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인의 성취의식 : 토착심리 탐구

한국인의 성취의식 : 토착심리 탐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영신 김의철, 저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인의 성취의식 : 토착심리 탐구 / 박영신, 김의철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3  
형태사항
653 p. : 도표 ; 25 cm
총서사항
문화심리학 총서 ;7
ISBN
9788925406688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578-60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9855
005 20170320100337
007 ta
008 170317s2013 ggkd b 001c kor
020 ▼a 9788925406688 ▼g 93180
035 ▼a (KERIS)BIB000013112562
040 ▼a 223009 ▼c 223009 ▼d 211009
082 0 4 ▼a 155.89519 ▼2 23
085 ▼a 155.8953 ▼2 DDCK
090 ▼a 155.8953 ▼b 2013z6
100 1 ▼a 박영신 ▼0 AUTH(211009)108269
245 1 0 ▼a 한국인의 성취의식 : ▼b 토착심리 탐구 / ▼d 박영신, ▼e 김의철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3
300 ▼a 653 p. : ▼b 도표 ; ▼c 25 cm
440 0 0 ▼a 문화심리학 총서 ; ▼v 7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578-604)과 색인수록
700 1 ▼a 김의철, ▼e▼0 AUTH(211009)58537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8953 2013z6 등록번호 1117690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화심리학 총서 7권에서는 한국인의 성취의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인의 성취의식은 저자가 한국인의 토착심리 탐구를 위해 1995년부터 가장 처음 연구를 시작했던 주제였다. 그동안 성취의식과 관련된 연구 논문들이 학회지에 출판되어 왔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학회지에 흩어져 있는 논문들은 낱낱개의 흩어진 구슬 같았다.

한국인의 토착심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여러 측면에서 탐구가 되었지만, 이번 문화심리학 총서 7권에서는 한국인의 성취의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인의 성취의식은 저자가 한국인의 토착심리 탐구를 위해 1995년부터 가장 처음 연구를 시작했던 주제였다. 그동안 성취의식과 관련된 연구 논문들이 학회지에 출판되어 왔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학회지에 흩어져 있는 논문들은 낱낱개의 흩어진 구슬 같았다. 이들을 엮어 봄으로써 한국인의 성취의식과 관련된 토착심리 탐구의 흔적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문화심리학 총서 5권과 6권은 전공분야의 연구된 내용을 다루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이야기하듯 재미있게 쓰였지만, 이번에 7권은 보다 전문적인 학술 저서의 모습을 지향하였다. 6권의 3장(‘한국인의 성취의식을 통해 본 부모자녀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성취의식이라는 주제를 다룬 바 있으나, 이번 7권에서는 한국인의 성취의식과 관련된 토착심리를 집중적으로 심도 있게 조망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영신(지은이)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심리학을 전공하였고, 1993년부터 지금까지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한국여성심리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 왔다. 저서로는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학교폭력(2015)”,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2014)”, “한국인의 성취의식(2013)”, “한국 청소년문화와 부모자녀관계(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2004)”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인 토착심리, 교육심리, 부모자녀관계, 효도, 성취, 일탈행동, 자기효능감, 행복, 삶의 질, 스트레스 등이다.

김의철(지은이)

Queen’s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사회심리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Hawaii 심리학과 조교수, 동경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부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회장, Asian Association of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회장,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 Psychology and National Development Division 회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왔다. 저서로는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Springer(2006)”,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age(1994)”, “Indigenous psychologies, Sage(1993)”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토착심리, 사회심리, 문화경영, 비교문화심리, 창의성, 자기개념, 스트레스, 자녀가치 등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인의 성취의식: 토착심리 탐구 
제1장 성취의식과 귀인양식 
제2장 한국인의 성공의식 
제3장 한국인의 실패의식 
제4장 한국인의 미래성취의식 
제5장 중년 성인 남녀의 성취의식 
제6장 한국인 성취의식의 10여 년간 비교 

제2부 부모자녀관계,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 
제7장 부모자녀관계와 학업성취 
제8장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 
제9장 부모의 성취압력, 부모에 대한 죄송함과 학업성취 
제10장 부모의 기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제3부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그리고 미래전망 
제11장 한국 교육심리학의 토착화: 회고와 전망 
제12장 교육적 성취의 심리적 기반 
제13장 교육의 현실과 발전 방향 
제14장 교육적 성취를 통한 미래 한국 사회의 모색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Gallwey, W. Timothy (2023)
School of Lif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