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일반미생물학

일반미생물학 (Loan 3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illey, Joanne M. Sherwood, Linda, 저 Woolverton, Christopher J., 저 김영민, 역 김경민, 역 박만성, 역 방성호, 역 서영훈, 역 송윤재, 역 신광수, 역 이영원, 역 이재영, 역 이찬용, 역 정인실, 역 하영미, 역
Title Statement
일반미생물학 / Willey, Sherwood, Woolverton ; 김영민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2016  
Physical Medium
xiv, 641, [60] p. : 천연색삽화, 도표 ; 28 cm
Varied Title
Prescott's microbiology (9th ed.)
ISBN
9788961542227
General Note
공역자: 김경민, 박만성, 방성호, 서영훈, 송윤재, 신광수, 이영원, 이재영, 이찬용, 정인실, 하영미  
부록: 1. 생물분자의 화학적 특성, 2. 일반적인 대사경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icrobiology --Textbook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3803
005 20170424143513
007 ta
008 170424s2016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1542227 ▼g 934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9/041 ▼a 579 ▼2 23
085 ▼a 616.9041 ▼2 DDCK
090 ▼a 616.9041 ▼b 2016z1
100 1 ▼a Willey, Joanne M. ▼0 AUTH(211009)86573
245 1 0 ▼a 일반미생물학 / ▼d Willey, ▼e Sherwood, ▼e Woolverton ; ▼e 김영민 [외]옮김
246 1 9 ▼a Prescott's microbiology ▼g (9th ed.)
246 3 0 ▼a 미생물학
246 3 9 ▼a Microbiology
260 ▼a 서울 : ▼b 라이프사이언스, ▼c 2016
300 ▼a xiv, 641, [6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8 cm
500 ▼a 공역자: 김경민, 박만성, 방성호, 서영훈, 송윤재, 신광수, 이영원, 이재영, 이찬용, 정인실, 하영미
500 ▼a 부록: 1. 생물분자의 화학적 특성, 2. 일반적인 대사경로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Microbiology ▼v Textbooks
700 1 ▼a Sherwood, Linda, ▼e▼0 AUTH(211009)37320
700 1 ▼a Woolverton, Christopher J., ▼e▼0 AUTH(211009)99743
700 1 ▼a 김영민, ▼e▼0 AUTH(211009)24654
700 1 ▼a 김경민, ▼e▼0 AUTH(211009)72356
700 1 ▼a 박만성, ▼e▼0 AUTH(211009)63619
700 1 ▼a 방성호, ▼e▼0 AUTH(211009)139250
700 1 ▼a 서영훈, ▼e▼0 AUTH(211009)96231
700 1 ▼a 송윤재, ▼e▼0 AUTH(211009)69750
700 1 ▼a 신광수, ▼e▼0 AUTH(211009)18243
700 1 ▼a 이영원, ▼e▼0 AUTH(211009)86574
700 1 ▼a 이재영, ▼e▼0 AUTH(211009)112956
700 1 ▼a 이찬용, ▼e▼0 AUTH(211009)37321
700 1 ▼a 정인실, ▼e▼0 AUTH(211009)73291
700 1 ▼a 하영미, ▼e▼0 AUTH(211009)71747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9041 2016z1 Accession No. 1117713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9041 2016z1 Accession No. 1513458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9041 2016z1 Accession No. 1117713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9041 2016z1 Accession No. 1513458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1부 미생물학에 대한 소개 

1 미생물의 진화와 미생물학 
1.1 미생물 세계의 구성원들 
1.2 미생물의 진화 
1.3 미생물학과 그 기원 
1.4 오늘날의 미생물학 

2 세균의 세포 구조 
2.1 원핵생물에 대한 논란 
2.2 전형적인 세균 
2.3 세균의 원형질막 
2.4 세균의 세포벽 
2.5 세포벽 바깥쪽의 세포외피 
2.6 세균의 세포질 
2.7 외부 구조 
2.8 세균의 운동성과 주화성 
2.9 세균의 내생포자 

3 진핵세포의 구조 
3.1 진핵세포의 일반적인 구조 
3.2 진핵세포의 막 
3.3 진핵세포의 세포질 
3.4 생합성 분비와 세포내흡입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3.5 세포의 유전적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3.6 에너지 보존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 
3.7 세포막의 외부 구조 
3.8 세균, 고세균 및 진핵세포의 비교 

4 바이러스와 비세포성 감염인자 
4.1 바이러스 
4.2 바이러스 입자 구조 
4.3 바이러스 증식 
4.4 바이러스 감염의 형태 
4.5 바이러스 배양과 정량법 
4.6 바이로이드와 위성체 
4.7 프리온 

2부 미생물의 영양, 생장 및 조절 

5 미생물의 생장 
5.1 미생물 증식법 
5.2 세균의 세포주기 
5.3 미생물 생장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5.4 자연환경에서의 미생물 생장 
5.5 실험실에서 미생물의 배양 
5.6 생장곡선 
5.7 미생물 군집 크기의 측정 
5.8 미생물의 연속배양 

6 환경에서 미생물의 제어 
6.1 미생물 제어의 원리 
6.2 미생물의 사멸양상 
6.3 기계적 제거 방법 
6.4 물리적 제어 방법 
6.5 화학 제어 물질 
6.6 항미생물제의 효능 평가 
6.7 미생물의 생물학적 제어 

7 항미생물 화학치료 
7.1 화학치료의 발달 
7.2 항생물질의 일반 특성 
7.3 항미생물제의 효능 분석 
7.4 항세균제 
7.5 항진균제 
7.6 항바이러스제 
7.7 항원충제 
7.8 항생물질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부 미생물 물질대사 

8 물질대사: 들어가기 
8.1 물질대사: 주요 원리와 개념 
8.2 ATP: 세포의 주요 에너지 화폐 
8.3 산화환원 반응: 물질대사에서 핵심 반응 
8.4 전자전달사슬: 연속 산화환원 반응 세트 
8.5 생화학 경로 
8.6 효소와 리보자임 
8.7 물질대사의 조절 

9 이화작용: 에너지 방출과 보존 
9.1 대사 다양성과 영양형태 
9.2 화학유기영양에서의 연료공급과정 
9.3 산소호흡 
9.4 포도당으로부터 피루브산까지 
9.5 TCA 회로 
9.6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 
9.7 무산소호흡 
9.8 발 효 
9.9 포도당이 아닌 다른 유기분자의 이화작용 
9.10 화학무기영양 
9.11 광영양 

10 동화작용: 생합성 과정에서 에너지의 이용 
10.1 생합성의 원리 
10.2 전구대사물질 
10.3 CO2 고정 
10.4 탄수화물의 합성 
10.5 아미노산의 합성 
10.6 퓨린, 피리미딘과 뉴클레오티드의 합성 
10.7 지질 합성 

4부 미생물 분자생물학과 유전학 

11 세균 유전체의 복제와 발현 
11.1 유전물질로서의 DNA 
11.2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 
11.3 세균의 DNA 복제 
11.4 세균 유전자 구조 
11.5 세균의 전사 
11.6 유전암호 
11.7 세균의 번역 
11.8 단백질 성숙과 분비 

12 세균의 세포과정 조절 
12.1 조절 단계 
12.2 전사개시의 조절 
12.3 전사신장의 조절 
12.4 번역단계의 조절 
12.5 복잡한 세포과정의 조절 

13 진핵생물과 고세균의 유전체 복제와 발현 
13.1 왜 진핵생물과 고세균의 유전학을 함께 다루는가? 
13.2 DNA 복제 
13.3 전 사 
13.4 번역, 단백질 성숙, 위치 지정 
13.5 세포과정의 조절 

14 유전자 변이 기전 
14.1 돌연변이 
14.2 돌연변이체의 검출과 분리 
14.3 DNA 수선 
14.4 부가적 유전적 변이성의 생성 
14.5 전이인자 
14.6 세균의 접합 
14.7 세균의 형질전환 
14.8 형질도입 
14.9 끊임없이 진화하는 생명체: 세균의 항생제 내성 생성 

15 재조합 DNA 기술 
15.1 재조합 DNA 기술의 주요 성장 
15.2 중합효소연쇄반응 
15.3 클로닝 벡터와 재조합 DNA 
15.4 유전체 도서관의 제조 
15.5 숙주세포로의 재조합 DNA 도입 
15.6 숙주세포에서 외부 유전자의 발현 

5부 미생물 세계의 다양성과 생태 

16 미생물의 분류와 진화의 다양성 
16.1 미생물 분류 서론 
16.2 분류학적 단계 
16.3 미생물 분류와 계통발생학의 방법 
16.4 계통발생수 
16.5 미생물종의 개념과 진화과정 
16.6 버지의 세균분류학 편람 

17 고세균 
17.1 고세균의 일반적인 특징 
17.2 크렌고세균문 
17.3 유리고세균문 

18 생물지구화학적 순환과 지구기후변화 
18.1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18.2 지구 기후변화 

19 미생물의 상호작용 
19.1 미생물의 상호작용 
19.2 인간과 미생물의 상호작용 
19.3 사람의 고유미생물상 

6부 미생물에 의한 질병, 숙주방어 역학 

20 숙주의 내재저항 
20.1 내재저항의 개요 
20.2 내재저항에서의 물리적 및 기계적 장벽에 의한 방어 
20.3 내재저항에서의 화학적 매개체 
20.4 면역계의 세포, 조직 및 기관 
20.5 식세포작용 
20.6 염 증 

21 적응면역 
21.1 적응면역의 개요 
21.2 항 원 
21.3 적응면역의 종류 
21.4 외래물질의 인식 
21.5 T 세포 생물학 
21.6 B 세포 생물학 
21.7 항 체 
21.8 항체의 작용 
21.9 획득면역관용 
21.10 면역질환 

22 병원성과 감염 
22.1 병원성과 감염성 질병 
22.2 독 성 
22.3 노출과 전파 

23 감염질병의 역학과 공중보건미생물학 
23.1 역 학 
23.2 역학적 방법 
23.3 감염질병 빈도 측정 
23.4 인구집단 내 감염병의 양상 
23.5 새롭게 출현하거나 재출현한 감염병과 병원체 
23.6 의료관련감염 
23.7 유행병의 예방 및 제어 
23.8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 

7부 응용미생물학 

24 식품미생물학 
24.1 미생물 증식과 식품의 부패 
24.2 식품부패의 관리 
24.3 식품매개 질병의 출현 
24.4 식품매개 병원체의 검출 
24.5 발효식품의 미생물학 
24.6 프로바이오틱스 

25 생물공학과 산업미생물학 
25.1 산업미생물학의 주요 생산품 
25.2 생물연료 생산 
25.3 산업 현장에서 미생물 배양 
25.4 산업미생물학에 이용되는 미생물 
25.5 농업생명공학 
25.6 제품으로서의 미생물 

26 응용환경 미생물학 
26.1 수질정화와 위생분석 
26.2 폐수처리 
26.3 미생물 연료전지 
26.4 생분해와 생물복원 

부록 
용어해설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Wood, Alex M. (2022)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