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국 교육 정치학

미국 교육 정치학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pring, Joel H., 저 정일환, 역 김혜숙, 역 이혜미, 역 김유원, 역 김민아, 역 김은수, 역 김진원, 역 유동훈, 역 이동화, 역 이미연, 역 이현우, 역 이혜나, 역 장사랑, 역 채현우, 역
서명 / 저자사항
미국 교육 정치학 / Joel Spring 저 ; 정일환 [외] 공역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6  
형태사항
397 p. ; 26 cm
원표제
The politics of American education
ISBN
9788925410579
일반주기
공역자: 김혜숙, 이혜미, 김유원, 김민아, 김은수, 김진원, 유동훈, 이동화, 이미연, 이현우, 이혜나, 장사랑, 채현우  
서지주기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ducation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on --United States Educational technology --Government policy --United States Public schools --United States Education and state --United States Technology and state --United Stat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2092
005 20170406140223
007 ta
008 170405s2016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10579 ▼g 93370
035 ▼a (KERIS)BIB000014097650
040 ▼a 211006 ▼c 211006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9.73 ▼2 23
085 ▼a 379.73 ▼2 DDCK
090 ▼a 379.73 ▼b 2016
245 0 0 ▼a 미국 교육 정치학 / ▼d Joel Spring 저 ; ▼e 정일환 [외] 공역
246 1 9 ▼a The politics of American education
246 3 9 ▼a Politics of American education
246 3 9 ▼a American education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6
300 ▼a 397 p. ; ▼c 26 cm
500 ▼a 공역자: 김혜숙, 이혜미, 김유원, 김민아, 김은수, 김진원, 유동훈, 이동화, 이미연, 이현우, 이혜나, 장사랑, 채현우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x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on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al technology ▼x Government policy ▼z United States
650 0 ▼a Public schools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 and state ▼z United States
650 0 ▼a Technology and state ▼z United States
700 1 ▼a Spring, Joel H., ▼e
700 1 ▼a 정일환, ▼e
700 1 ▼a 김혜숙, ▼e
700 1 ▼a 이혜미, ▼e
700 1 ▼a 김유원, ▼e
700 1 ▼a 김민아, ▼e
700 1 ▼a 김은수, ▼e
700 1 ▼a 김진원, ▼e
700 1 ▼a 유동훈, ▼e
700 1 ▼a 이동화, ▼e
700 1 ▼a 이미연, ▼e
700 1 ▼a 이현우, ▼e
700 1 ▼a 이혜나, ▼e
700 1 ▼a 장사랑, ▼e
700 1 ▼a 채현우, ▼e
900 1 0 ▼a 스프링, 조엘,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9.73 2016 등록번호 1513342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실적으로 말해서, 교육은 기본적으로 정치적이다. Joel Spring은 그의 독특한 분석 렌즈로 미국 교육의 정치를 살펴보면서 이론적, 실제적, 역사적 관점에서 현대 교육정책의 쟁점들을 보았다. 이런 현대적 관점은 누가 어떻게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해주고, 21세기 학교교육의 현실 상황을 나타내며, 진행되고 있는 지속적인 이데올로기 투쟁을 드러나게 했다.

미국 교육의 정치적 속성에 대한 이론적 토론에서부터 지역, 학교구, 주, 연방정부의 모든 수준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통제의 복잡성과 핵심적인 현실성까지, ‘미국 교육 정치학(The Politics of American Education)’은 미국 교육을 통제하고 있는 다양한 힘의 큰 그림이나 세세한 수준의 복잡한 사항을 이해하는 데 시기적절하고 유용하다. 교육의 정치성을 탐구하기 위한 Joel Spring의 통찰력 있는 접근은 독특하고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말해서, 교육은 기본적으로 정치적이다. Joel Spring은 그의 독특한 분석 렌즈로 미국 교육의 정치를 살펴보면서 이론적, 실제적, 역사적 관점에서 현대 교육정책의 쟁점들을 보았다. 이런 현대적 관점은 누가 어떻게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해주고, 21세기 학교교육의 현실 상황을 나타내며, 진행되고 있는 지속적인 이데올로기 투쟁을 드러나게 했다.
미국 교육의 정치적 속성에 대한 이론적 토론에서부터 지역, 학교구, 주, 연방정부의 모든 수준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통제의 복잡성과 핵심적인 현실성까지, ‘미국 교육 정치학(The Politics of American Education)’은 미국 교육을 통제하고 있는 다양한 힘의 큰 그림이나 세세한 수준의 복잡한 사항을 이해하는 데 시기적절하고 유용하다. 교육의 정치성을 탐구하기 위한 Joel Spring의 통찰력 있는 접근은 독특하고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특징:
• 교육에 관한 공적 토론을 형상화하는 미디어와 정치인의 역할을 분석한다.
• 정당의 의제와 미국 학교교육의 정치적 구조 사이의 관계를 강조한다.
• 학교의 정치적 사용에 집중한다.
• 교육 정치성에 대한 기업, 교육 산업, 교사단체, 이데올로기적·종교적 이익집단, 전문적 교육조직, 대학 및 교육부의 영향력을 입증한다.
• 미국 학교 정책에 대한 전 세계적인 조직의 영향력을 검토한다.
• 전자교과서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오픈소스(open source)의 발생을 분석하고 보고함은 물론이고, 이들의 교육 정치에 대한 영향력을 설명한다.

시사하는 바가 많으며, 명쾌하고, 독창적인 개념적 틀과 실제 세계에서 발생하는 풍부한 예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은 미국 교육 정치학을 다루는 모든 수업에 적합한 교과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조엘 스프링(지은이)

위스콘신 대학에서 교육정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재 뉴욕 시립 대학교의 퀸스 칼리지와 대학원 센터 교수이며, 교육의 사회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연구' 총서 편집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국교육사, 다문화 교육, 미국교육의 정치학, 글로벌 교육, 인권교육, 시민교육 등이며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교육의 기여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아나키스트 교육 입문』, 『미국교육 1642- 2000』, 『교육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글로벌 사회를 만드는가』, 『교육과 글로벌 경제의 등장』, 『세계화의 교육학』, 『글로 벌 학교체제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교육에 대한 보편적 권리』, 『세계화와 교육적 권리』, 『소비자-시민을 교육하기』, 『미국적 삶의 이미지』, 『교육을 위한 정치적 의제』, 『문화의 교차』, 『탈문화와 평등을 위한 투쟁』, 『머릿속의 톱니바퀴』, 『이익갈등』 등이 있다.

정일환(옮긴이)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대학원 교육정책학과 교육정책 전공(철학박사) 전, 한국교육개발원 책임연구원(교육행정연구부장)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학술정책연구실 전문위원(파견근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책자문교수(상근) 대통령실 교육비서관 (사)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 (사) 한국교육학회 회장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주요 저서> 청소년교육론(공저), 교육과 사회발전, 사회발전과 인적자본론(공저), 노인교육개론(공저), 여성교육론(공저) 외 논문 다수

김혜숙(옮긴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박사 현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교수

이혜미(옮긴이)

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K-12 교육행정전공(Ph.D.)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초빙연구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 4 
역자 서문 = 7 
Chapter 1 서론 : 교육 정치학과 지식 정치학 = 15 
  교육 거버넌스와 경쟁의 목소리들 = 16 
  사회구성원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 16 
  학교 거버넌스 구조 : 지역 단위에서부터 글로벌 구조까지 = 18 
  시민사회와 학교교육 = 18 
  정치가와 교육 이데올로기 = 19 
  교육 사업 : 수익사업과 학교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 19 
  학교재정의 정치학과 교육경제학 = 20 
  글로벌 교육 정치와 미국 = 21 
  인적자본 : 지배적인 글로벌 교육 이데올로기 = 21 
  인적자본 교육 패러다임 = 27 
  결론 : 질문들 = 28 
  역자 후주 = 32 
Chapter 2 사회구성원들은 학교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35 
  정치가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36 
  미디어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39 
  학부모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42 
  세계적 부호들과 재단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45 
  교사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55 
  학교행정가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62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 아메리카계 교육자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64 
  학생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70 
  결론 : 그래서 사회구성원들은 학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 72 
Chapter 3 지역 수준의 학교 거버넌스부터 글로벌 수준의 학교 거버넌스까지 = 85 
  대의권의 형태 = 87 
  주정부 = 87 
  주의 교육 정치 유형 = 93 
  연방정부 = 98 
  연방정부의 영향과 Race to the Top 정책 = 101 
  지역 통제 : 교육위원회 = 104 
  지역 통제 : 시장의 거버넌스 = 107 
  지역 교육 정치의 형태 = 109 
  지배적 지역사회 = 110 
  당파적 지역사회 = 111 
  다원적 지역사회 = 113 
  비활성 지역사회 = 114 
  요약 : 미국의 교육 거버넌스 = 115 
  글로벌 영향력 = 116 
  시민사회 = 117 
  결론 : 학교 거버넌스와 이데올로기 = 118 
  역자 후주 = 125 
Chapter 4 시민사회와 학교교육 = 131 
  권력, 돈, 그리고 시민사회 = 134 
  시민단체의 유형 = 135 
  특정 이익집단 = 137 
  재단과 싱크탱크 : 미국의 그림자 정부 = 145 
  그림자 교육정책 결정자로서의 재단 = 146 
  그림자 교육정책 결정자로서의 싱크탱크 = 153 
  전문가 조직 = 162 
  교직 단체 = 164 
  결론 : 수천 개의 불빛 = 169 
  역자 후주 = 177 
Chapter 5 정치가들과 교육 이데올로기 = 183 
  문화적 보수주의와 미국 예외주의 = 185 
  자유주의 문화적 가치와 다문화주의 = 191 
  문화적 보수주의와 도덕 교육, 그리고 진화 = 196 
  문화적 자유주의자와 도덕적 가치들 = 199 
  자유경쟁시장과 학교 선택제 = 200 
  자유주의자와 규제시장 = 203 
  문화적 보수주의 : 빈곤은 자유경쟁시장의 특성 = 206 
  문화적 자유주의 : 빈곤과 동등한 교육기회 = 211 
  결론 : 인적자본과 대안적 이데올로기 = 215 
  역자 후주 = 224 
Chapter 6 교육 사업 : 수익창출과 학교에 미치는 영향 = 229 
  출판 산업, Texas주, 그리고 오픈소스 교과서 = 233 
  Texas주의 정치와 교과서 출판 = 235 
  오픈소스 교과서의 정치학 = 243 
  영리교육 서비스 및 프랜차이즈 교육 서비스 = 248 
  교육 경영 조직 : 차터스쿨 = 251 
  보충교육 서비스 : 사교육 체제 = 256 
  프랜차이즈 사교육 체제 = 258 
  다국적 평가 기업들 = 261 
  결론 = 261 
  역자 후주 = 271 
Chapter 7 학교 재정의 정치학과 교육 경제학 = 275 
  돈은 중요한가? = 276 
  경제적 이기심과 학교 재정 = 279 
  학교 재정과 불평등한 재정 지원의 정치학 = 282 
  학교 재정에의 법적 개입 : 공평성 = 284 
  학교 재정에의 법적 개입 : 충분성 = 285 
  연방, 주, 지방의 교육비 지출 = 286 
  경제적 위기 : 교육 재정은 어떻게 배분되어야 하는가? = 288 
  교육 행정가들 = 290 
  교사들 = 293 
  학교 재정의 정치학을 이해하는 틀 = 294 
  누가 지불해야 하는가? = 295 
  어떻게 교육 재정을 배분해야 하는가? = 298 
  어떻게 교육 재정을 확보해야 하는가? = 300 
  얼마만큼의 재정을 교육에 지출해야 하는가? = 303 
  글로벌 맥락에서의 학교 재정 = 306 
  글로벌 노동 시장에서의 교육 경제학 = 307 
  결론 = 310 
  역자 후주 = 317 
Chapter 8 글로벌 교육 정치와 미국 = 321 
  글로벌 표준과 평가의 벤치마킹 = 322 
  글로벌 올림픽 : OECD와 IEA = 325 
  세계은행 : 개발도상국에서의 인적자본 = 330 
  UN과 세계은행 : 글로벌 네트워크 = 332 
  새천년목표, 글로벌 네트워크, 그리고 인적자본 교육 = 334 
  두뇌 유입과 두뇌 유출 : 인적자본과 다문화주의 = 336 
  글로벌 교육 사업 = 344 
  결론 : 글로벌 클라우드 = 352 
  역자 후주 = 365 
Chapter 9 민주주의 사회에서 교육에 대한 정치적 통제 - 미국 헌법 수정 제안 = 371 
  다수결 원칙의 문제 = 373 
  특정 이익집단의 힘 = 376 
  학교의 정치적 활용 = 378 
  미국 헌법의 교육 조항 수정 = 379 
  결론 : 세계화와 교육의 국가 수준 체제 = 385 
Index = 3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