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umboldt, Wilhelm von, 1767-1835 안정오 安正五, 역
서명 / 저자사항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 빌헬름 폰 훔볼트 ; 안정오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형태사항
147 p. : 삽화 ; 23 cm
ISBN
9788976419231
일반주기
"빌헬름 폰 훔볼트 연보" 수록  
내용주기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Über den Nationalcharakter der Sprachen -- 문법 형식의 생성과 그것이 관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Über das Entstehen der grammatischen Formen und ihren Einfluss auf die Ideenentwicklung -- 쌍수에 대하여, Über den Duali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1238
005 20170329104420
007 ta
008 170327s2017 ulka AC 000c kor
020 ▼a 9788976419231 ▼g 93700
035 ▼a (KERIS)BIB000014462786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410 ▼2 23
085 ▼a 410 ▼2 DDCK
090 ▼a 410 ▼b 2017z1
100 1 ▼a Humboldt, Wilhelm von, ▼d 1767-1835 ▼0 AUTH(211009)33271
245 1 0 ▼a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 ▼d 빌헬름 폰 훔볼트 ; ▼e 안정오 옮김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7
300 ▼a 147 p. : ▼b 삽화 ; ▼c 23 cm
500 ▼a "빌헬름 폰 훔볼트 연보" 수록
505 0 0 ▼t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Über den Nationalcharakter der Sprachen -- ▼t 문법 형식의 생성과 그것이 관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Über das Entstehen der grammatischen Formen und ihren Einfluss auf die Ideenentwicklung -- ▼t 쌍수에 대하여, Über den Dualis
536 ▼a 이 책의 집필은 2016년도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특성화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700 1 ▼a 안정오 ▼g 安正五, ▼e▼0 AUTH(211009)11799
740 2 ▼a Über den Nationalcharakter der Sprachen
740 2 ▼a Über das Entstehen der grammatischen Formen und ihren Einfluss auf die Ideenentwicklung
740 2 ▼a Über den Dualis
900 1 0 ▼a 훔볼트, 빌헬름 폰, ▼e
900 1 0 ▼a An, Cheung-o,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17z1 등록번호 5110330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10 2017z1 등록번호 5210042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17z1 등록번호 5110330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10 2017z1 등록번호 5210042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학과 언어철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훔볼트를 재조명하여 언어학의 본질을 살핀 책. 세 편의 훔볼트 논문을 번역하고 해설하여, 훔볼트의 모국어와 언어 일반에 대한 생각은 근대를 정리하고 미래를 예견"한 언어사상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살피고 있다.

언어학과 언어철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훔볼트를 재조명하여 언어학의 본질을 살핀 책. 그의 독보적인 위상에 비해 한국에 번역된 주요 저술은 많지 않다. 특히나 그의 핵심 사상을 짚어갈 수 있는 주요 저술이 소개되고 있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아 왔다. 이책의 편역자는 그중 세 편의 훔볼트 논문을 최초로 번역하고 해설을 시도하였다.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문법적 형식의 생성과 그 문법적 형식이 관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쌍수에 관하여>를 통해 "훔볼트의 모국어와 언어 일반에 대한 생각은 근대를 정리하고 미래를 예견"한 언어사상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살피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빌헬름 폰 훔볼트(지은이)

1767년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인 베를린 근교에 위치한 포츠담에서 부유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프로이센 개혁 시대이자 이른바 '괴테의 시대'를 살았던 그는 평생에 걸쳐 인간의 본성을 중심에 둔 교육, 언어 그리고 국가의 역할을 탐구한 인본주의 사상가이자 교육가,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가였다. 유년 시절부터 당대의 유명한 지성인들을 가정교사로 두고 고전어와 현대어, 수학, 경제학, 통계학, 법학 등 학문 전 분야에 걸쳐 세심하고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교육관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독일 최초의 근대식 대학으로서 계몽주의 이념이 지배적이던 괴팅겐 대학에서는 철학과 역사, 고전어를 전공했다. 실러, 괴테 등 바이마르 고전주의자들과 긴밀히 교제했으며, 특히 실러를 자신의 학문적 이상으로 삼았다. 1801년부터 프로이센의 교황청 주재 외교 사절로 로마에서 6년을 보냈는데, 로마에서의 경험들은 인간적인 만족과 행복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영원한 영감을 제공했다. 귀국 후에는 문화교육국장으로 임명되어 당대 프로이센의 교육 제도를 개혁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교육의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무엇보다 인간의 자유를 최우선으로 두었으며, 개개인의 능력을 균형 잡힌 최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에서 모든 국가적 통제가 배제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그가 주도한 교육 개혁 정책에 반영되었으며, 훗날 훔볼트 대학으로 개칭된 베를린 대학의 설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치가로서 현역에서 물러난 후에는 베를린 근교의 테겔 성에서 15년간 지내면서 20세기 언어학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비교 언어 연구에 몰두했고, 1835년에 향년 68세로 활동과 관조가 조화를 이룬 생애를 마쳤다.

안정오(옮긴이)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에서 독어학 석사학위를, 독일 부퍼탈대학교에서 독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보훔대학교 동양학부에서 외국인 전임교수로서 비교언어학, 일반언어학, 한국어 등을, 튀빙겐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한국 문화역사와 한국어를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Grammatik aus der Fremd- und Eigenperspektive(외부 관점과 내부 관점에서 본 문법)』 『기호학으로 세상 읽기』(공저) 『훔볼트의 유산』, 역서로는 『이차 언어 습득』 『훔볼트의 상상력과 언어』(공역) 『비트겐슈타인』 『미드』 『에코』 『기호학의 전통과 경향』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 등이 있고, 고등학교 교과서 『독일문화』를 공동 집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비즈니스대학 독일학 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언어의 민족적 특성에 대하여〉(1822년)
Ueber den Nationalcharakter der Sprachen
해설

2. 〈문법 형식의 생성과 그것이 관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1822년)
Ueber das Entstehen der grammatischen Formen, und ihren Einfluss auf die Ideenentwicklung
해설

3. 〈쌍수에 대하여〉(1827년)
Ueber den Dualis
해설

4. 모국어와 훔볼트의 언어사상


빌헬름 폰 훔볼트 연보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