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01399 | |
005 | 20170329141148 | |
007 | ta | |
008 | 170329s2016 sjkd b 000c kor | |
020 | ▼a 9788932216478 ▼g 94320 | |
020 | 1 | ▼a 9788932210728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0.9 ▼2 23 |
085 | ▼a 330.9 ▼2 DDCK | |
090 | ▼a 330.9 ▼b 2009z11 ▼c 16-3 | |
245 | 0 0 | ▼a 인도의 TBT와 SPS : ▼b 제도, 사례, 대인도 수출에 미치는 영향 / ▼d 이웅 [외] |
246 | 1 1 | ▼a India's TBT and SPS : ▼b institutions, cases and impact on exports to India |
260 | ▼a 세종 : ▼b 대외경제정책연구원, ▼c 2016 | |
300 | ▼a 135 p. : ▼b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전략지역심층연구 = ▼x 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 ; ▼v 16-03 |
490 | 1 0 | ▼a 연구보고서 ; ▼v 16-32 |
500 | ▼a 공저자: 이정미, 김신주, 장용준 | |
500 | ▼a 부록수록 | |
500 | ▼a TBT = Technical Barriers to Trade ; SPS =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 |
504 | ▼a 참고문헌: p. 122-129 | |
700 | 1 | ▼a 이웅 ▼g 李雄, ▼e 저 ▼0 AUTH(211009)20431 |
700 | 1 | ▼a 이정미 ▼g 李廷美, ▼e 저 ▼0 AUTH(211009)135587 |
700 | 1 | ▼a 김신주 ▼g 金信珠, ▼e 저 |
700 | 1 | ▼a 장용준 ▼g 張容準, ▼e 저 ▼0 AUTH(211009)52096 |
830 | 0 | ▼a 연구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v 16-32 |
900 | 1 0 | ▼a Lee, Woong, ▼e 저 |
900 | 1 0 | ▼a Lee, Jung-mi, ▼e 저 |
900 | 1 0 | ▼a Kim, Sin-ju, ▼e 저 |
900 | 1 0 | ▼a Jang, Yong-joo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KIEP 330.9 2009z11 16-3 | Accession No. 1117694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제2장 인도의 TBT와 SPS 관련 조직과 제도 1. 인도의 규제 및 표준 체계 2. 인도의 TBT 및 SPS 관련 주요 제도 가. BIS 인증 나. CDSCO 등록 다. 식료품 관련 규정 라. 기타 3. FTA 및 MRA 체결국과의 협력 동향 가. FTA에서의 TBT, SPS 관련 주요 제도 나. 상호인정협정 (MRA) 체결 사례 4. 소결 제3장 인도 TBT 및 SPS 관련 특정무역현안(STC) 사례 1. 인도의 TBT 관련 STC 사례 가. 인도가 제기 받은 TBT 관련 STC 사례 나. 인도가 제기한 TBT 관련 STC 사례 2. 인도의 SPS 관련 STC 사례 가. 인도가 제기 받은 SPS 관련 STC 사례 나. 인도가 제기한 SPS 관련 STC 사례 3. 한국의 對인도 TBT 관련 STC 현안 사례 가. 타이어 인증 규제 나. 철강 품질관리 규제 다. 2차 전지 안전 규제 라. 對인도 진출 우리 기업의 TBT 관련 비관세장벽 현황 4. 소결 제4장 인도의 TBT와 SPS가 對인도 수출에 미치는 영향 1. 이론적 배경 2. 실증분석 방법 및 통계자료 가. 실증분석 모형 나.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가. 전체 산업 대상 나. 국가 특성별 분석 다. 산업 특성별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2. 한국의 對인도 수출전략에 대한 시사점 가. 농식품 분야의 TBT · SPS 전담 인력 및 대응 부서 신설 필요 나. TBT와 SPS의 산업 정책 활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 다. 부실한 TBT · SPS 행정체계에 대한 대응 3. 한 · 인도 CEPA 추가 협상과 MRA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