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백준기 白俊基, 저 김태형 金泰亨, 저 류덕현 柳德鉉, 저 윤성욱 尹盛煜, 저
서명 / 저자사항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 / 백준기 [외]
발행사항
세종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형태사항
281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전략지역심층연구 = 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 ; 16-07
ISBN
9788932216492 9788932210728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김태형, 류덕현, 윤성욱  
부록: 이란의 제6차 5개년 계획, 2016년 3월~2021년 3월 시행법안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4-26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3631
005 20170421114456
007 ta
008 170421s2016 sjka b 000c kor
020 ▼a 9788932216492 ▼g 94320
020 1 ▼a 9788932210728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0.9 ▼2 23
085 ▼a 330.9 ▼2 DDCK
090 ▼a 330.9 ▼b 2009z11 ▼c 16-7
245 0 0 ▼a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 / ▼d 백준기 [외]
246 1 1 ▼a Th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and foreign relation of Iran
246 3 1 ▼a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and foreign relation of Iran
260 ▼a 세종 : ▼b 대외경제정책연구원, ▼c 2016
300 ▼a 281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전략지역심층연구 = ▼x 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 ; ▼v 16-07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16-34
500 ▼a 공저자: 김태형, 류덕현, 윤성욱
500 ▼a 부록: 이란의 제6차 5개년 계획, 2016년 3월~2021년 3월 시행법안
504 ▼a 참고문헌: p. 244-262
700 1 ▼a 백준기 ▼g 白俊基, ▼e▼0 AUTH(211009)134092
700 1 ▼a 김태형 ▼g 金泰亨, ▼e▼0 AUTH(211009)132204
700 1 ▼a 류덕현 ▼g 柳德鉉, ▼e▼0 AUTH(211009)59714
700 1 ▼a 윤성욱 ▼g 尹盛煜, ▼e▼0 AUTH(211009)123872
830 0 ▼a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v 16-34
900 1 0 ▼a Baek, Jun-kee, ▼e
900 1 0 ▼a Kim, Tae-hyung, ▼e
900 1 0 ▼a Ryu, Deock-hyun, ▼e
900 1 0 ▼a Yoon, Sung-wook,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기증 청구기호 KIEP 330.9 2009z11 16-7 등록번호 1117709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방법 및 동향 
가. 연구방법 
나. 국내연구 동향 
다. 문헌조사, 심층면접, 현지 조사의 병합 

제2장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동과 중동 
1. 국제체제 변동에 관한 신현실주의적 접근 
2. 중동지역 재구조하의 국제정치 · 경제학 
가. 19세기 이전 
나. 19세기 유럽 제국주의(19세기 초~1차 세계대전) 
다. 국가시스템의 출범(1914~50년) 
라. 민족국가 건설과 냉전(1950~90년) 
마. 탈냉전과 새로운 중동 질서 

3. 중동지역체제의 변화과정과 메커니즘, 그리고 이란 
4. 이란의 중견국 모형의 적용가능성 
5. 소결 

제3장 이란과 미국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20세기 초: 냉전 시작 전 
나. 냉전기 
다. 탈냉전기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경제적 요인 
다. 에너지 요인 
라. 이란의 국내정치 요인 

3. 이란의 핵프로그램과 양국관계 
4. 소결 

제4장 이란과 러시아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근대~냉전 이런 시기 
나. 냉전기 
다. 냉전 해제 이후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에너지 및 경제적 요인 
다. 미국요인 
라. 국내정치적 요인 

3. 이란의 핵프로그램과 러시아 
4. 소결 

제5장 이란과 EU의 전략적 관계 패턴 
1. 양자관계의 역사성 
가. 냉전기 및 탈냉전기 
나. 이란혁명 이후 초기(1979~89년) 
다. 긴장완화 및 신뢰회복기(1989~97년) 
라. 관계확장 시기(1997~2002년) 
마. 핵프로그램 이후(2002년~) 

2. 양자관계의 결정요인 
가. 지정학적 요인 
나. 경제적 요인: 교역 관계 및 제재 
다. 에너지 요인 
라. 국내 및 대외적 요인(미국) 

3. 이란 핵문제 해결과 EU 
4. 소결 

제6장 이란의 거시재정구조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전략 
1. 이란의 거시경제, 재정, 그리고 산업 및 무역 구조 
가. 이란의 거시경제 현황 
나. 이란의 재정과 2016년 예산안 
다. 이란의 산업 및 무역 구조 

2. 산유국 경제의 거시 · 재정 이슈 
3.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한 이란의 전략 
가. 경제체재 해제 이후의 발전전략(제6차 5개년 개발계획) 
나. 이란의 산업구조 재편과 한국과 이란의 산업협력방안 
1) 이란의 산업구조 재편 
2) 한국과 이란의 산업협력방향 

4. 소결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관련분야 신착자료

大塚啓二郎 (2023)
최병선 (2023)
柄谷行人 (2023)
Garritzmann, Julian 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