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4650 | |
005 | 20230405115132 | |
007 | ta | |
008 | 170501s2014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93454819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3560992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82 | 0 1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14z1 | |
100 | 1 | ▼a 허용, ▼d 1955- |
245 | 1 0 | ▼a 대조언어학 / ▼d 허용, ▼e 김선정 저 |
246 | 0 | ▼i 한자표제: ▼a 對照言語學 |
246 | 1 1 | ▼a Контрастивная лингвистика |
246 | 1 1 | ▼a Linguistique contrastive |
246 | 1 1 | ▼a Ngôn ngữ họcđối chiếu |
246 | 1 1 | ▼a Харъцччлсан шинжлэл |
246 | 1 1 | ▼a Linguistic kontrastif |
246 | 1 1 | ▼a Contrastive linguistics |
246 | 1 1 | ▼a Kontrastiv lingvistikk |
246 | 1 1 | ▼a Linguistica contrastive |
250 | ▼a 2판 | |
260 | ▼a 안양 : ▼b 소통, ▼c [2014] ▼g (2016 2쇄) | |
300 | ▼a xiv, 413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99-413 | |
700 | 1 | ▼a 김선정, ▼g 金善貞, ▼d 1965-, ▼e 저 ▼0 AUTH(211009)21332 |
900 | 1 0 | ▼a Heo, Yong, ▼e 저 |
900 | 1 0 | ▼a Kim, Seon-jung,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14z1 | 등록번호 111772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0 2014z1 | 등록번호 11179898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7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보편성과 유형론의 관점에서 자연언어에 대한 조망과 개별 언어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더불어 동남아 언어들도 대상으로 한다. 음운 대조, 형태 대조, 통사 대조, 어휘, 표현 및 담화 대조 등 대조언어학의 실제적인 내용을 담았다. 각 장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해당 주제에 대한 자연언어의 일반적인 모습, 한국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오류, 해당 주제에 대한 언어별 특징을 기술했다.
한국어를 교육해 본 경험이 있거나 외국어를 배워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한 번쯤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대상 언어 간의 관계에 관하여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에서도 학습자의 모국어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는 외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모국어에 따라 겪는 어려움이 다르다는 사실이 뒷받침해 준다. 예를 들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한국어의 존대법과 조사의 쓰임을 습득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그러나 이들과는 달리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의 경우는 이러한 한국어의 특징을 익히는 데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따라서 외국어를 교육하는 교사가 학습자들의 모국어와 학습 대상 언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효율적으로 이용하면 언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두 언어 간에 무엇이 어떻게 다르며, 이를 실제 언어 교육에 어떻게 응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들 간의 면밀하고 체계적인 대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학습 대상 언어와 학습자의 모국어 간의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적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언어 간 대조가 두 언어 사이의 거리만을 알기 위한 것이라면 특정 기준 없이 두 집단을 단순 비교하면 되겠지만, 그러한 접근방법은 언어를 꿰뚫어 보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모든 언어학자들은 SPE 식의 규칙을 통해 경험한 바 있다. 언어에 대한 연구에서는, 그것이 특별히 언어 간 대조라면 언어적 사실이나 현상이 주어진 기준으로부터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두 사람은 단순한 상호 대조보다는 보편성과 유형론의 관점에서 기술하기로 하였다. 또 하나 고민한 것은 이 책의 목적이 서로 다른 언어에 대한 차이를 지식적으로 전달하는 것인지 자연언어에 대한 조망과 개별 언어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전자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은 또 다른 전문가들에게 맡기기로 하고, 이 책에서는 후자의 입장에 서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전체 목차를 결정하고 각 장의 세부 목차와 다룰 언어도 결정하였다. 원 자료에는 이 책에 실리지 않은 다른 언어도 적지 않게 있었지만, 책의 분량을 고려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중심으로 하고 최근의 우리나라 상황을 생각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동남아 언어들도 부분적으로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제1장과 제2장으로 일종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나머지로 대조언어학의 실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3장부터 6장은 음운 대조를 다루고, 7장과 8장은 형태 대조를 다룬다. 9장부터 11장은 통사 대조를 다루고, 12장은 어휘, 13장은 표현 및 담화 대조를 다룬다.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제1장에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각 장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들어가기’에서는 해당 주제에 대한 자연언어의 일반적인 모습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고, 그에 이어 한국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오류를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그 이후에는 해당 주제에 대한 언어별 특징을 기술하였다. - 저자 머리말에서 발췌
정보제공 :

저자소개
허용(지은이)
. SOAS(University of London) 언어학 박사 . 現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수 저서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공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공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공저), 『대조언어학』(공저) 『번역을 위한 고급한국어』(공저) 등 다수가 있고, 논문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자연언어 모음체계 보편성 평가 모형 구축 연구」 외 다수가 있습니다.
김선정(지은이)
University of London(SOAS) 언어학 박사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한국문화정보학과 교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총무이사(12대)

목차
제1장 대조언어학 개괄 제2장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제3장 모음 제4장 자음 제5장 음절 제6장 음운현상 제7장 어휘범주별 특성 제8장 단어형성법 제9장 어순 제10장 시제와 상 제11장 문장의 종류 제12장 어휘 제13장 표현 및 담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