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9708 | |
005 | 20170317102622 | |
007 | ta | |
008 | 170315s2015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58520779 (v.1) ▼g 94370 | |
020 | ▼a 9791158520786 (v.2) ▼g 94370 | |
020 | 1 | ▼a 9791158520762 (Set) |
035 | ▼a (KERIS)BIB000014057397 | |
040 | ▼a 248003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28.4/076 ▼2 23 |
085 | ▼a 428.4076 ▼2 DDCK | |
090 | ▼a 428.4076 ▼b 2015 | |
100 | 1 | ▼a Alderson, J. Charles ▼0 AUTH(211009)82572 |
245 | 1 0 | ▼a 읽기 평가 / ▼d J. 차알즈 올더슨 지음 ; ▼e 김지홍 뒤침 |
246 | 1 9 | ▼a Assessing reading |
260 | ▼a 서울 : ▼b 글로벌콘텐츠, ▼c 2015 | |
300 | ▼a 2책(xxxi, 691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언어교육 ; ▼v 10-11 |
500 | ▼a 1. xxxi, 313 p. -- 2. xxxi, 315-691 p.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Reading ▼x Ability testing |
650 | 0 | ▼a Educational tests and measurements |
700 | 1 | ▼a 김지홍, ▼e 역 ▼0 AUTH(211009)141898 |
900 | 1 0 | ▼a 올더슨, J. 차알즈, ▼e 저 |
900 | 1 0 | ▼a Kim, Jee-hong,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8.4076 2015 1 | 등록번호 1117689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28.4076 2015 2 | 등록번호 1117689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교육 시리즈. 읽기 및 평가에 있는 풍부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독자를 안내하고, 실제 읽기 검사로부터 가져온 많은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 올더슨은 먼저 읽기의 이론적이며 개념적인 토대를 탐구하고, 읽기 평가를 위하여 이것들의 함의를 분명히 윤곽 지어 놓는다. 그런 다음에 읽기 검사를 위한 명세내역 계발, 읽기 검사 문항의 설계(기획)와 집필, 읽기 검사에서 의도된 목적들을 구체화해 놓기처럼 실천적인 논제를 다루기 위하여, 평가에서 그 자신의 경험을 이끌어 낸다.
‘아무렇게나 적당히 평가’로부터
‘탄탄한 절차에 따른 평가’를 위하여
이 책은 읽기 및 평가에 있는 풍부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독자를 안내하고, 줄곧 실제 읽기 검사로부터 가져온 많은 사례들로 구현되어 있다. 올더슨은 먼저 읽기의 이론적이며 개념적인 토대를 탐구하고, 읽기 평가를 위하여 이것들의 함의를 분명히 윤곽 지어 놓는다. 그런 다음에 읽기 검사를 위한 명세내역 계발, 읽기 검사 문항의 설계(기획)와 집필, 읽기 검사에서 의도된 목적들을 구체화해 놓기처럼 실천적인 논제를 다루기 위하여, 평가에서 그 자신의 경험을 이끌어 낸다. 그 논의에서는 제2 언어 읽기 및 제1 언어 읽는 힘(literacy)에 대한 교실수업 평가, 학교교육 환경에서 응시생들에게 부담이 큰 결정을 위한 대규모 평가, 전문직 인증과 취업을 위한 평가를 포함하여, 다양한 상황들을 끌어들인다. 주된 요점들이 택일형 문항과 공백/빈칸 채우기 검사뿐만 아니라, 또한 큰소리 내며 읽기와 같은 평가 기법, 인상적 판단, 단서착각 분석, 자기 평가에 이르기까지, 일정 범위의 사례들로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 두 장에서는 지금까지 대체로 평가하기에 너무 어렵다고 여겨져 온 영역들을 탐구한다. 읽기 능력의 향상/발달 단계나 수준, 읽기에 포함된 전략과 처리과정들이다.
읽기 검사의 설계(기획)·출제·이용에 대한원리 잡힌 접근을 제공
이 책을 통해서 올더슨은 읽기 조사 연구로부터 나온 이론적 통찰력 및 평가의 요구와 근본적 필요조건 양자를 모두 이용하여, 이것들이 얼마만큼 유익하게 읽기 평가 실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서술해 준다. 한 마디로, 이 책에서는 읽기 검사의 설계(기획)·출제·이용에 대한 원리 잡힌 접근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응용언어학에 있는 이론 및 조사 연구를 함께 모아놓기 위한 이 총서의 목적을 유용한 방식으로 언어 검사 실천가(≒시험 출제자)들에게 실증해 주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읽기의 본질을 다루고, 제2장에서는 그 본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및 그 조사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뤄진 읽기 시험에 대한 조사 연구들을 개관하였고, 제4장에서는 의사소통 중심 언어교육 입장에서 바라본 ‘읽기 구성물 및 명세내역들’을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바크먼·파머(1996)의 제안에 따라 현장에서 시험을 출제하기 위한 얼개를 논의한 뒤에, 제6장에서는 영국에서 시행된 읽기 시험에 관한 네 가지 상황을 소개하였다. ①영국 외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몇 수준으로 나눈 현지 언어 읽기 시험, ②영국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외국 응시자들의 읽기 능력에 관한 당락 시험, ③토박이 및 제2 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실 수업에서의 읽기 시험, ④영국의 고등학교 졸업인증 학력 시험에서의 읽기 시험이다. 제7장에서는 아직 “완벽하고 최상의 시험 구현 기법은 없다!”는 전제 아래, 읽기 시험을 구현하는 여러 가지 기법들을 실례로 들면서 다루고 있다. 기계적 공백이나 뜻을 고려한 빈칸을 채워 놓기, 여러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뽑는 택일형, 대안이 되는 객관적 기법(일치시키기, 순서 짓기, 양자택일, 고치기), 글자 완성 및 무관한 군더더기 낱말 삭제 등의 통합 기법, 단답형, 요약형, 빈칸 깃든 요약 완성형, 정보 옮겨 주기 기법이다. 제8장에서는 영국에서 실제 구현되고 있는 읽기 평가 사례들을 모국어 영역과 제2 언어 영역에서 몇 가지를 골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9장에서는 읽기 처리과정에 대하여 다시 살펴보면서 읽기를 촉진하는 전략들을 세세하게 논의하였고, 다른 연구 기법들뿐만 아니라 새롭게 부각되는 컴퓨터 활용 읽기 연구/평가 기법들까지 다루고 있다.
읽기 개론서로서의 역할을 할 것
이 번역도 필자의 여느 번역처럼 역주가 많이 들어가 있다(360개의 역주). 모든 시험 사례들에 대한 번역을 포함하여 원서의 두 곱절 분량이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서양 명저 번역을 두 차례(르펠트의 언어산출 및 킨취의 언어이해) 수행하는 동안 소신으로 더욱 강화된 것인데, 저자의 핵심을 더욱 분명히 드러내려고 할 뿐만 아니라, 이 책의 원전을 읽으실 분들이 정확히 무엇을 왜 그렇게 번역하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우리 학문의 터전이 탄탄히 다져져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 비록 역주의 형식이지만 본문 내용에 관하여 필자가 공부해 온 범위 안에서 해당 대목의 핵심을 적어 놓고자 한 대목들도 많다. 때문에 읽기 개론서로도 쓸 수 있겠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J. 차알즈 올더슨(지은이)
영국 옥스퍼드 대학(1964~1967)을 졸업하고(독어와 불어에서 수석 졸업), 스코틀런드 에딘브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음(“A Study of the Cloze Procedure with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에딘브뤄 대학과 미국 미시건 대학을 거쳐, 1980~2012년 랭커스터 대학 언어학 및 영어과 교수와 학과장을 지내었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음. 저서로 올더슨 외 2인(2015) 「The Diagnosis of Reading in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Routledge), 올더슨(2011) 「A Lifetime of Language Testing」(De Gruyter)을 비롯하여, 20권의 영어 교육과 평가에 관한 전문서적을 출간하였고, 현재 미국 바크먼 교수와 함께 캐임브리지 평가 총서의 편집자로 있음. 「언어 테스트의 구성과 평가」(올더슨 외, 1995; 김창구·이선진 뒤침, 2013, 글로벌콘텐츠)가 번역되어 있음. http://www.lancaster.ac.uk/fass/doc_library/linguistics/alderson/alderson_cv.pdf
김지홍(옮긴이)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중임.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의 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됨.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음. ‘언어와 현대사상’에 관심을 갖고서 뤄쓸, 무어, 카아냅, 그롸이스, 타아스키, 콰인, 참스키, 췌이프 등의 업적을 중심으로 하여 번역하려고 하며, 북경대 표점본 ≪13경 주소≫를 통독하는 일도 현안임. [저서] ★김지홍(2010)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김지홍(2014)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김지홍(2015)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20)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언어와 현대사상] ★무어(1953; 김지홍 뒤침, 2019) ≪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참스키(2000) ≪언어 및 정신 연구에서 탐구할 만한 몇 가지 새로운 지평≫(번역중)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르펠트(1989; 김지홍 뒤침, 2008)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킨취(1998; 김지홍・문선모 뒤침, 2011) ≪이해: 인지 패러다임 1~2≫(나남) ★클락(2003; 김지홍 뒤침, 2009)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머카씨(1998; 김지홍 뒤침, 2010)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 교육≫(경진출판) ★페어클럽(2001; 김지홍 뒤침, 201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페어클럽(2003; 김지홍 뒤침, 2012) ≪담화 분석 방법: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페어클럽(1980; 김지홍 뒤침, 2017) ≪담화와 사회 변화≫(경진출판) ★위도슨(2004; 김지홍 뒤침, 2018)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언어교육 평가 및 현장조사 연구] 월리스(1998; 김지홍 뒤침, 2000)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루오마(2001; 김지홍 뒤침, 2011) ≪말하기 평가≫(글로벌콘텐츠) 벅(2001; 김지홍 뒤침, 2013)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앤더슨・브롸운・쉴콕・율(1984; 김지홍・서종훈 뒤침, 2014) ≪모국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브롸운・율(1984; 김지홍・서종훈 뒤침, 2014) ≪영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올더슨(2001; 김지홍 뒤침, 2015)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한문 번역] 유희(1824; 김지홍 뒤침, 2008) ≪언문지≫(지만지, 지식을만드는지식) 최부(1489; 김지홍 뒤침, 2009) ≪최부 표해록≫(지만지) 장한철(1771; 김지홍 뒤침, 2009) ≪표해록≫(지만지) 노상추(1746~1829; 김지홍 외 4인 뒤침, 2017) ≪국역 노상추 일기 1, 2, 3≫(국사편찬위원회)

목차
뒤친이 머릿글 총서 편집자 서문 저작권 알림 번역에서 인명과 지명의 한글 표기 방식 줄임말과 본딧말 제1장 읽기의 본질 §.1-1. 들머리 §.1-2. 과정 및 결과 산출물 §.1-3. 이해의 수준 §.1-4. 읽을 수 있음이 뜻하는 바 §.1-5. 읽는 동안에 우리가 무엇을 실행하는가? §.1-6. 위에서 아래로의 처리과정 및 아래에서 위로의 처리과정 §.1-7. 읽기 및 일반 인지 §.1-8. 제1 언어에서의 읽기 및 제2 언어에서의 읽기 §.1-9. 사회문화적 실천방식으로서의 읽기 §.1-10. 시험 설계를 위한 함의 §.1-11. 요약 제2장 읽기의 본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 §.2-1. 들머리 §.2-2. 독자 변인 1) 개념틀과 배경지식 2) 형식 개념틀: 언어지식 3) 덩잇글 갈래/덩잇글 유형에 대한 지식 4) 상위 언어지식 및 상위 인지 5) 여러 종류의 내용 개념틀(content schemata, 실세계지식 개념틀) 6) 주제지식(subject matter/topic, 주제거리) 7) 세계지식(knowledge of the world) 8) 문화지식(cultural knowledge) 9) 개념틀 이론에 대한 비판 §.2-3. 독자의 기술 및 능력 1) 독자의 읽기 목적 2) 실세계 상황 대 시험 응시 상황 3) 독자의 동기 또는 관심 4) 독자 정서 §.2-4. 안정적인 또 다른 독자 특성 1) 읽기의 최적 속도 2) 초보 독자 및 유능한 독자 §.2-5. 덩잇글 변인 1) 덩잇글 주제(text topic) 및 내용(content) 2) 덩잇글 유형 및 갈래 3) 문학류 덩잇글과 비-문학류 덩잇글 4) 덩잇글 짜임새(text organization) 5) 전통적인 언어학적 변수 6) 읽기 용이성 7) 글자체 특성 8) 언어 정보 및 비-언어 정보 9) 덩잇글 제시 매체(정보기술 매체) §.2-6. 요약 제3장 읽기 평가에 대한 조사 연구 §.3-1. 읽기 시험 문항의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질문 언어 2) 질문의 유형 3) 시험 시행 기술 4) 읽기 시험에서 문법의 역할 5) 읽기 시험에서 어휘의 몫 6) 읽기 시험에서 사전의 활용 7) 읽기와 지능의 관계 §.3-2. 읽기 시험 지문의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배경지식 대 지문(덩잇글)의 내용 2) 질문에 답변을 하는 동안에 지문 제시하기 3) 지문(덩잇글) 길이 4) 한 다발의 하위 검사지 5) 읽기과정 조사 연구와 읽기평가 조사 연구와 읽기평가의 본질 사이에 있는 관계 §.3-3. 요약 제4장 독자: 읽기 능력의 구성물 정의 §.4-1. 들머리 §.4-2. 구성물 §.4-3. 읽기의 구성물 §.4-4. 구성물과 시험 명세내역 §.4-5. 시험 명세내역의 실례: 누리집 이용 언어 진단검사(DIALANG) §.4-6. 영국의 초급영어 자격인증(FCE) §.4-7. 영국의 국제적 영어 검사제도(IELTS) §.4-8. 언어 능숙도의 저울눈에서 읽기 능력에 대한 해설 §.4-9. 읽기의 구성물 및 의사소통 언어 능력의 구성물 §.4-10. 요약 제5장 시험 출제를 위한 얼개 §.5-1. 들머리 §.5-2. 바크먼ㆍ파머(1996)의 얼개 1) 시험 현장의 성격 2) 시행지침의 성격 3) 과제 입력물의 성격 4) 예상 답변의 성격 5) 과제 입력물과 답변의 관계 §.5-3. 요약 제6장 실제로 이용되는 시험: 상황별 네 가지 시험의 목적 §.6-1. 들머리 §.6-2. 출제 §.6-3. 시험 시행의 네 가지 상황 ◎ 상황 1: 영국 외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특정 목적의 수준별 시험 ◎ 상황 2: 영어권의 대학원 응시자들 중에서 읽기 능력이 모자란 후보 찾아내기 ◎ 상황 3: 토박이 및 제2 언어 학습자들에 대한 교실 수업에서의 읽기 평가 ◎ 상황 4: 영국의 고등학교 졸업인증 학력시험 중에서 외국어 읽기 시험 §.6-4. 요약 제7장 읽기 시험의 구현 기법 §.7-1. 들머리 §.7-2. ‘가장 좋은 시험 기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1) 영역별 분석 점수 대 통합 점수 기법 2) 기계적 공백 채우기 및 특정 낱말 부류를 지운 빈칸 채우기 기법 3) 택일형 시험 기법 4) 대안이 되는 객관적 시험 기법 5) 대안이 되는 통합 접근 6) 단답형 시험 기법 7) 정보 옮기기 시험 기법 §.7-3. ‘실생활’ 구현 기법: 지문 유형과 시험 과제(문항) 사이의 관계 §.7-4. 격식 없이 시행하는 평가 방법 §.7-5. 요약 제8장 읽기 능력의 향상 §.8-1. 들머리 §.8-2. 영국 국가 차원의 성취 얼개 1) 제1 언어로서의 영어 읽기 2) 현대 외국어 읽기 §.8-3. 읽기 저울눈의 눈금 1) 외국어 교육을 위한 미국 협의체(ACTFL)의 능숙도 평가 지침 2) 유럽의 언어 검사자 연합(ALTE) 얼개 3) 학업상 외국어 읽기 수행에 대한 등급 서술 §.8-4. 한 다발로 묶여 있는 읽기 검사 1) 케임브리지 대학교 지역시험 연합(UCLES)의 주요 검사다발 2) 영어의 의사소통기술 자격인증(CCSE) §.8-5. 요약 제9장 앞으로 나아갈 길, 독자와 지문 간의 상호작용 평가: 과정 및 전략 §.9-1. 들머리 §.9-2. 읽기 과정 §.9-3. 전략 1) 학습자 전략 2) 읽기 전략 3) 교과서 속의 전략과 교사에 의한 전략의 성격 4) 시험을 치르는 동안 이용하는 전략 §.9-4. 처리과정에 대한 통찰: 이끌어내기(유도) 또는 평가를 위한 방법 1) 내성 기법 2) 면담 및 응대 3) 교실수업 대화 4) 즉각적인 애초생각 회상 5) 단서 착각 분석 6) 자기 평가 §.9-5. 조사 연구자들에 의해 쓰인 그 외의 여러 기법들 1) 언어/부호 해독 소요 시간 2) 낱말 확인하기 과정 3) 낱말 의미 짐작하기 과정 4) 상위 인지 5) 성취의 측정 §.9-6. 컴퓨터를 이용한 시험 시행 및 평가 §.9-7. 요약 §.9-8. 이 책의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와 뒤친이 [1-2권 목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