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경영 방안 연구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경영 방안 연구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영근, 연구책임 변희현, 연구 김희경, 연구 이근호, 연구 박종필, 연구
서명 / 저자사항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경영 방안 연구 / 정영근 연구책임 ; 변희현 [외]공동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형태사항
xx, 523 p.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RRC 2016-7-1
ISBN
9791157883851 9791157883844 (세트)
일반주기
부록: 1. 사례 분석 학교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2.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학교 조사 결과 병치 비교표, 3. 설문지 외  
공동연구: 김희경, 이근호, 박종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4412
005 20170427162656
007 ta
008 170427s2016 ulk 000c kor
020 ▼a 9791157883851 ▼g 94370
020 1 ▼a 9791157883844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3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C2016-7-1
245 0 0 ▼a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경영 방안 연구 / ▼d 정영근 연구책임 ; ▼e 변희현 [외]공동연구
246 1 1 ▼a A study on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for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246 3 1 ▼a Study on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for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6
300 ▼a xx, 523 p.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C 2016-7-1
500 ▼a 부록: 1. 사례 분석 학교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2.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학교 조사 결과 병치 비교표, 3. 설문지 외
500 ▼a 공동연구: 김희경, 이근호, 박종필
700 1 ▼a 정영근, ▼e 연구책임 ▼0 AUTH(211009)17946
700 1 ▼a 변희현, ▼e 연구 ▼0 AUTH(211009)97608
700 1 ▼a 김희경, ▼e 연구 ▼0 AUTH(211009)123891
700 1 ▼a 이근호, ▼e 연구 ▼0 AUTH(211009)118361
700 1 ▼a 박종필, ▼e 연구 ▼0 AUTH(211009)40094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6-7-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6 1998a RRC2016-7-1 등록번호 1117718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 6
3. 연구 추진 방법 | 9


Ⅱ. 교육과정 경영 기초 탐색 | 13
1. 학교경영 중심축으로서의 교육과정 | 15
가. 교육과정 경영의 의미 | 15
나. 교육과정 경영 논의의 전개 과정 | 17
2. 교육과정 경영 관점 및 접근 방식 | 22
3.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 25
가. 자유학기제에 나타난 교육과정 경영의 관점 | 25
나. 학교 기반 교육과정 경영과 자유학기 교육과정의 관련성 | 28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모형 | 29




Ⅲ.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태 및 인식 | 49
1.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태 분석 | 51
가. 실태조사 방법 및 분석 틀 | 51
나. 실태 조사 결과 | 54
다. 결과 논의 | 87
2.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 94
가. 인식 조사 방법 및 분석 틀 | 94
나. 인식 조사 결과 | 95
다. 결과 논의 | 124




Ⅳ.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분석 | 129
1. 분석 대상 및 방법 | 131
2. A교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 134
가. 학교 기본 정보 | 134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편성 | 135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 144
3. B교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 172
가. 학교 기본 정보 | 172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편성 | 173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 184
4. C교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 198
가. 학교 기본 정보 | 198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편성 | 199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 212
5. D교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 234
가. 학교 기본 정보 | 234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편성 | 236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 252




Ⅴ.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방안 | 269
1. 자유학기의 교육과정 경영 | 271
가. 자유학기 교육과정 계획·실행 | 271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 281
2. 교과의 교육과정 경영 | 299
가. 교과 교육과정 계획?실행 | 300
나. 교과 교육과정 경영 | 312
3. 자유학기 활동의 교육과정 경영 | 321
가. 자유학기 활동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 | 322
나. 자유학기 활동 경영 | 333
다. 자유학기 활동 교육과정 경영의 리더십 | 340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 347
1. 요약 | 349
가. 교육과정 경영의 기초 탐색 | 349
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태 및 인식 | 351
다.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 354
라.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방안 | 358
2. 정책 제언 | 363
가. 단위학교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의 예산 확보와 지원 경로 다양화 | 363
나. 교사의 학습공동체 지원 체제 구축 | 375




* 참고문헌 | 383

* ABSTRACT | 391

* 부록 | 395
[부록 1] 사례 분석 학교의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실제 | 397
[부록 2] 자유학기 교육과정 경영 사례 학교 조사 결과 병치 비교표 | 490
[부록 3] 설문지 | 498
[부록 4] 시·도교육청 자유학기제 지원 관련 조사지 | 52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