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효행록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보, 편 권준, 편 이제현, 찬 윤호진, 역
서명 / 저자사항
효행록 / 권보, 권준 엮음 ; 이제현 찬 ; 윤호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지식을만드는지식,   2017  
형태사항
390 p. ; 19 cm
총서사항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원표제
孝行錄
ISBN
9791128822889
일반주기
이 책은 1600년(선조33, 경자년)에 경주에서 간행된 정자본을 대본으로 하고, 1929년(기사년) 음성에서 간행된 기사본을 참고하였으며, 기사본의 발문을 부록에 실음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6591
005 20190523144356
007 ta
008 170227s2017 ulk b 000c kor
020 ▼a 9791128822889 ▼g 03150
035 ▼a (KERIS)BIB000014396404
040 ▼d 221016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chi
082 0 4 ▼a 173 ▼2 23
085 ▼a 173 ▼2 DDCK
090 ▼a 173 ▼b 2017
245 0 0 ▼a 효행록 / ▼d 권보, ▼e 권준 엮음 ; ▼e 이제현 찬 ; ▼e 윤호진 옮김
246 0 9 ▼a 孝行錄
260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7
300 ▼a 390 p. ; ▼c 19 cm
440 0 0 ▼a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500 ▼a 이 책은 1600년(선조33, 경자년)에 경주에서 간행된 정자본을 대본으로 하고, 1929년(기사년) 음성에서 간행된 기사본을 참고하였으며, 기사본의 발문을 부록에 실음
700 1 ▼a 권보, ▼e
700 1 ▼a 권준, ▼e
700 1 ▼a 이제현, ▼e
700 1 ▼a 윤호진, ▼e
949 ▼a 지만지 사상선집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2017 등록번호 1118101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73 2017 등록번호 1513339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73 2017 등록번호 1118101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73 2017 등록번호 1513339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식을 만드는 지식 사상선집. 고려 말에 중국에서 전해진 효행 이야기들을 모아 민간에 널리 알리고자 엮은 책이다. 이를 바탕으로 효자, 충신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다. 효 사상의 옛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자 효행 설화들을 다수 접할 수 있는 설화집이기도 하다. 그뿐만 아니라 이야기마다 당대의 유명한 학자인 이제현의 찬과 권근의 주가 달려 있어 문학사적인 가치도 훌륭하다.

≪효행록(孝行錄)≫은 중국의 효자 64인에 대한 소개와 찬양, 그리고 평가를 한 책이다. 이 책에는 이들 24인의 효자를 소개하는 24편의 글과 40효자를 소개하는 38편의 글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효자 두 사람은 다른 사람의 글에 함께 소개되어 있다). 24편은 고려 후기의 세도가인 권준(權準)이 엮은 뒤, 이제현(李齊賢)의 찬을 붙이고 그림을 그려서 아버지께 올린 것이고, 38편은 아버지 권보(權溥)가 아들의 뜻을 가상히 여겨 추가로 엮은 뒤 역시 이제현의 찬을 붙인 것이다. 권보의 증손인 조선 초기의 학자 권근(權近)은 여기에다가 평설을 붙였다.
그 내용이 우리나라가 아니라 중국의 효자들에 관한 이야기이며, 현대인의 안목으로 볼 때 더러는 지나치게 극단적인 효행을 수록했고 더러는 지나칠 정도로 내용이 간략하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읽기에는 적절치 않고 부족하며, 아쉬운 점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들 이야기는 우리 선현들에 의해 재편집되고 재평가된 것으로, 고려 후기로부터 조선 초기까지의 사대부들의 효 사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다. 특히 이제현의 찬과 권근의 평설은 이 책의 자료 가치를 더해 주는 것들이다. 더구나 이 책이 조선의 세종에 의해 중시되어 권장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효자, 충신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후대에 미친 영향이 또한 막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행록≫은 세종 이후에 ≪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오륜행실도≫ 등의 책이 잇따라 나옴으로써 오랫동안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한 느낌이다. 그러나 이 책은 편찬에 참여한 사람들의 쟁쟁한 면모와 그 내용 그리고 형식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소중한 자료다.
≪효행록≫은 요즈음과 달리 수직적인 인간관계가 형성되었던 시대에 쓰인 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수평적인 인간관계로 형성된 현대사회에서는 이 책이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지금은 가족 간의 관계도 가부장적인 시대와는 달리 수평적이고 평등한 관계이므로, 수직적인 윤리를 강조한 ≪효행록≫은 오늘날 빛바랜 유산으로 인식하기 쉽다. 더구나 그 내용이 요즈음 사람들의 삶의 방식 내지는 생각과 너무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실감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이치는 변함이 없다. 비록 수직적인 것이 수평적으로 바뀌었다고 하지만,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예전의 수직적인 사회에서 부모자식 간의 관계도 아버지가 아들에게 명하고, 아들은 이에 복종하는 일방적인 구도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 근간이 되는 것은 부자자효(父慈子孝)라는 하향 상향이 조화를 이루는 쌍방 내지는 양방적인 관계다. 이는 사회가 수평적이건 수직적이건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의 사회적 관계는 대등하게 바뀌었더라도, 부모의 큰 사랑에 대해 자식들이 보답하는 일은 예와 지금이 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보(엮은이)

고려 시대의 학자다. 자는 제만(齊滿). 호는 국재(菊齋)다.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성리학 보급에 크게 공헌했고 실록 편찬에도 참여했다. ≪주자사서집주(朱子四書集註)≫를 간행하고 ≪은대집(銀臺集)≫ 20권을 주해했다. ≪효행록≫ 후찬의 행록을 엮었다.

권준(엮은이)

고려 시대의 학자이며 권보의 아들이다. 자는 평중(平仲), 호는 송재(松齋)다. 중국의 대표적인 효자 24인에 대한 행실을 기록해 ≪효행록≫ 전찬의 행록을 엮었다.

윤호진(옮긴이)

1957년 경기 남양주에서 출생했다. 국민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민대 강사, 성균관대 강사 등을 거쳐, 2020년 현재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중국 무한대학 방문학자, 영국 셰필드 대학 방문교수 등을 지냈다. 논문으로는 <한계(寒溪) 하대명(河大明)의 생애(生涯)와 문학(文學)>(2018), <연민의 <동도편(東都篇)>과 <동도유기(東都遊記)>에 보이는 경주 유람의 내용과 특징>(2019), <추범(秋帆) 권도용(權道溶)의 우국한시(憂國漢詩)에 나타난 작가의식(作家意識)의 지향(志向)>(2019) 외 다수가 있다. 역서로는 ≪만사(挽詞)와 제문(祭文)≫(민속원, 2015), ≪문혈록(?血錄)≫(민속원, 2016), ≪국역 무하당집(無何堂集)≫元·亨·利·貞(민속원,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시(漢詩)와 사계(四季)의 화목(花木)≫(교학사, 1997), ≪남명의 인간관계≫(경인문화사, 199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3 

효행록 전찬 
1. 순임금을 위해 코끼리가 밭을 갈다(大舜象耕)	····9 
2. 노래자가 아이놀음을 하다(老萊兒戱)	·······13 
3. 곽거가 자식을 땅에 묻다(郭巨埋子)	·······17 
4. 동영이 자신의 몸을 팔다(董永賃身)	·······20 
5. 민자건이 추위를 참다(閔子忍寒)	·········23 
6. 증자가 통증을 느끼다(曾氏覺痛)	·········26 
7. 맹종이 겨울에 죽순을 얻다(孟宗冬筍)	······31 
8. 유은에게 천신이 미나리를 내려 주다(劉殷天芹)	··34 
9. 왕상이 얼음에서 물고기를 얻다(王祥?魚)	····37 
10. 강시의 우물에서 잉어가 튀어나오다(姜詩泉鯉)	··40 
11. 채순이 오디를 나누다(蔡順分?)	········43 
12. 육적이 귤을 품다(陸績懷橘)	··········47 
13. 의부가 넓적다리를 베다(義婦割股)	·······50 
14. 효아가 시신을 안고 나오다(孝娥抱屍)	······53 
15. 정란이 어머니 상을 깎다(丁蘭刻母)	·······57 
16. 명달이 아들을 팔다(明達賣子)	·········60 
17. 원각이 아버지를 깨우치다(元覺警父)	······63 
18. 전진이 아우들을 일깨우다(田眞諭弟)	······67 
19. 노고가 큰아들을 안고 가다(魯姑抱長)	······71 
20. 조종이 마른 동생을 바꾸라 하다(趙宗替瘦)	···74 
21. 포산이 광주리를 지다(鮑山負筐)	········77 
22. 백유가 매를 맞고 울다(伯瑜泣杖)	········80 
23. 염자가 사슴 떼 속으로 들어가다(琰子人鹿)	···85 
24. 양향이 호랑이를 타다(楊香跨虎)	········88 

효행록 후찬 
1. 문왕이 문안을 하다(周后問安)	··········93 
2. 한나라 황제가 약을 맛보다(漢皇嘗藥)	······96 
3. 중유가 쌀을 지다(仲由負米)	···········99 
4. 황향이 베개에 부채질을 하다(黃香扇枕)	·····102 
5. 일제가 초상화에 절하다(日?拜像)	·······105 
6. 고개가 울면서 편지를 쓰다(顧愷泣書)	······108 
7. 장원이 눈을 낫게 하다(張元療目)	········110 
8. 소현이 살갗을 침으로 찌르다(少玄?膚)	·····113 
9. 제영이 아버지 죄를 대신하다(??贖父)	·····115 
10. 경휴가 아우에게 젖을 먹이다(景休乳弟)	····118 
11. 문정이 광중에 구멍을 뚫다(文貞穿壙)	·····120 
12. 고초가 관에 엎드리다(古初伏棺)	········123 
13. 왕부가 잣나무를 붙들고 울다(王?泣栢)	····126 
14. 종승의 효성에 대가 나다(宗承生竹)	······129 
15. 문양의 효성에 까마귀가 돕다(文讓烏助)	····131 
16. 원사가 승냥이를 길들이다(袁師狼馴)	······134 
17. 설포가 두들겨 맞다(薛包被毆)	·········137 
18. 유곤이 병을 간호하다(庾袞護病)	········140 
19. 유정이 향을 피우다(劉政焚香)	·········144 
20. 허자가 흙을 져 나르다(許孜負土)	·······147 
21. 신도가 밥을 먹지 않다(申徒不食)	·······150 
22. 건옹이 지나치게 슬퍼하다(乾邕過哀)	······153 
23. 왕양이 험한 곳을 피하다(王陽避險)	······156 
24. 계전이 강에 몸을 던지다(季詮投江)	······160 
25. 대량이 노새가 우는 소리를 내다(戴良驢鳴)	···163 
26. 오맹이 모기에 물리다(吳猛蚊?)	········165 
27. 포영이 아내를 내쫓다(鮑永去妻)	········167 
28. 등유가 자식을 버리다(鄧攸棄子)	········170 
29. 모용이 반찬을 마련하다(茅容設饌)	·······174 
30. 검루가 똥을 맛보다(黔婁嘗糞)	·········177 
31. 강혁이 품팔이를 하다(江革自傭)	········180 
32. 세통이 길이 사모하다(世通永慕)	········182 
33. 자평이 자신을 벌주다(子平罪己)	········185 
34. 수창이 벼슬을 버리다(壽昌棄官)	········188 
35. 영공이 수염을 태우다(英公焚鬚)	········191 
36. 문정이 등을 어루만지다(文正?背)	·······194 
37. 진씨가 시어미를 봉양하다(陳氏養姑)	······197 
38. 장손부인이 며느리에게 감동하다(長孫感婦)	···200 

후서(後序)	···················203 
기사본 서발(序跋)	················209 
《효행록》 중간발(重刊跋)	············214 
《효행록》 후지(後識)	··············216 

해설	······················219 
지은이에 대해	··················340 
옮긴이에 대해	··················390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종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