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기본강의) 민사소송법 제9판

(기본강의) 민사소송법 제9판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전병서, 1964-
Title Statement
(기본강의) 민사소송법 / 전병서
판사항
제9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弘文社,   2017  
Physical Medium
xix, 698 p. : 삽화 ; 26 cm
기타표제
한자표제: 民事訴訟法
ISBN
978897770390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xix)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1502
005 20170329165453
007 ta
008 170329s2017 ulka b 001c kor
020 ▼a 9788977703902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7.51905 ▼2 23
085 ▼a 347.5305 ▼2 DDCK
090 ▼a 347.5305 ▼b 2017z1
100 1 ▼a 전병서, ▼d 1964-
245 2 0 ▼a (기본강의) 민사소송법 / ▼d 전병서
246 0 ▼i 한자표제: ▼a 民事訴訟法
250 ▼a 제9판
260 ▼a 서울 : ▼b 弘文社, ▼c 2017
300 ▼a xix, 698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xix)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47.5305 2017z1 Accession No. 1212397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전병서(지은이)

·서울 배문고 졸업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시험 합격 ·대법원 법무사자격심의위원회 위원 역임 ·대법원 개인회생절차 자문단 위원 역임 ·법무부 법조직역 제도개선 특별분과위원회 위원 역임 ·법무부 공증인 징계위원회 위원 역임 ·독학사시험위원, 변리사시험위원, 입법고시위원, 공인노무사시험위원 역임 ·사법시험위원, 변호사시험위원 역임 ·(현재) 대한변호사협회지 「인권과 정의」 편집위원 ·(현재) 한국민사집행법학회 회장 ·(현재)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 서] ·강의 민사소송법[제3판], 박영사 ·민사집행법[제3판], 박영사 ·도산법[제4판], 박영사 ·민사소송법 핵심판례 셀렉션, 박영사 ·민사소송법연습[제7판], 법문사 ·분쟁유형별 민사법[제4판], 법문사 ·공증법제의 새로운 전개, 중앙대학교 출판부 ·제로(0) 스타트 법학[제5판], 문우사 ·[e북] 민사소송법 판례, 유스티치아 ·[e북] 민사소송법 연습, 유스티치아 ·[e북] 민사소송법 선택형 문제, 유스티치아 ·[e북] 분쟁유형별 요건사실, 유스티치아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민사소송의 이해
  제1장 민사소송절차 = 3
    제1절. 절차로서의 민사소송 = 3
    제2절. 절차의 흐름 = 5
      제1항. 소의 제기 = 6
      제2항. 변론과 변론준비절차 = 19
      제3항. 증거조사 = 24
      제4항. 판결의 선고 = 33
      제5항. 항소심 = 41
      제6항. 상고심 = 50
      제7항. 재심 = 55
  제2장 민사소송의 기본개념과 기본원리 = 56
    제1절. 민사소송의 구조 = 56
    제2절. 소송행위 = 61
    제3절. 소송의 주체 = 75
      제1항. 법원 = 75
      제2항. 당사자 = 84
      제3항. 소송상의 대리인 = 92
    제4절. 소송의 객체 = 104
      제1항. 소 = 104
      제2항. 소송물 = 111
    제5절. 법원과 당사자의 기능 분담 = 124
      제1항. 처분권주의 = 125
      제2항. 변론주의 = 135
      제3항. 직권진행주의 = 152
    제6절. 기일ㆍ기간ㆍ송달 = 158
      제1항. 기일ㆍ기간 = 158
      제2항. 송달 = 167
제2부 소송절차의 진행
  제1편 소송의 개시
    제1장 소의 제기 및 관련 절차 = 181
    제2장 소의 적법 = 197
      제1절. 소송요건 = 198
      제2절. 재판권과 관할 - 법원에 관한 소송요건 = 202
        제1항. 재판권 = 202
        제2항. 관할 = 206
      제3절. 당사자능력과 소송능력 - 당사자에 관한 소송요건 = 226
        제1항. 당사자능력 = 226
        제2항. 소송능력 = 232
      제4절. 당사자적격과 소의 이익 = 247
        제1항. 당사자적격 - 당사자에 관한 소송요건 = 247
        제2항. 소의 이익 - 소송물에 관한 소송요건 = 260
    제3장 소제기의 효과 = 280
      제1절. 소송계속 = 280
      제2절.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 281
      제3절. 실체법상의 효과 = 294
  제2편 소송의 심리
    제1장 심리의 기본원칙 = 299
    제2장 변론 = 318
      제1절. 변론의 실시 = 318
      제2절. 변론의 내용 = 339
      제3절. 당사자의 결석 = 350
    제3장 증거조사 = 358
      제1절. 증거법의 기초 개념 = 358
      제2절. 증명의 대상 = 365
      제3절. 불요증사실 = 368
      제4절. 각종의 증거방법의 증거조사절차 = 382
      제5절. 자유심증주의 = 422
      제6절. 증명책임 = 432
    제4장 심리의 정지 = 451
  제3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소송종료사유 = 465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소송의 종료 = 467
      제1절. 소의 취하 = 467
      제2절. 청구의 포기ㆍ인낙 = 475
      제3절. 소송상 화해 = 481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소송의 종료 = 489
      제1절. 종국판결 = 489
      제2절. 판결의 효력 = 492
      제3절. 확정판결의 효력의 배제 = 519
제3부 복잡한 소송형태
  제1편 복수청구소송
    제1장 총설 = 529
    제2장 소의 객관적 병합 = 531
    제3장 소의 변경 = 538
    제4장 반소 = 545
    제5장 중간확인의 소 = 557
  제2편 다수당사자소송
    제1장 총설 = 561
    제2장 공동소송 = 562
      제1절. 공동소송의 형성 = 563
      제2절. 공동소송의 종류 = 568
      제3절. 공동소송의 절차 = 573
      제4절. 공동소송의 특수형태 = 581
    제3장 선정당사자 = 590
    제4장 제3자의 소송참가 = 597
      제1절. 보조참가 = 597
      제2절.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 605
      제3절. 소송고지 = 608
      제4절. 독립당사자참가 = 611
      제5절. 공동소송참가 = 618
    제5장 당사자의 변경 = 621
      제1절. 임의적 당사자의 변경 = 621
      제2절. 소송승계 = 626
제4부 상소ㆍ재심
  제1장 상소 = 637
  제2장 재심 = 661
제5부 민사소송의 기본이념
  제1장 민사소송의 이상과 신의성실의 원칙 = 673
  제2장 민사소송의 목적 = 679
판례색인 = 684
사항색인 = 69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사법연수원. 교육발전연구센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