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2717 | |
005 | 20230830131731 | |
007 | ta | |
008 | 170411s2017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30089159 ▼g 04330 | |
020 | 1 | ▼a 978893008001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474728 | |
040 | ▼a 211036 ▼c 211036 ▼d 211009 | |
082 | 0 4 | ▼a 301.095195 ▼2 23 |
085 | ▼a 301.09531 ▼2 DDCK | |
090 | ▼a 301.09531 ▼b 2017 | |
245 | 0 0 | ▼a 서울사회학 : ▼b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 ▼d 서우석 [외]엮음 |
246 | 1 1 | ▼a Sociology of Seoul : ▼b people, space and everyday life |
260 | ▼a 파주 : ▼b 나남, ▼c 2017 ▼g (2018 2쇄) | |
300 | ▼a 403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공편자: 변미리, 김백영, 김지영 | |
500 | ▼a 저자: 김미영, 김백영, 김지영, 박우, 변미리, 서우석, 신인철, 심재만, 오세일, 윤여상, 이나영, 이상직, 장원호, 전상인, 조성남, 조영태, 최설아, 한신갑, 한준 | |
500 | ▼a 기획: 한국사회학회, 서울연구원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서우석, ▼g 徐佑錫, ▼d 1968-, ▼e 편 ▼0 AUTH(211009)132890 |
700 | 1 | ▼a 변미리, ▼d 1964-, ▼e 편 ▼0 AUTH(211009)132702 |
700 | 1 | ▼a 김백영, ▼g 金白永, ▼d 1970-, ▼e 편 ▼0 AUTH(211009)93792 |
700 | 1 | ▼a 김지영, ▼g 金知榮, ▼d 1981-, ▼e 편 ▼0 AUTH(211009)96090 |
700 | 1 | ▼a 김미영, ▼g 金美英, ▼d 1981-, ▼e 저 ▼0 AUTH(211009)155430 |
700 | 1 | ▼a 박우, ▼e 저 |
700 | 1 | ▼a 신인철, ▼g 申仁哲, ▼d 1976-, ▼e 저 ▼0 AUTH(211009)27602 |
700 | 1 | ▼a 심재만, ▼g 沈在滿, ▼d 1973-, ▼e 저 ▼0 AUTH(211009)60496 |
700 | 1 | ▼a 오세일, ▼g 吳世逸, ▼d 1970-, ▼e 저 ▼0 AUTH(211009)154720 |
700 | 1 | ▼a 윤여상, ▼g 尹汝常, ▼d 1967-, ▼e 저 ▼0 AUTH(211009)72207 |
700 | 1 | ▼a 이나영, ▼g 李娜榮, ▼d 1968-, ▼e 저 ▼0 AUTH(211009)88788 |
700 | 1 | ▼a 이상직, ▼e 저 ▼0 AUTH(211009)46903 |
700 | 1 | ▼a 장원호, ▼g 張元皓, ▼d 1962-, ▼e 저 ▼0 AUTH(211009)2715 |
700 | 1 | ▼a 전상인, ▼g 全相仁, ▼d 1958-, ▼e 저 ▼0 AUTH(211009)108232 |
700 | 1 | ▼a 조성남, ▼g 趙成南, ▼d 1954-, ▼e 저 ▼0 AUTH(211009)116763 |
700 | 1 | ▼a 조영태, ▼g 曺永台, ▼d 1972-, ▼e 저 ▼0 AUTH(211009)24011 |
700 | 1 | ▼a 최설아, ▼e 저 ▼0 AUTH(211009)155432 |
700 | 1 | ▼a 한신갑, ▼g 韓信甲, ▼d 1962-2019, ▼e 저 ▼0 AUTH(211009)20515 |
700 | 1 | ▼a 한준, ▼g 韓準, ▼d 1966-, ▼e 저 ▼0 AUTH(211009)129392 |
900 | 1 0 | ▼a Seo, U-seok, ▼e 편 |
900 | 1 0 | ▼a Byun, Mi-ree, ▼e 편 |
900 | 1 0 | ▼a Kim, Baek-yung, ▼e 편 |
900 | 1 0 | ▼a Kim, Ji-young,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118148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21239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513345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118148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21239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09531 2017 | Accession No. 1513345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울에 대한 접근을 여러 각도로 시도한 책이다. 각자 관심분야가 다른 18명의 사회학자가 모여 ‘건강’, ‘종교’, ‘광장’, ‘편의점’, ‘러브호텔’ 등 다양한 키워드로 서울을 이야기한다. 자료와 해석, 원리와 통찰 사이에서 자칫 균형을 잃을 수 있는 독자적 연구에 비해 이 책의 다채로운 목소리는 평형감각을 성공적으로 유지한다.
이미《편의점 사회학》이라는 책을 냈던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이 책에서 “편의점을 알면 서울이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편의점을 알아야 서울이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한국의 중추도시로서 오랫동안 역할을 해온 서울을 고려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서울을 알면 한국사회가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한국사회학회, 서울연구원 기획 《서울사회학》 출간
‘서울사회학’의 필요성
환경오염, 교통체증, 빈부격차,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까지. 대도시의 출현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도시화를 역행할 수 없다면 도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첩경일 것이다. 도시문제의 정확한 파악이야말로 피해 예방 및 해결의 선결조건이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대도시들이 사회학의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상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인구 천만이 넘는 메가시티 서울은 한국사회의 축약판이며 세계적인 대도시 중 하나이다. 서울 역시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연구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오랫동안 각자 다른 관심분야에 천착해 온 18명의 사회학자가 모여 집대성한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서울’을 이해하는 것이 자신의 삶에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 피부로 체감하게 해줄 것이다.
서울을 구성하는 14개의 조각들
《서울사회학》은 4개의 큰 주제와 14개의 작은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1부에서는 서울의 현실에서 불평등이 나타나고 작용하는 다양한 양상을 제시하였다. 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였고, 서울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가는지, 또 25개 자치구마다 건강과 종교 등의 요소에서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를 보여 준다. 특히 우리의 통념과는 다르게 ‘수도권’이 아닌 ‘서울’에 인구가 몰린 것은 ‘지속적’인 현상이 아니라 1960년대에 일어난 ‘집중적’인 현상이라는 점이 주목을 끈다. 또한 서울의 인구정책에 따라 서울은 물론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가능성이 좌우될 수 있음도 주의를 요한다.
2부에서는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관계를 다루었다. 서울의 광장문화를 다룬 장은 최근 정치적인 공론장으로서 광화문이 뜨거웠던 기억이 생생한 독자들에게 흥미로울 법하다. 서울의 광장이라는 지형도를 통시적으로 그리고 공시적으로 엮어 내면서, 저자는 우리 광장이 지향해야 할 좌표를 한 번씩 고민하게끔 만든다. 또 다음 장은 ‘강남’이라는 일상적인 명칭의 모호성을 지적하는데, 이는 심상지리와 실제 지리의 간극을 메워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변에서 흔히 지나칠 수 있는 ‘편의점’과 ‘러브호텔’을 통해 서울을 바라보는 각각의 장 역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신선한 시선이다. 특히 우리 생활 깊숙이 스며든 ‘편의점’이라는 공간이 대도시 라이프스타일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이 새삼 놀랍다.
도시경제의 변화하는 다양한 측면들을 다룬 3부에서는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이 어떻게 결합하는지, 또 ‘한류 씬’과 ‘호텔’의 변천은 서울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려 준다. 마지막 4부에서는 소수자의 문제들, 즉 도시의 사각지대에 놓인 노숙인과 조선족 그리고 탈북자의 서울살이를 그려 낸다. 잘 보이는 존재가 아니라 눈에 잘 띄지 않는 존재에 관심을 쏟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장들이라 하겠다. 앞으로 빈부 격차는 더 심해지고 국가 간 경계는 더 희미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배제되는 소수자들은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향후 ‘서울사회학’의 주요한 연구주제로 부각될 것이다.
서울의 다양성, 서울사회학의 다양성
서울은 오랫동안 역동적인 한국사의 중심으로 기능해 왔다. 그 유구한 역사와 함께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주목도가 높다. 서울을 이해하는 길이 하나일 수 없는 이유이다. 그런 의미에서《서울사회학》의 최대강점은 ‘서울’을 향한 여러 갈래의 길을 보여 준 다양성과 가능성이다. 저자들은 모두 각자 자신의 전공에 오래 천착한 전문가들이다. 이들의 협업은 중구난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이 책 안에서 한목소리를 낸다.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성남(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과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리더십개발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전국여교수연합회장, 한국사회학회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 평화의료재단 총재를 지냈고, 지금은 한국가족문화원 이사장과 그린리더스포럼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연구 분야는 의료보건사회학, 고령화와 노인문제,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사회 및 생애주기별 커뮤니티 건강성 연구 등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전상인(지은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학에서 사회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방문교수, 일본 히도츠바시대학 방문교수와 한국미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세상과 사람 사이》(2004),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2009), 《옥상의 공간사회학》(2012), 《편의점 사회학》(2014), 《공간으로 세상 읽기: 집·터·길의 인문사회학》(2017), 《공간 디자이너 박정희》(2019), 《헝그리사회가 앵그리사회로》(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제임스 스콧의 《국가처럼 보기》(2010),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2020) 등이 있다.
장원호(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 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지원으로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의 한국 교육』, 『공감, 대한민국을 바꾼다』(공저) 등이 있고, 공감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이나영(지은이)
여성학 박사로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스트식민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고민하면서, 일본군성노예제, 미군 기지촌 ‘위안부’, 성매매, 여성운동과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제에 천착해 왔다. 논문으로는 “Un/forgettable histories of US camptown prostitution in South Korea : Women’s experiences of sexual labor and government policies”(2018),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2016)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여성주의 역사쓰기 :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2013), 《젠더와 사회》(공저, 2014),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편저, 2019) 등이 있다.
한신갑(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조직(사회연결망/네트워크분석, 조직과 제도, 경제사회학, 사회계층의 구조와 과정), 경력과 생애사, 문화소비/소비문화, 사회사/역사사회학, 방법론(텍스트, 시간/공간) 등이다. 최근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막힌 길 돌아서 가기: 남북관계의 네트워크 분석』(2013),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2015), “나이테 다시 그리기: 사회적 역할 구분에 따른 연령구분의 재설정”(2014, 김이선 공저), “The Other Ride of Paul Revere: The Brokerage Role in the Making of the American Revolution”(2009) 등이 있다.
이상직(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수료. 저서 및 역서로 <한국의 노숙인: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2013, 공저),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2012, 공역)가 있다.
한준(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있으며, 조직사회학, 예술사회학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 사회의 제도에 대한 신뢰』, 『사회 안의 조직, 조직 안의 사회』, 『플랫폼 임팩트 2023』(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사회 사상을 소설로 만나다 : 가능한 최선의 사회를 찾아서』, 『예술사회학』(공역) 등이 있다.
조영태(지은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동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장 사람들이 태어나고 이동하고 사망하는 인구현상을 통해 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읽어내는 인구학자.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인구학을 공부했으며, 저서로 『정해진 미래』 『인구 미래 공존』 등이 있다.
김미영(지은이)
박우(지은이)
신인철(지은이)
심재만(지은이)
오세일(지은이)
미국 보스톤컬리지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종교와 영성, 문화와 사회운동, 행복과 삶의 질 등을 포괄하며, 통계 분석과 질적 방법론을 통해 사회현상의 구조적이고 심층적인 의미를 분석하는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윤여상(지은이)
최설아(지은이)
변미리(엮은이)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매사추세츠대 앰허스트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사회학회와 미래학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관심 분야는 도시의 사회문화와 도시 구조의 변화를 둘러싼 원인과 결과 분석, 서울시와 세계 도시의 삶의 질 비교 연구, 미래 사회 발전 전략 등이며 공저로 『서울의 인문학』, 『도시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서울사회학』 등이 있다.
서우석(엮은이)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저서로『보이는 용산 보이지 않는 용산』(공저)『사이버 공간의 문화 코드』(공저), 주요 논문으로「디지털 시대의 문화자본과 불평등」「네트워크화된 문화소비자와 문화자본」등이 있다.
김백영(엮은이)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교토대학 방문연구원, 도시사학회 편집위원장, 미국 UC 샌디에이고 방문학자, 한국사회사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2009) 이외에 「4·19와 5·16의 공간사회학」,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 “Korean Studies between the Social Sciences and Historical Studies” 등의 논문과 『경계의 섬, 오키나와』, 『고도의 근대』, 『사회사/역사사회학』, 『서울사회학』 등의 공저가 있다.
김지영(엮은이)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5 제1부 격차사회의 불평등과 삶의 질 제1장 서울의 인구 조영태 1. 들어가며 25 2. 서울, 서울로: 이촌향(移村向) 서울! 27 3.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30 4. 서울에서 태어나기 33 5. 서울에서 결혼하기 37 6. 서울의 가구원 수 40 7. 서울에서 사망하기 43 8. 나가며 45 제2장 서울의 노동, 사회의 불평등 한준ㆍ신인철 1. 들어가며 49 2. 일에서의 불평등 51 3. 경제적 소득의 불평등 56 4. 불평등에 대한 인식 60 5. 나가며 68 제3장 서울 어느 동네 누가 건강할까? 심재만 1. 들어가며 71 2. ‘시민’의 건강, ‘구민’의 건강 73 3. 유유상종 효과 및 그 너머 75 4. 어떤 자치구 효과가 존재하는가? 80 5. 자치구 효과는 자치구 내 모든 사회집단에서 고르게 나타나는가? 84 6. 나가며 87 제4장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 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 변미리ㆍ오세일 1. 들어가며 99 2. 종교와 행복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 101 3. 청년세대는 탈종교화 경향을 보인다 105 4. 종교는 강남/서초 등 중상층 거주지역, 여성 청년에게 더 가깝다 108 5. 일상생활과 종교의 관련성은 종교유형별로 상이하다 110 6. 청년세대에게 종교와 믿음은 어떤 의미인가? 113 7. 나가며 117 제2부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 제5장 서울의 광장문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김백영 1. 한국의 광장 125 2. 한국 광장문화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서 127 3. 광장문화의 유형학: 과시형 광장과 소통형 광장 130 4. 조선시대의 상언과 격쟁에서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까지 133 5. 일제하 서울 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138 6. 4ㆍ19와 5ㆍ16의 공간사회학 142 7. ‘한강의 기적’과 1980년대 학생운동의 가두시위 147 8. 21세기 새로운 광장문화를 꿈꾸며 151 제6장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문화지리, 그 윤곽과 경계 한신갑 1. 두 가지 금 긋기 157 2. 첫 번째 금 긋기: 지리적 강남 162 3. 두 번째 금 긋기: 사회경제적 강남 165 4.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사회학 172 제7장 편의점으로 읽는 서울의 공간과 일상 전상인ㆍ최설아 1. 편의점으로 서울 읽기 177 2. 공간분석: ‘편의점 도시’ 서울 179 3. 일상연구: 편의점과 ‘서울살이’ 191 4. 편의점 ‘사용설명서’ 203 제8장 욕망의 문화사회사, 한국의 러브호텔 이나영 1. 들어가며 205 2. 불온한 성매매 공간으로서의 여관: 포스트/식민, 도심 하위문화로서 밤 공간의 탄생 210 3. ‘장급여관’과 ‘러브호텔’의 등장: 발전국가와 분열된 섹슈얼리티 217 4. ‘부티크 모텔’의 탄생: 후기자본주의사회의 놀이와 쾌락의 공간으로 228 5. 나가며 234 제3부 도시경제와 소비문화 제9장 강남 문화경제의 사회학: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서우석ㆍ변미리 1. 소비ㆍ주거에서 생산으로 241 2.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244 3. ‘강남’이라는 장소의 생산 252 4. 강남 문화경제의 진화 256 제10장 서울의 한류 씬 장원호 1. 도시 씬의 개념 259 2. 한류현상의 개요와 현황 261 3. 서울의 한류 씬 265 4. 서울의 한류 씬과 초국적 문화공동체 277 제11장 서울, 호텔로 말하다 김미영 1. 호텔과 도시, 그리고 서울 281 2. 서울의 호텔, 전형(典型)과 변형(變形) 283 3. 서울의 호텔, 숙박 그 이상의 공간 292 4. 나가며 301 제4부 소수자들의 생활세계 제12장 서울의 노숙인, 노숙인의 서울 이상직ㆍ한신갑 1. 서울의 노숙인 305 2. 서울에 오다 309 3. 노숙을 시작하다 314 4. 노숙장소의 의미 320 5. 노숙인의 서울 326 제13장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박 우 1. 서울의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29 2. ‘만주드림’의 잔상,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설정되다 331 3. 중국식 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배태하다 333 4. 한국의 신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현실화하다 337 5. ‘코리안드림’은 서울에서 실현되고 있다 340 6. ‘초국적 상경’과 조선족의 의미 346 제14장 이방인 아닌 이방인, 탈북자 윤여상 1. 서울의 이방인, 서울살이를 꿈꾼다 351 2. 남한살이, 서울살이의 현재 354 3. 서울 시민, 그러나 출발선이 다른 이방인 359 4. 북한과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서울살이 366 5. 이방인에서 탈출하기, 성공할 것인가? 375 에필로그 381 찾아보기 393 저자 소개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