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 내용 16
3. 연구 방법 18
4. 연구 일정 20
Ⅱ.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 방향 21
1.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이해 22
2.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의 의미 28
3. 평가준거 성취기준 개발 방향 34
4. 평가기준 개발 방향 36
5. 단원/영역별 성취수준 개발 방향 39
6. 예시 평가도구 개발 방향 42
7.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 코딩 체계 개발 44
Ⅲ.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의 실제 48
1. 개발 방향 설정 50
가. 선행 연구 분석 50
나.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56
다. 전문가 협의회 및 워크숍 개최 60
2. 검토 및 수정ㆍ보완 61
가.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검토 지침 개발 61
나. 1차 총론팀 검토: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에 대한 검토 69
다. 2차 총론팀 검토: 예시 평가도구에 대한 검토 76
3. 현장 적합성 검토 79
가. 현장 적합성 검토의 목적 79
나. 현장 적합성 검토를 위한 지침 개발 79
다. 교육과정 연구학교 대상 현장 적합성 검토 실시 82
라. 교과별 현장 적합성 검토 실시 84
Ⅳ.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활용 방안 86
1. 평가준거 성취기준 활용 방안 87
2. 평가기준 활용 방안 89
3. 단원/영역별 성취수준 활용 방안 95
가. 단원/영역별 교수 학습 설계 및 개선에 활용 95
나. 단원/영역 단위에서의 평가준거로 활용 97
다. 학생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에 활용 98
4. 예시 평가도구 활용 방안 100
가. 자체적인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 100
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활용 101
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 위주의 수업 및 평가를 이해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 103
라. 다양한 상황의 수행평가 채점 기준 제작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 104
Ⅴ. 요약 및 제언 106
1. 요약 107
2. 제언 110
참고문헌 113
[부록 1] () 교과 평가준거 성취기준 검토 의견서 117
[부록 2] () 교과 평가기준 검토 의견서 118
[부록 3] () 교과 단원/영역별 성취수준 검토 의견서 119
[부록 4] () 교과 예시 평가도구 검토 의견서 120
판권기 2
표목차
〈표 Ⅰ-1〉 본 연구의 연구 일정 20
〈표 Ⅱ-1〉 국가 교육과정에 성취기준이 제시된 예(교육부, 2015b, p. 14) 31
〈표 Ⅱ-2〉 평가준거 성취기준 정의의 변화 32
〈표 Ⅱ-3〉 평가기준 상/중/하의 일반적 특성(홍미영 외, 2012b, p. 19) 37
〈표 Ⅱ-4〉 Bloom(1956)의 Taxanomy에 제시된 행동동사 예시(홍미영 외, 2012b에서 재인용, p. 24) 38
〈표 Ⅱ-5〉 5단계 성취기준의 일반적 특성(홍미영 외, 2012b, p. 18) 41
〈표 Ⅱ-6〉 3단계 성취기준의 일반적 특성(홍미영 외, 2012b, p. 18) 41
〈표 Ⅱ-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코딩 체계 45
〈표 Ⅱ-8〉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 1 46
〈표 Ⅱ-9〉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 2 46
〈표 Ⅱ-10〉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 3 47
〈표 Ⅱ-11〉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 4 47
〈표 Ⅲ-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검토 예시 51
〈표 Ⅲ-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군 영어과 성취수준 검토 예시 54
〈표 Ⅲ-3〉 2015 개정 교육과정 검토 예시 57
〈표 Ⅲ-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 정책연구진 1차 합동 워크숍 내용 60
〈표 Ⅲ-5〉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대한 검토 지침 80
〈표 Ⅲ-6〉 평가기준에 대한 검토 지침 80
〈표 Ⅲ-7〉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에 대한 검토 지침 81
〈표 Ⅲ-8〉 예시 평가도구에 대한 검토 지침 81
〈표 Ⅲ-9〉 교육과정 연구학교 대상 현장 적합성 검토 워크숍 일정 83
〈표 Ⅲ-10〉 교육과정 연구학교 대상 현장 적합성 검토 교과별 검토 교사 수 84
〈표 Ⅲ-11〉 교과별 현장 적합성 검토 교사 수 84
〈표 Ⅳ-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평가기준'' 예시 문항에 대한 채점 기준 표 94
〈표 Ⅳ-2〉 영어과 초등학교 3~4학년군 ''읽기'' 영역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96
〈표 Ⅳ-3〉 사회과 중학교 ''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단원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98
〈표 Ⅳ-4〉 초등학교 통합교과 ''학교와 친구'' 영역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99
〈표 Ⅳ-5〉 채점 기준 제작 참고자료 예시 105
그림목차
[그림 Ⅰ-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평가기준 개발 연구 구성 16
[그림 Ⅱ-1]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구성의 주요 방향 23
[그림 Ⅱ-2]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 23
[그림 Ⅱ-3]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구도 26
[그림 Ⅱ-4] 평가기준 관련 용어의 변화 29
[그림 Ⅱ-5] 평가기준 상/중/하의 학년군 간 관계 모형 37
[그림 Ⅲ-1] 연구의 절차 49
[그림 Ⅲ-2] 평가기준 작성을 위한 성취기준 특성 분석틀 56
[그림 Ⅳ-1]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이해도를 높이는 예시 평가도구 102
[그림 Ⅳ-2] 역량 위주의 평가 이해를 위한 예시 평가도구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