벼랑 끝에 선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인영사, 2017), 『대한민국 건국전후사 바로알기』(대추나무, 2019, 교보문고 역사문화분야 베스트셀러 1위)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1장 자유민주주의체제의 허약성 2장 자유민주주의체제 위기의 증후들 3장 박근혜 탄핵과 체제 위기 심화 4장 촛불집회 주도세력의 정체 5장 문 앞에 다가온 체제변혁 6장 지속중인 혁명정세 7장 체제위기의 근본 원인 8장 자유민주주의체제 방어대책 2부 1장 국내 반체제세력의 규모 2장 1990년대 이후 북한의 대남공작과 반체제세력 3장 각 분야별 반체제세력 실태 4장 반체제세력의 주요 활동 양상 5장 반체제세력과 경제위기 6장 반체제세력과 문화전쟁 7장 반체제세력이 승리한 용어전쟁 8장 반체제세력의 정권 관련 구상 부록 부록1 : 우익은 죽었는가? 부록2 : 현 시점에서 본 「우익은 죽었는가?」 - 조우석 : 한국 右翼사상의 은사 양동안 교수에게 묻는다 - 이동호 : 「우익은 죽었는가?」를 다시 생각한다 - 김용삼 : 선거로 좌익정권 들어설 수도 부록3 : 「우익은 죽었는가?」그 후 3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