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9701 | |
005 | 20170317092401 | |
007 | ta | |
008 | 170315s2016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481292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085071 | |
040 | ▼a 211020 ▼c 211020 ▼d 211020 ▼d 211009 | |
041 | 0 | ▼a kor ▼a fre |
082 | 0 4 | ▼a 418.0071 ▼2 23 |
085 | ▼a 418.0071 ▼2 DDCK | |
090 | ▼a 418.0071 ▼b 2016z1 | |
100 | 1 | ▼a 정우향 ▼0 AUTH(211009)78632 |
245 | 1 0 | ▼a 외국어와 문화의 소통 교육 : ▼b 문화를 목소리로 가르칠 때 / ▼d 정우향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16 | |
300 | ▼a 201 p. : ▼b 삽화 ; ▼c 21 cm | |
504 | ▼a 참고문헌: p. 193-201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프랑스어가 혼합수록됨 | |
900 | 1 0 | ▼a Junh, Woo-hyang,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18.0071 2016z1 | 등록번호 1117689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이 만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면서, 외국어를 배우고, 외국 문화를 배우는 과정이 결국에는 타자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외국어와 외국 문화의 교수.학습은 학습자 개인을 둘러싼 문화적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면서 타자와의 소통을 위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해 성찰해볼 수 있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외국어와 외국 문화를 배우는 것은 타자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 책은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이 만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면서, 외국어를 배우고, 외국 문화를 배우는 과정이 결국에는 타자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는 점을 말하고 있다. 모국어와 모국 문화 속에서만 살아갈 때 우리는 ‘자기 자신을 향한 질문의 시선’을 갖지 못한다. 자기 자신을 향해서 질문하지 않을 때 타인들에 대한 이해는 불가능하며, 진정한 의미에서 ‘내적인 자유’ 역시 불가능하다. 교육은 개인이 가진 정체성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법’을 가르쳐야 하며, 교육자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과 자신의 소속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의 내적인 자유를 계발시켜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런 맥락에서 외국어와 외국 문화의 교수/학습은 학습자 개인을 둘러싼 문화적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면서 타자와의 소통을 위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해 성찰해볼 수 있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외국어 교육은 기술적 차원의 언어 능력이 아닌 사람과 사람이 진정으로 만날 수 있도록 하는 ‘소통 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우향(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 프랑스 후앙(Rouen)에서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학(FLE)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불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 읽기교육, 의사소통능력, 언어적 약자’ 등이 연구 주제이다. 『바흐친의 대화주의와 외국어 읽기 교육』 (2011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너와의 시간, 당신과의 시간』 (2014),「 한국 대학의 FLE 문화교육과 ‘시간’의 문화적 특성」 (2017), 「FLE 문화교육에서 교수자 질문 구성의 주안점」 (2018), 『소통의 시선』 (2019), 『나와의 시간, 당신과의 시간』 (2021)『언어적 약자』 (2022)등과 같은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썼다.

목차
들어가며 Ⅰ. 문화란 무엇인가 Ⅱ. 외국어 교육과 문화 Ⅲ. 의사소통의 형식과 문화 Ⅳ. 의사소통의 내용과 문화 Ⅴ. 외국어와 외국 문화 이해 교육: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읽기'' Ⅵ. 결론: 문화 속에서, 문화를 넘어서 주요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