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4408 | |
005 | 20170427155714 | |
007 | ta | |
008 | 170427s2016 ulkd b 000c kor | |
020 | ▼a 9791157883905 ▼g 94370 | |
020 | 1 | ▼a 979115788389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C2016-8-1 | |
245 | 0 0 | ▼a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n 1, ▼p 초ㆍ중학교를 중심으로 / ▼d 권점례 연구책임 ; ▼e 박은아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Application plans of subjec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b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schools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6 | |
300 | ▼a xxvii, 707 p. : ▼b 도표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C 2016-8-1 |
500 | ▼a 공동연구: 김현경, 이영미, 강민규, 송민영, 배영권, 서영진 | |
500 | ▼a 부록: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현장 지원 요구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초등학교용) 설문지, 2.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현장 지원 요구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중학교용) 설문지 | |
504 | ▼a 참고문헌: p. 655-669 | |
700 | 1 | ▼a 권점례, ▼e 연구책임 |
700 | 1 | ▼a 박은아, ▼e 연구 |
700 | 1 | ▼a 김현경, ▼e 연구 |
700 | 1 | ▼a 이영미, ▼e 연구 |
700 | 1 | ▼a 강민규, ▼e 연구 |
700 | 1 | ▼a 송민영, ▼e 연구 |
700 | 1 | ▼a 배영권, ▼e 연구 |
700 | 1 | ▼a 서영진,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6-8-1 |
900 | 1 0 | ▼a Kwon, Jeom-rae, ▼e 연구책임 |
900 | 1 0 | ▼a Park, Eun-ah, ▼e 연구 |
900 | 1 0 | ▼a Kim, Hyun-kyung, ▼e 연구 |
900 | 1 0 | ▼a Lee, Young-mi, ▼e 연구 |
900 | 1 0 | ▼a Kang, Min-kyu, ▼e 연구 |
900 | 1 0 | ▼a Song, Min-young, ▼e 연구 |
900 | 1 0 | ▼a Bae, Young-kwon, ▼e 연구 |
900 | 1 0 | ▼a Seo, Young-jin, ▼e 연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6 1998a RRC2016-8-1 | 등록번호 1117718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 목적 | 6 3. 연구 내용 | 6 4. 연구 방법 | 9 Ⅱ.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3 1. 교육과정 적용의 의미와 범위 | 15 2. 교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 17 Ⅲ.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21 1. 교과 공통의 변화 | 23 2. 국어과 주요 변화 | 31 3. 사회과 주요 변화 | 44 4. 수학과 주요 변화 | 57 5. 과학과 주요 변화 | 66 6. 영어과 주요 변화 | 80 7. 초등 통합 교과 주요 변화 | 91 8. 정보과 주요 변화 | 103 Ⅳ.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요구 분석 | 113 1. 요구 분석의 개요 | 115 2. 국어과 | 124 3. 사회과 | 169 4. 수학과 | 203 5. 과학과 | 246 6. 영어과 | 292 7. 초등 통합 교과 | 340 8. 정보과 | 373 9.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후속 조치 및 지원 사항 일반 | 404 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419 1. 국어과 | 421 2. 사회과 | 453 3. 수학과 | 479 4. 과학과 | 505 5. 영어과 | 529 6. 초등 통합 교과 | 555 7. 정보과 | 576 Ⅵ.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 제언 | 593 1. 요약 | 595 2.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원 방안 | 601 3. 정책 제언 | 635 * 참고문헌 | 655 * ABSTRACT | 671 * 부록 | 675 [부록 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현장 지원 요구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초등학교용) 설문지 | 677 [부록 2]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현장 지원 요구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중학교용) 설문지 |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