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9631 | |
005 | 20170316142247 | |
007 | ta | |
008 | 170315s2016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75883309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4228206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82 | 0 4 | ▼a 341.37094 ▼2 23 |
085 | ▼a 341.37094 ▼2 DDCK | |
090 | ▼a 341.37094 ▼b 2016 | |
110 | ▼a 통합유럽연구회 | |
245 | 2 0 | ▼a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 ▼x European Union / ▼d 통합유럽연구회 |
260 | ▼a 서울 : ▼b 높이깊이, ▼c 2016 | |
300 | ▼a 405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저자: 강유덕, 김유정, 박단, 박상준, 박준철, 송병준, 신종훈, 심성은, 안병억, 오정은, 윤석준, 윤성원, 윤용선, 이선필, 이용재, 이정민, 이종서, 임상우, 정혁, 조은정, 조홍식, 홍용진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유덕, ▼e 저 |
700 | 1 | ▼a 김유정, ▼e 저 |
700 | 1 | ▼a 박단, ▼e 저 |
700 | 1 | ▼a 박상준, ▼e 저 |
700 | 1 | ▼a 박준철, ▼e 저 |
700 | 1 | ▼a 송병준, ▼e 저 |
700 | 1 | ▼a 신종훈, ▼e 저 |
700 | 1 | ▼a 심성은, ▼e 저 |
700 | 1 | ▼a 안병억, ▼e 저 |
700 | 1 | ▼a 오정은, ▼e 저 |
700 | 1 | ▼a 윤석준, ▼e 저 |
700 | 1 | ▼a 윤성원, ▼e 저 |
700 | 1 | ▼a 윤용선, ▼e 저 |
700 | 1 | ▼a 이선필, ▼e 저 |
700 | 1 | ▼a 이용재, ▼e 저 |
700 | 1 | ▼a 이정민, ▼e 저 |
700 | 1 | ▼a 이종서, ▼e 저 |
700 | 1 | ▼a 임상우, ▼e 저 |
700 | 1 | ▼a 정혁, ▼e 저 |
700 | 1 | ▼a 조은정, ▼e 저 |
700 | 1 | ▼a 홍용진, ▼e 저 |
740 | 1 | ▼a 조홍식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1.37094 2016 | Accession No. 1117687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적 '조약'은 유럽 외교사의 근간이자 유럽통합의 현 상황을 반영하는 핵심이 되는 공식 외교 행위이다. 이 책은 유럽통합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네 번째 키워드로 '조약'을 통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유럽이라는 역사공간이 성립된 이후의 각 시대별로 중요한 세계사적 의미를 지니는 외교적 사건들을 선정하여 그 사건들과 연계된 조약이나 국제체제의 등장 배경, 원인, 합의 과정들을 서술함으로써 유럽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유럽사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사건들이 어떠한 의미로 오늘날 통합된 유럽과 연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기획 취지라 할 수 있다.
유럽연합의 등장에 따라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의 필요성에 부응하고자 발간되었기에, 우선 대학의 전공과목이나 교양과목의 교재와 부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또 한편 이러한 지식이 실용적으로 요구되는 전문 직업인들, 즉 기업, 언론, 정부기관의 여러 독자들에게도 폭넓은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유럽통합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네 번째 키워드로 ‘조약’을 통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국제적 ‘조약’은 유럽 외교사의 근간이자 유럽통합의 현 상황을 반영하는 핵심이 되는 공식 외교 행위이다.
유럽이라는 역사공간이 성립된 이후의 각 시대별로 중요한 세계사적 의미를 지니는 외교적 사건들을 선정하여 그 사건들과 연계된 조약이나 국제체제의 등장 배경, 원인, 합의 과정들을 서술함으로써 유럽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유럽사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사건들이 어떠한 의미로 오늘날 통합된 유럽과 연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기획 취지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유럽연합의 등장에 따라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의 필요성에 부응하고자 발간되었기에, 우선 대학의 전공과목이나 교양과목의 교재와 부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또 한편 이러한 지식이 실용적으로 요구되는 전문 직업인들, 즉 기업, 언론, 정부기관의 여러 독자들에게도 폭넓은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럽연합의 형성에 관한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지식이 필요한 모든 독자들에게 이 책이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저자소개
강유덕 한국외대 LT학부 교수
김유정 경상대 EU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박 단 서강대 사학과 교수
박상준 한국외대 EU연구소 책임연구원
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송병준 한국외대 국제관계학과 강사
신종훈 경상대 사학과 교수
심성은 한양대 유럽아프리카연구소 연구교수
안병억 대구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오정은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교육실장
윤석준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윤성원 수원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윤용선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이선필 한국외대 EU연구소 초빙연구원
이용재 전북대 사학과 교수
이정민 세종대 교양학부 초빙교수
이종서 중원대 교양학부 연구교수
임상우 통합유럽연구회 회장, 서강대 사학과 교수
정 혁 한국외대 EU연구소 초빙연구원
조은정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조홍식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홍용진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HK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통합유럽연구회(엮은이)
통합유럽연구회 유럽통합의 역사적 과정이 오늘날 유럽사회에 미치는 정치사회학적 함의를 역사학의 시각과 사회과학의 시각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연구하려는 목적으로 2007년에 결성되었다. 역사학자, 정치학자, 그 밖의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기 학술세미나를 통해 논문 발표 및 열린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등재학술지 《통합유럽연구》를 발간하고 있으며, 《박물관 미술관에서 보는 유럽사》,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도시로 보는 유럽통합사》, 《인물로 보는 유럽통합사》 등의 단행본을 출간했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제1장 근대 서유럽 국가 탄생의 조약: 베르?조약과 메르센조약 제2장 유럽 국제조약의 기원들: 아라스조약, 로디의 평화조약, 카토-캉브레지조약 제3장 독일교회의 분립과 세속권력의 교회장악: 아우크스부르크 평화회의 제4장 30년 전쟁과 유럽의 새로운 평화질서: 베스트팔렌조약 제5장 전쟁의 시대, 영구평화의 이상: 위트레흐트조약 제6장 19세기 ‘유럽협조’ 체제의 탄생: 빈조약 제7장 유럽 최초의 자유무역협정: 콥든-슈발리에조약 제8장 평화와 갈등의 변증법: 1878년 베를린조약 제9장 실패한 세계평화의 이상: 베르사유조약 제10장 유럽평화 시나리오: 로카르노조약 제11장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세계질서의 재편: 포츠담협정 제12장 국가들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법: 파리조약 제13장 연방주의 통합방식의 좌절: 유럽방위공동체설립조약 제14장 “샴 쌍둥이”의 탄생: 로마조약 제15장 미래세대의 화해를 통한 유럽통합의 심화: 엘리제조약 제16장 이념을 거스른 범 유럽적 평화의 모색: 헬싱키협정 제17장 유럽동맥경화증 극복과 ‘더 가까워진 유럽’의 출발점: 단일유럽의정서 제18장 ‘유럽 국경허물기’의 출발점: 솅겐조약 제19장 유럽연합의 출발지: 마스트리히트조약 제20장 동서 통합유럽 건설의 본격적 행보:암스테르담조약과 니스조약 제21장 유럽통합을 향한 환경민주주의의 실현: 알후스협약 제22장 유럽연합의 권리장전: 기본권헌장 제23장 외교에서 정치로: 유럽헌법조약과 리스본조약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