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무인차(자율주행차)와 무인기(드론)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이슈퀘스트. 산업조사실
서명 / 저자사항
무인차(자율주행차)와 무인기(드론)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 [이슈퀘스트 산업조사실 편]
발행사항
서울 :   이슈퀘스트,   2015  
형태사항
535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30 cm
총서사항
(CES2015를 통해 보는) 2015년 ICT유망시장 분석 ;2
ISBN
9788998366278
일반주기
부록: CES 2015 참여업체 목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00148
005 20170321165536
007 ta
008 170321s2015 ulkad 000c kor
020 ▼a 9788998366278 ▼g 93500
035 ▼a (KERIS)BIB000013754573
040 ▼a 241026 ▼c 241026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38.476292220285 ▼2 23
085 ▼a 338.47629222 ▼2 DDCK
090 ▼a 338.47629222 ▼b 2015
110 ▼a 이슈퀘스트. ▼b 산업조사실
245 1 0 ▼a 무인차(자율주행차)와 무인기(드론)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 ▼d [이슈퀘스트 산업조사실 편]
246 3 ▼a 무인차와 무인기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46 3 ▼a 자율주행차와 드론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60 ▼a 서울 : ▼b 이슈퀘스트, ▼c 2015
300 ▼a 535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30 cm
440 1 0 ▼a (CES2015를 통해 보는) 2015년 ICT유망시장 분석 ; ▼v 2
500 ▼a 부록: CES 2015 참여업체 목록
910 0 ▼a Issuequest,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8.47629222 2015 등록번호 1212396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CES 2015’의 8大 트랜드를 중심으로 시장동향과 핵심 기술개발 동향을 집중 분석하여 ICT 트랜드를 새롭게 조망하고자 4종의 보고서를 기획하였으며, 제 1편으로 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홈을 발간한데 이어 2편으로, 무인차(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기(드론)을 발간한다.

8大 트랜드 중 가장 화두로 떠올랐던 것은 사물인터넷(IoT)으로, 인터넷을 통해 가전기기 및 자동차까지 우리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첨단 기술과 인터넷의 결합이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블루오션으로 부각되고 있는 사물인터넷이 주목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응용분야이다. 이미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홈케어, 자동차, 제조산업, 교통, 건설, 농업, 환경, 엔터테인먼트, 에너지, 안전, 식품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적용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국 또는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핵심·원천기술 개발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업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고 있으며, 주요국 정부차원에서도 비교적 일찍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의무화하는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해 나가고 있다.

2015년 새해 벽두를 연 ‘CES 2015’에서는 사물인터넷(IoT), IoT홈(스마트홈), 웨어러블, 가상현실, 3D프린팅, 자율주행, 무인기, 퀀텀닷 TV등이 2015년 ICT 화두로 이슈가 되었으며, 한해를 여는 대형 전시회인 만큼 다양한 제조사들이 2015년 출시할 새로운 디바이스와 향후 반영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들을 전시하며 각축전을 펼쳤다.

이에 이슈퀘스트는 ‘CES 2015’의 8大 트랜드를 중심으로 시장동향과 핵심 기술개발 동향을 집중 분석하여 ICT 트랜드를 새롭게 조망하고자 4종의 보고서를 기획하였으며, 제 1편으로 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홈을 발간한데 이어 2편으로, 무인차(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기(드론)을 발간한다.

8大 트랜드 중 가장 화두로 떠올랐던 것은 사물인터넷(IoT)으로, 인터넷을 통해 가전기기 및 자동차까지 우리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첨단 기술과 인터넷의 결합이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블루오션으로 부각되고 있는 사물인터넷이 주목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응용분야이다. 이미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서비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홈케어, 자동차, 제조산업, 교통, 건설, 농업, 환경, 엔터테인먼트, 에너지, 안전, 식품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적용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국 또는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핵심·원천기술 개발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업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고 있으며, 주요국 정부차원에서도 비교적 일찍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의무화하는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해 나가고 있다.

한편, 3D프린팅은 지난해에 이어 산업 전분야에 빠르게 적용범위를 넓혀가며 향후 가까운 장래에 생산과 소비의 형태를 바꿔나갈 핵심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경우도 시장의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기술의 개발과 채용이 진행되고 있어 2020년 초반에는 실제 도로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그 중심에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 외에 구글 등 IT기업이 자리 잡으면서 IT기업의 미래 먹거리로 인식이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자율주행차는 스마트카, 커넥티드카에서 구현되고 있는 기술이 스마트시티 등 광의의 개념과 결합되고, 도로환경 등 다양한 사업 분야와의 결합이 요구됨으로써 그 중요성은 더욱 커 보이며, 이에 따라 주요선진국에서는 자율주행차 허용을 위한 제도와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실증테스트 등을 서둘러 진행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드론(무인기)은 CES 2015에서 특히 주목을 끈 신규 아이템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용도가 발굴되고, 적용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성장과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기기와 서비스의 등장, 퀀텀닷 기술을 적용하여 화질을 강화한 TV 기술 등은 2015년 이후의 글로벌 ICT기업의 성장과 부진을 가를 핵심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모쪼록, 본 보고서를 통하여 성장산업 분석을 통하여 사업기회를 모색하는 모든 분들이 관련 분야에서 사업 아이디어를 모색하는데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15년 4월


정보제공 : Aladin

목차

Ⅰ. 총론	27 
1. 2015년 ICT 산업 10대 이슈 전망	27 
1-1. 주요기관별 2015년 ICT 산업 10대 이슈	27 
1-2. IITP 선정 ICT 산업 10대 이슈와 전망	28 
1) 사물인터넷의 성장과 경쟁 28 
2) 신종 보안 위협	30 
3) 스마트 홈과 가전 경쟁	32 
4) 웨어러블 주도권 경쟁	35 
5) 반도체, 신시장 선점 경쟁	37 
6) 모바일 결제 플랫폼의 진화	41 
7) 중국 ICT 기업의 지배력 확대	45 
8) 5G 주도권 경쟁	48 
9) 콘텐츠 확보 경쟁	52 
10) 차세대 스마트폰 기술	54 
2. CES 2015을 통해본 ICT산업의 이슈와 사업기회	58 
2-1. 개황	58 
1) CES 2015 개요	58 
2) CES 2015년 주목 트렌드	59 
(1) 탈 가전화, 이종간 연결이 화두	59 
(2) 스마트TV 상상에서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한 ‘IoT’	59 
(3) 탈 것에서 모바일 기기로 진화하는 ‘스마트카’	59 
(4) 하늘에는 드론, 인체에는 웨어러블	59 
(5) 한·중·일 경쟁 속에 약진하는 중국 업체들	60 
2-2. CES 2015의 메가트랜드 7대 이슈 분석	60 
1) 스마트홈(Smart Home)	60 
2) 스마트TV	61 
3) 웨어러블 기기	62 
4) 드론, 로봇	64 
5) 스마트카, 커넥티드 카	65 
6) 3D 프린팅	69 
7) 모바일 OS 생태계	70 
2-3. 과제와 전망	72 

Ⅱ. 무인차(자율주행차) 기술, 시장동향과 정책 동향	77 
1. 자율주행차 시장규모 전망	77 
1-1. 자율주행차 시장규모 전망	77 
1-2. 자율주행차 상용화 전망	81 
1) 2025년 전망	81 
2) 2020년 전망 82 
2. 국내외 자율주행 관련 정책과 프로젝트 동향	83 
2-1. 해외 주요국 정책과 프로젝트 동향	83 
1) 미국	83 
(1) 정책동향	83 
(2) 주요 프로젝트 동향	85 
2) 유럽(EU)	95 
(1) 정책동향	95 
(2) 주요 프로젝트 동향	97 
3) 일본	121 
(1) 주요 프로젝트 동향	121 
2-2. 국내 자율주행차 관련 정책과 추진 프로젝트 동향	124 
1) 국내 기술 개발 동향	124 
2) 스마트하이웨이 사업	127 
3) 민간 연구개발 동향	138 
4) 정부 연구개발 지원 현황	139 
3.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 개발동향	145 
3-1. 기술 개황	145 
1) 최근 주목받는 자율주행 기술	145 
2) 자율주행차 자동화 레벨	146 
3-2. 자율주행차의 요소 기술	149 
1) 측위 및 맵매칭 기술	150 
2) 인지 및 제어 기술	153 
3-3. 자율주행 실현을 위한 주요 ADAS 기술동향과 적용사례 156 
1) 자동주차지원시스템(APAS)	156 
(1) 개념	156 
(2) 구조와 원리	156 
(3) 국내외 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157 
2) 충돌예방시스템(CAS)	162 
(1) 개념	162 
(2) 구조와 원리	163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64 
3)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169 
(1) 개념	169 
(2) 구조와 원리	171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73 
4) 차선유지지원시스템(LKAS)	179 
(1) 개념	179 
(2) 구조와 원리	179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81 
5) 자동차안정성제어장치(ESC)	184 
(1) 개념	184 
(2) 구조와 원리	186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87 
6)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189 
(1) 개념	189 
(2) 구조와 원리	190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91 
7) 측후방감지(BSD)	195 
(1) 개념	195 
(2) 구조와 원리	196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98 
8) 보행자 보호 시스템 (PPS)	202 
(1) 개념	202 
(2) 구조와 원리	203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204 
9) AVM(Around View Monitor)	208 
(1) 개념	208 
(2) 구조와 원리	209 
(3) 국내외 개발동향과 적용사례	209 
3-4. 자동차 통신 기술 개발동향	211 
1) 자동차용 통신 기술	212 
(1) 자동차 내부 통신 (IVC)	212 
(2) 자동차 간(V2V) 통신	213 
(3) 자동차와 인프라 간(V2I) 통신	215 
(4) 이더넷	216 
2) V2V 통신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및 기술 이용 계획	221 
3) 주요 국가별 추진현황	222 
(1) 미국	222 
(2) 유럽	223 
(3) 일본	225 
(4) 한국	226 
3-5. 군집 주행 기술 개발 동향	227 
1) 군집주행 기술 개황	227 
2) 주요 국가별 개발 동향	229 
(1) 유럽	229 
(2) 미국	230 
(3) 일본	230 
(4) 한국	231 
3-6. 국내외 자율주행 표준화 (ISO) 동향	232 
1) TC204 자율주행 표준화	232 
2) 자율주행 표준화 추진방향	233 
(1) Common Items	233 
(2) Basic Functional Requirements	234 
3) 기타 진행 현황	236 
3-7. 국내 표준화 대응 방안	238 
1) 국내 표준화 추진 협의체	238 
2) ISO 26262 대응 현황	239 
3) 자동차용 플랫폼 표준화 대응 방안	239 
4. 주요 참여업체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241 
4-1. 해외 주요 참여업체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241 
1) Mercedez-Benz	241 
2) Volvo	245 
3) Renault	247 
4) Audi	249 
5) Chrysler LLC (Fiat S.p.A.의 자회사)	251 
6) BMW AG(Germany)	254 
7) Volkswagen AG(Germany-AUDI AG)	259 
8) Ford	265 
9) GM	268 
10) 구글	271 
11) Toyota	277 
12) Honda	279 
13) Nissan Motor Co Ltd. (Japan)	283 
14) Subaru - Fuji Heavy Industries(후지중공업-FHI) 292 
4-2. 국내 주요 참여업체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301 
1) 현대 기아차	301 

Ⅲ. 무인기(드론) 시장 전망과 정책 동향	307 
1. 드론(무인기) 시장 동향 및 전망	307 
1-1. 군사용 드론(무인기) 시장 동향 및 전망	307 
1) 시장 동향 및 전망	307 
2) 주요 국가별 드론(무인기) 개발 동향	310 
(1) 미국 311 
(2) 이스라엘	314 
(3) 유럽	317 
(4) 중국	319 
(5) 한국	321 
3) 성능 분야별 무인기 시장 전망	323 
(1) Mini-UAV 시장	325 
(2) STUAV 시장	325 
(3) TUAV 시장	325 
(4) Naval UAV 시장	325 
(5) MALE UAV 시장	326 
(6) HALE UAV 시장	326 
(7) UCAV 시장	326 
1-2. 민간용 드론(무인기) 시장 동향 및 전망	327 
1) 시장 동향 및 전망	327 
2) 활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민간 드론(무인기) 330 
3) 시장 선점을 향한 주요 참여업체 동향	332 
(1) AeroVironment	334 
(2) Amazon	335 
(3) Cyberhawk Innovations	335 
(4) HoneyComb	335 
(5) Insitu	335 
(6) Matternet	336 
(7) Skycatch	336 
(8) Titan Aerospace	336 
2. 주요 국가별 드론(무인기) 관련 정책 및 인증 기준 동향	337 
2-1. 미국	337 
1) 주요 정책 동향	337 
2) 기술관련 규제동향	337 
3) 무인기 인증 기준	338 
(1) 인증기준	338 
(2) 기술기준	339 
2-2. EU	339 
1) 주요 정책 동향	339 
2) 기술관련 규제동향	340 
3) 무인기 인증기준(영국)	340 
(1) 인증기준	340 
(2) 기술기준	341 
2-3. 호주	341 
1) 주요 정책 동향	341 
2) 기술관련 규제동향	341 
3) 무인기 인증기준	341 
2-4. 한국	342 
1) 주요 정책 동향	342 
(1) 문제점	342 
(2) 목표 및 전략	344 
(3) 정책 대안	344 
(4) 예상 장애요인 및 대응조치	349 
(5) 향후 추진일정	349 
2) 무인기 관련 현행 법령	350 
(1) 무인기 정의	350 
(2) 무인기 사고의 정의	350 
(3) 무인비행장치	350 
(4) 신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비행장치 및 초경량 
비행장치의 범위	351 
(5) 무인기의 비행허가 신청	351 
(6) 무인기 탑재장비	353 
3) 법제화 및 개정이 필요한 사안	353 
(1) 무인기 정의	353 
(2) 무인기의 분류체계	353 
(3) 탑재장비 및 탑재서류	354 
(4) 통신	354 
(5) 비행규칙	355 
(6) 공역사용	355 
(7) 무인기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355 
(8) 무인기 인증기준	356 
(9) 보안	357 
3. 드론(무인기) 관련 핵심기술 개황	358 
3-1. 드론(무인기) 관련 기술 개황	358 
1) 개념 및 이해	358 
2) 구성과 분류	360 
3) 주요 구성 요소(장비)	361 
(1) 비행체	361 
(2) 탑재장비	362 
(3) 자료 송수신 장비	362 
(4) 임무계획 및 통제 장비(Mission Planning and Control)	362 
(5) 발사 및 회수 장비(Launcher and Recovery System)	363 
3-2. 무인기 운용 체계	365 
1) 운용 체계	365 
(1) 군사용 무인기	365 
(2) 민간용 무인기	367 
2) 운영 요원	368 
(1) 무인기 조종사(UAS Pilot)	368 
(2) 육안 감시자(Visual Observer)	368 
(3) 기타 임무요원	368 
3-3. 상업 ㆍ 민간용 무인기의 활용분야	369 
1) 물류(택배) 369 
2) 정보통신 370 
3) 방송 ㆍ 영화 등의 특수 촬영 371 
4) 교통상황 관측 371 
5) 재해 관측 371 
6) 범죄자 추적과 치안용 372 
7) 실생활에서의 활용 372 
8) 마약 운송(악용사례) 373 
3-4. 무인기 분류	374 
1) 비행체 형태	374 
2) 크기	374 
3) 무게	375 
4) 운용 고도	376 
5) 운용 거리	378 
6) 임무	378 
7) 성능 기준	379 
8) 익면하중(Wing Loading)	380 
9) 군사적 운용 용도	380 
(1) 정찰용	380 
(2) 특수 목적용	381 
(3) 표적용	381 
(4) 전자전용	381 
(5) 공격용	381 
(6) 기만용	382 
(7) 무인전투기(Unmanned Combat Aerial Vehicle) 382 
4. 드론(무인기) 관련 세부 기술 개발 동향	383 
4-1. 통신 및 운용주파수 기술 동향	383 
1) 무인기(UAS) 통신 시스템 383 
(1) 무인기(UAS) 통신	383 
(2) 스마트무인기(SUAV) 통신시스템 사례	386 
2) 무인항공기(UAS) 운용주파수 동향	387 
4-2. 드론(무인기) 엔진 개발 동향	390 
1) 항공기 엔진 원리	390 
(1) 제트엔진	391 
(2) 프로펠러	392 
2) 드론(무인기) 엔진 개발 동향	393 
(1) 무인기 엔진 분류	393 
(2) 비행임무에 따른 엔진	395 
(3) 무인기 엔진 개발 동향	396 
3) 향후 기술 개발 동향	398 
(1) 무인기용 차세대 엔진 싸이클	398 
(2) 스마트 통합 동력장치	399 
4-3. 드론(무인기)의 동력 관련 개발동향	401 
1) 태양전지 관련 개발동향	401 
(1) ''EAV-2H''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01 
(2) ‘Helios’(Aerovironment & NASA)	403 
(3) 태양전지 소형무인기(AeroVironment)	404 
2) 연료전지 관련 개발동향	405 
(1) 글로벌 옵저버 무인기 (AeroVironment)	407 
(2) 수소연료‘팬텀아이’(Boeing)	409 
(3) 연료전지(fule-cell) 무인기(AeroVironment)	411 
(4) 아연공기전지 (한국전기연구원)	413 
(5) 연료전지 무인항공기용 수소공급 시스템 (한국과학기술원)	414 
(6) ‘메탄올 연료전지’무인기 (인하대학교)	415 
3) 레이저 추진 시스템(무선전력전송)관련 개발동향	416 
(1) 레이저 추진 무인기 (LaserMotive)	416 
4) 공중 급유 관련 개발동향	417 
(1) Global Hwak 공중 급유 417 
5. 해외 주요 참여업체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419 
5-1. 상업용 ㆍ 민간용 분야	419 
1) DJI	419 
2) Extreme Toys	420 
3) EHang	421 
4) FAA(미국 연방 비행 관련 기관)	423 
5) 후지중공업(Fuji)	424 
6) 구글 (Google)	427 
7) 히타찌(Hitachi)제작소	428 
8) 패럿(Parrot)	435 
9) 퀄컴 (Qualcomm)	435 
10) 3D Robotics	437 
11) Squadrone	438 
12) 야마하발동기(YAMAHA)	439 
13) Torquing Group DBA ZANO	442 
5-2. 방위용 ㆍ 군용 분야	444 
1) 보잉(Boeing)	444 
2)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	446 
3) 탈레스(Thales)	448 
6. 국내 주요 참여업체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453 
6-1. 상업용 ㆍ 민간용	453 
1) 바이로봇	453 
2) 성우엔지니어링	454 
3) 유맥에어 / 서우에스피	455 
4) LG 유플러스	456 
6-2. 방위용 ㆍ 군용 분야	458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58 
2) 대한항공	464 
3) 한화	468 
4) LG CNS	470 
5) 유콘시스템	472 

Ⅳ. 부록	485 
1. CES 2015 참여목체 목록	485

관련분야 신착자료

角川アスキー總合硏究所 (2023)
한국맥도날드 (2023)
SK 네트웍스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