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화 언어 (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우성
서명 / 저자사항
영화 언어 / 박우성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아모르문디,   2017  
형태사항
176 p. : 삽화 ; 21 cm
총서사항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 Amormundi film books ; 8
ISBN
9788992448628 9788992448376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7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1872
005 20170404093937
007 ta
008 170403s2017 ulka b 000c kor
020 ▼a 9788992448628 ▼g 03680
020 1 ▼a 9788992448376 (세트)
035 ▼a (KERIS)BIB000014465401
040 ▼a 211064 ▼c 211064 ▼d 211009
082 0 4 ▼a 791.43 ▼2 23
085 ▼a 791.43 ▼2 DDCK
090 ▼a 791.43 ▼b 2016z1 ▼c 8
100 1 ▼a 박우성 ▼0 AUTH(211009)37227
245 1 0 ▼a 영화 언어 / ▼d 박우성 지음
260 ▼a 서울 : ▼b 아모르문디, ▼c 2017
300 ▼a 176 p. : ▼b 삽화 ; ▼c 21 cm
440 0 0 ▼a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 ▼x Amormundi film books ; ▼v 8
504 ▼a 참고문헌: p. 17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791.43 2016z1 8 등록번호 1117700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 8권. 영화 언어의 표정은 생각 이상으로 다채롭다. 궁극적으로 영화의 욕망이란 곧 영화 언어의 표정을 발굴하려는 작가 정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사를 듣고 상황을 인식하며 이미지를 음미하고 움직임을 체감하는 행위는 영화 감상의 토대이며, 영화 언어에 대한 지식은 영화를 향한 시선을 풍요롭게 해 준다. 이 책에서는 대사, 상황 설정, 이미지, 움직임을 중심으로 현학적인 지식이 아니라 알고 있으면 우리의 영화 감상을 더욱 풍부하게 해 주는 지식으로서의 영화 언어를 다루었다.

아모르문디 영화 총서는
디지털 세대를 위한 새로운 영화학 시리즈입니다. 각 권마다 영화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이론적 담론들을 주제별로 나누어 담았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이론부터 최신의 논의까지, 다채로운 비평적 접근을 통해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습니다. 이미지 없이 혹은 한두 장의 스틸 사진으로 영화를 논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동영상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큰 주제에서 작은 주제로 심화되는 방향으로 구성하였으며, 한 권 한 권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연관을 갖도록 기획하였습니다.

영화 감상을 풍부하게 해 주는 영화 언어
영화 언어의 표정은 생각 이상으로 다채롭다. 궁극적으로 영화의 욕망이란 곧 영화 언어의 표정을 발굴하려는 작가 정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 언어는 크게 대사, 상황 설정, 피사체의 지형도, 이미지, 움직임 등으로 나뉜다. 대사를 듣고 상황을 인식하며 이미지를 음미하고 움직임을 체감하는 행위는 영화 감상의 토대이며, 영화 언어에 대한 지식은 영화를 향한 시선을 풍요롭게 해 준다. 이 책에서는 대사, 상황 설정, 이미지, 움직임을 중심으로 현학적인 지식이 아니라 알고 있으면 우리의 영화 감상을 더욱 풍부하게 해 주는 지식으로서의 영화 언어를 다루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우성(지은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학과에서 이창동 영화 연구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반공영화의 재현 문제에 관한 연구로 영화진흥위원회 우수논문상을, '워낭소리'와 '박쥐'에 관한 비평문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 우수상을 받았다. 영화전문지 '매거진M', 여성신문, 중앙일보 등에 영화평을 기고하고 있으며 한국영화학회에서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상명대, 동국대, 대진대, 세종대, 경희대 등에서 영화미학, 영화감독, 영화비평 등의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들어가는 글 

Ⅰ. 내면의 외면‘화’ 
1. 정보 전달 
2. ‘화(化)’, 모양이 바뀌다 
3. 영화 언어 
4. ‘화’의 양상 
5. 설명과 환기 

Ⅱ. 설명하는 외면화 
1. 설명하는 대사 
1) 문어체 대사 
2) 영어회화 대사 
3) 브리핑하는 대사 
4) 상투적 간접화법 
2. 도구화된 캐릭터 
3. 현재에 종속된 과거 

Ⅲ. 환기하는 대사 
1. 구어체 대사 
2. 비속어의 가치 
3. 정서적 대사 
4. 아이러니 대사 
5. 시적 대사 


Ⅳ. 피사체의 지형도 
1. 셔레이드, 피사체의 지형도 
2. 인물 지형도 
3. 접근 양식 
4. 공간 지형도 
5. 상황적 역설 

Ⅴ. 카메라 시선 
1. 영화의 구성단위 
2. 프레임 역학 : 포함과 배제 
3. 내화면과 외화면 
1) 내화면 2) 영토 공간 
3) 외화면 4) 재현의 윤리 
4. 렌즈와 앵글 
1) 렌즈 2) 앵글 
5. 쇼트 
1) 익스트림 롱 쇼트 2) 롱 쇼트 
3) 미디엄 쇼트 4) 클로즈업 
5) 쇼트 변화 
6. 움직임의 역학 
1) 피사체의 움직임 
2) 카메라의 움직임 
3) 움직임의 역학 

나오는 글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