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자이니치의 정신사 : 남·북·일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윤건차 尹健次, 1944- 박진우, 역 김병진, 역 박이진, 역 남상욱, 역 황익구, 역
Title Statement
자이니치의 정신사 : 남·북·일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 윤건차 지음 ; 박진우 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겨레출판,   2016  
Physical Medium
927 p. : 연표 ; 24 cm
Varied Title
在日の精神史
ISBN
9788984312722
General Note
공역자: 김병진, 박이진, 남상욱, 황익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892-91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5842
005 20170222102221
007 ta
008 170221s2016 ulkj b 001c kor
020 ▼a 9788984312722 ▼g 93910
035 ▼a (KERIS)BIB000014179257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25.2519/0952 ▼2 23
085 ▼a 325.2530952 ▼2 DDCK
090 ▼a 325.2530952 ▼b 2016z2
100 1 ▼a 윤건차 ▼g 尹健次, ▼d 1944- ▼0 AUTH(211009)130758
245 1 0 ▼a 자이니치의 정신사 : ▼b 남·북·일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 ▼d 윤건차 지음 ; ▼e 박진우 외 옮김
246 1 9 ▼a 在日の精神史
246 3 ▼a Zainichi no seishinshi
260 ▼a 서울 : ▼b 한겨레출판, ▼c 2016
300 ▼a 927 p. : ▼b 연표 ; ▼c 24 cm
500 ▼a 공역자: 김병진, 박이진, 남상욱, 황익구
504 ▼a 참고문헌(p. 892-914)과 색인수록
700 1 ▼a 박진우, ▼e▼0 AUTH(211009)121272
700 1 ▼a 김병진, ▼e▼0 AUTH(211009)89205
700 1 ▼a 박이진, ▼e▼0 AUTH(211009)78825
700 1 ▼a 남상욱, ▼e▼0 AUTH(211009)129016
700 1 ▼a 황익구, ▼e▼0 AUTH(211009)12182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5.2530952 2016z2 Accession No. 5110358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5.2530952 2016z2 Accession No. 11176771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0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자이니치 2세이자 한-일 현대사상사의 빼어난 연구자인 윤건차 일본 가나가와대학 명예교수의 온 삶을 건 역작이 번역 출간되었다. 일본 이와나미서점을 통해 2015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전 3권으로 출간된 <「在日」の精神史>가 한국에서는 928쪽 두꺼운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왔다.

이 책은 그 방대한 분량만큼 다루는 내용 역시 방대하다. "역사적인 사실을 자세히 조사하여 선행 연구에 뒤지지 않는 학술서로 만듦과 동시에, 재일조선인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들고자 했다"는 저자의 집필의도에 부합하게 자이니치의 삶과 역사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식민지 시기 생존을 위한 도일(渡日), 갑작스런 해방과 분단, 남과 북 그리고 일본이라는 세 국가 사이에서 벌어지는 정체성의 혼돈으로 이어지는 재일조선인의 총체적 역사를 각종 학술자료와 200명이 넘는 사람들과 만나 이루어진 인터뷰, 그리고 저자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 풀어내고 있다. 자이니치 2세로서 지금이 아니면 남길 수 없는 이야기를 모아 담으려고 애썼다고 한다.

번역의 책임감수를 맡은 숙명여대 일본학과 박진우 교수는 옮긴이의 말을 통해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재일조선인 문제와 관련되는 실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군을 때로는 서정적으로, 때로는 긴장감 넘치게, 그리고 때로는 신랄하고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어 독자로 하여금 잠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들고 있다"고 전한다.

재일(在日) 1세, 2세, 3세를 아우르는
살아있는 자이니치의 역사


자이니치 2세이자 한-일 현대사상사의 빼어난 연구자인 윤건차 일본 가나가와대학 명예교수의 온 삶을 건 역작이 번역 출간되었다. 일본 이와나미서점(岩波書店)을 통해 2015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전 3권으로 출간된 『「在日」の精神史』가 한국에서는 928쪽 두꺼운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왔다.
이 책은 그 방대한 분량만큼 다루는 내용 역시 방대하다. “역사적인 사실을 자세히 조사하여 선행 연구에 뒤지지 않는 학술서로 만듦과 동시에, 재일조선인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들고자 했다”는 저자의 집필의도에 부합하게 자이니치의 삶과 역사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식민지 시기 생존을 위한 도일(渡日), 갑작스런 해방과 분단, 남과 북 그리고 일본이라는 세 국가 사이에서 벌어지는 정체성의 혼돈으로 이어지는 재일조선인의 총체적 역사를 각종 학술자료와 200명이 넘는 사람들과 만나 이루어진 인터뷰, 그리고 저자 본인의 이야기를 녹여 풀어내고 있다. 자이니치 2세로서 지금이 아니면 남길 수 없는 이야기를 모아 담으려고 애썼다고 한다.
번역의 책임감수를 맡은 숙명여대 일본학과 박진우 교수는 옮긴이의 말을 통해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재일조선인 문제와 관련되는 실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군을 때로는 서정적으로, 때로는 긴장감 넘치게, 그리고 때로는 신랄하고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어 독자로 하여금 잠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들고 있다”고 전한다.
식민 지배와 남북 분단으로 이어진 우리 현대사의 굴곡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자이니치’에 대한 이해야말로 동아시아의 새로운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지금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며, 『자이니치의 정신사』는 이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그들은 어떻게 재일조선인이 되었는가?

저자는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단어 선택의 어려움을 털어놓는다. 자이니치, 재일조선인, 재일한국인, 재일코리안, 재일동포, 재일교포 등의 용어가 모두 일정한 정치성.이데올로기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한에 대해서도 북, 북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공화국), 남, 남조선, 대한민국(한국) 등이 모두 정치성.이데올로기성을 갖는 용어들이다. 한국어판에서는 남조선-북조선의 표현보다는 남한-북한의 용어를 채택했지만, ‘재일’과 관련해서는 주로 ‘재일조선인’과 ‘자이니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엄밀히 말하자면 ‘재일조선인’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일본에 잔류한 조선인을 의미하는 역사적 용어다. 하지만 그 출발은 근대 일본의 조선 침략과 식민지 지배다. 1910년의 ‘병합’ 이후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은 해마다 늘어 해방 당시에는 200만 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조선 인구 10퍼센트에 가까운 수다. 생계를 위해 ‘밀항’을 시도한 이부터 일본 본토의 노동력 부족 때문에 ‘강제 연행’된 이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해방 이후 조국 귀환을 서둘렀지만, 결과적으로 60~70만 명의 조선인이 일본에 남게 되었다.
저자 자신이 일본에 남게 된 사연 역시 인상적이다. 1930년대에 도일한 부모 밑에서 1944년 12월 태어난 저자는 다섯 살 무렵 가족들과 함께 귀환하려 했다. 소지금에 제한이 있어서 얼마 안 되는 돈을 모두 물품으로 바꿔 전 재산을 꾸려 마이즈루 항의 대기소로 들어간 것이 1950년 4월 6일이다. 온 가족이 귀환을 기다리며 몇 달을 대기소에 머물렀고, 6월 23일 화물이 세관 검사를 거쳐 귀환선에 적재되었다. 하지만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고, 연합국 지령에 의해 송환 작업은 일시 정지되었다. 결국 8월 16일 송환의 무기 연기와 대기소 수용자들에 대한 해산 명령이 떨어졌고, 이들은 10월 말까지 강제 퇴거당한다. 심지어 돈까지, 모든 것을 처분하고 준비했던 귀환이 무산되어 길바닥에 나앉은 저자의 가족은 간신히 교토 니시진 한구석에 자리를 잡고 새 삶을 시작한다. 많은 재일조선인들이 이와 같이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시대의 격랑에 휩쓸려 내몰려지곤 했다.

한반도와 일본 근현대사의 굴곡과
그 사이에 놓인 재일조선인의 삶과 투쟁


재일조선인은 일본 사회의 비민주적인 체질과 한반도의 분단에 의해 가혹하고 고통에 찬 길을 걸어왔지만, 그 가운데 풍부한 정신적 유산도 남겨왔다. 저자에 따르면, 일본 근현대사에는 서구의 일본 침략, 그에 맞선 천황 중심의 국민 통합, 이를 바탕으로 한 일본 스스로를 위한 아시아 침략이라는 세 가지 기둥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서구 숭배 사상, 천황제 이데올로기, 아시아 멸시관이라는 세 축을 통해 일본 국민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왔다. 한편 한반도의 근현대사에는, 첫째 실패했다고는 하지만 반제.반봉건 투쟁, 둘째 일본 제국에 의한 식민지 근대화의 강요, 셋째 해방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남북 분단이라는 세 기둥이 존재한다. 한국 민주화 운동이 이른바 반제.반봉건 투쟁, 탈식민지화 투쟁, 남북통일 투쟁을 축으로 전개되어 온 것과 궤를 함께한다. 그리고 재일조선인은 이 여섯 개의 기둥과 밀접한 삶을 살고 이를 위해 투쟁해 온 것이다.
식민지 시기 재일노총(재일본조선노동총연맹)의 활약, 해방 후 조련(재일본조선인연맹)의 결성과 일본공산당과의 연대 등 재일조선인 운동은 계급 운동이자 민족 운동인 측면이 강했고, 일본의 민주화와 한반도의 해방을 향해 동시에 나아갔다. 하지만 재일조선인 사회도 조국의 분단 앞에 자유로울 순 없었다. 조련은 1946년 2월 여운형 중심의 조선인민공화국을 지지하였고, 조련에서 이탈한 보수.반공 성향의 사람들은 건청(조선건국촉진청년동맹).건동(신조선건설동맹)을 조직하여 조련과 반목하기 시작한다. 이후 건청.건동의 흐름은 민단(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 후에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재일본대한민국민단)으로 이어지며 남한 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고, 조련은 좌익적 성향이 강해지며 후일 조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흐름과 맞닿게 된다.

재일 2세의 자각과 ‘자이니치’란 말

1970년은 재일조선인에게 큰 전환기가 된 해였다. ‘히타치 취업 차별 재판’이 시작된 해이다. 입사 시험에서 본명란에 일본 이름을 적고 본적지에 일본 현주소를 기입한 재일 2세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이유로 채용을 취소한 히타치를 제소, 4년의 재판을 통해 승리를 거둔 사건이다. 이 사건이 중요한 것은 재일조선인 운동에 있어서 남북 본국과의 관계나 통일 문제에 끌려가기보다는 차별 사회인 일본 안에서 필사적으로 살아갈 것을 모색하는 움직임이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면서 1970년대 후반부터 ‘재일조선인’이나 ‘재일한국인’이라는 말보다 ‘자이니치’라는 말이 적극적으로 쓰이기 시작한다. 한일기본조약 체결 후 복잡해진 정치 상황 속에서 ‘자이니치’라는 말은 ‘조선’ 국적이냐 ‘한국’ 국적이냐 하는 국적 표시의 차이를 넘어, 일본과 남‧북 ‘세 개의 국가’ 틈바구니 속에서 사는 재일조선인을 통칭하게 되었다. 특히 당시 젊은 세대(재일 2세)가 살아가기 위한 어떤 사상이나 그 역사적 의미를 포함하는 말로 받아들여지면서 ‘자이니치로 산다’는 표현도 퍼져 나갔다. 재일 2세들은 청춘의 혼돈, 고뇌, 불안, 공포 속에서 취업, 결혼 등의 생활의 절실한 문제를 껴안고 사회 전면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새롭게 조명하는 북한 문제와 젠더 문제

책은 모두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식민지 시기의 조선인’을, 2장은 ‘해방 이후, 점령 공간의 재일조선인’을, 3장은 ‘한국전쟁과 재일조선인’을 다룬다. 4장에서는 조총련의 탄생 과정과 해방 이후 민족을 둘러싼 갈등을 이야기하고, 5장에서는 북한의 귀국 사업에서부터 4.19 그리고 박정희의 군사 쿠데타와 한일조약으로 이어지는 시기를 다루고, 6장에서는 조총련과 민단 사이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자이니치’에 주목한다. 7장에서는 1970~198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과 함께 ‘재일조선인의 일본인 아내’라는 주제에 접근하고, 8장에서는 재일정치범 양산과 인권 문제를 다룬다. 9장에서는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자이니치의 모습과 앞으로의 길을 모색한다.
100여 년의 재일조선인사를 다양한 인터뷰와 자신의 경험을 녹여 풀어낸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는 이제까지의 한일 관계에 대한 문제에 더하여 조총련 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과 남북한이라는 ‘세 개의 국가’의 틈바구니에서 ‘자이니치’가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신음하고 고뇌해 왔으며, 또한 일본 사회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고투해 왔는가를 갖가지 정치권력, 조직, 세력, 인간군상 등을 통해 파헤치고 있다. 국가권력의 공포성, 민족 조직의 흡인력과 배타성, 반권력 속에 깃든 교활한 권력성과 같은 민감하고 신중한 문제에 과감히 메스를 들이대는 저자의 열정과 용기에 새삼 숙연해진다.
또 하나의 특징은 민족, 계급, 국가의 문제에 더하여 젠더의 문제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는 점이다. 7장 2절 ‘재일조선인의 일본인 아내’, 9장 1절 ‘아이덴티티의 동요, 그리고 표현자로서의 재일조선인 여성’ 등의 부분을 따로 만들고, 남녀의 문제, 가족 간의 애증, 그 속에서 자이니치의 갖가지 고뇌와 갈등, 고통, 과오, 위선 등을 여과 없이 그려내고 있다. 그 가운데 저자 자신의 이야기도 숨기지 않고 서술하고 있다.

현재진행형인 자이니치 문제

이 책의 제목은 ‘정신사’이지만 그 내용은 재일조선인의 사상·정신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이라는 세 개의 국가 사이에서 자이니치가 가지는 의미를 역사·정치·사회·문화·문학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지금까지의 재일조선인 연구를 총괄한 최초의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자가 마지막에서 말하고 있듯, 일본 사회의 뿌리 깊은 차별적 체질과 여전히 해결될 길이 보이지 않는 남북 분단의 현실 앞에서, 자이니치의 문제는 여전히 미완의 이야기일 뿐이다. 이 책을 계기로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윤건차(지은이)

1944년 교토에서 태어난 재일조선인 2세다. 1968년에 교토대학을 졸업했으나 재일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취업하지 못했다. 도쿄대학 대학원에 진학하여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족문제와 한일관계를 평생 화두로 삼아 일본 근대사상사, 한국 현대사상사, 근대 한일관계사, 재일조선인사 등 방대한 연구를 해왔다. 32년간 재직한 가나가와대학을 정년퇴직하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우리말로 번역된 저서로 『한국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현대일본의 역사의식』, 『일본: 그 국가·민족·국민』,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한일 근대사상의 교착』,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등이 있다.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의 내용을 수정하고 다듬어 30여 년 만에 다시 출간하는 의도는 여전히 “인간의 사고나 행동을 규정하는 교육을 사회의 기본 구조나 사회제도, 정치체제, 경제, 법률, 도덕, 학문, 종교 그리고 열강의 침략과 민족운동의 전개 등 모두를 포함하는 사회적 제 관계의 복합으로 파악하고, 역으로 그러한 교육으로 형성된 인간이 사회와 역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역동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박진우(옮긴이)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국제학 석사과정을 수료하고 히도쓰바시대학에서 일본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산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를 거쳐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2021년 정년 퇴임했다. 대표 저서로는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와 민중』(제이앤씨, 2004), 『21세기 천황제와 일본』(논형, 2006),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개정판』(공저, 창비, 2016), 『메이지 천황』(살림, 2019) 등이 있다.

박이진(옮긴이)

문화표현론(표상론)을 전공했고 일본 귀환자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아시아 여성 표상, 인종주의와 혼혈아 표상, 동아시아 문화론(시누아즈리, 자포니즘)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19세기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2022), Beyond Nationalism In This ‘ERA OF DISASTER’: Setting a New Relationship for a Sustainable Future(공동, 2021), 「《귀멸의 칼날》 속 ‘경계’ 이야기」(2021) 외 다수의 연구가 있다.

남상욱(옮긴이)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학술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저 『‘경계’에서 본 재난의 경험』(2023), 『한국과 일본의 문학과 민주주의』(2022), 『전후의 탈각과 민주주의의 탈주』(2020) 등의 저서와 『헌등사』(2018) 등의 번역서가 있다. 현재 관심 영역은 일본 문학 속의 재난 표상 그리고 문화적 혼종과 갈등이며, 이에 관한 문학적이고 문화적 연구와 번역을 진행하고 있다.

황익구(옮긴이)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 저서로는 『交錯するの記憶-占領空間の文』(春風社, 2014), 『異文化理解とパフォ マンス』(공저, 春風社, 2016),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8), 『재일코리안의 역사적 인식과 역할』(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8),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제국주의의 프로파간다와 식민지 표상』(공저, 민속원, 2019),&#160;『계몽의 기획과 신체』(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9),&#160;『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공저, 도서출판 선인, 2021)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65378;식민지 초기 조선의 위생풍속에 대한 식민권력의 이중성-미신담론을 중심으로&#65379;(『일본문화연구』 75호, 2020), &#65378;근대일본의 스포츠를 둘러싼 정치학과 식민지 조선-스포츠담론의 행방과 ‘국민의 신체’&#65379;(『한일민족문제연구』 40호, 2021) 등이 있다.

김병진(옮긴이)

일본의 총합연구대학원대학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오스기 사카에(大杉&#26628;)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아시아 근현대의 지적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해 온 가치관을 되묻는 연구를 통해 ‘근대’를 돌아보고자 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일본 근현대 사상에 나타난 ‘생명주의’의 흐름에 주목하고서 사회운동 및 여성운동 내에서의 전개 양상을 추적하고 있다. 그러한 흐름이 재일문학에 나타나는 양상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업적으로는 『자이니치의 정신사』(공역) 외에 「근대 일본 여성운동에서의 생명주의와 우생학」, 「다이쇼기 ‘아나·볼 논쟁’ 재고」, 「고토쿠 슈스이의 ‘과학적’ 사회주의」, 「20세기 전환기 자유의 각성과 생명의식」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자이니치의 정신사''를 말한다는 것 

1장 식민지 시기의 조선인 
1 도일과 재일조선인 사회의 형성 
도일의 역사 | 관부연락선과 도항증명서 | 조선인 부락과 협화회 | 강제 연행과 도망 
2 재일지식인에게 민족과 계급 
식민지 시기의 재일지식인-김두용을 중심으로 | 재일지식인에게 민족과 계급 | 재일노총의 해체-계급인가 민족인가 | 프롤레타리아국제주의, 그리고 민족적 불만과 감정 | 패전/해방 이전의 김두용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 재일조선인 문학(1)-식민지 시기 
재일조선인 문학의 시작 | 장혁주와 일본어 소설 | 김사량과 민족적 주체성 | 「아리랑」의 애환 

2장 해방 이후, 점령 공간의 재일조선인 
1 해방ㆍ귀환ㆍ암시장 
일본의 패전, 그리고 조선의 해방 | 귀환의 양상 | 암시장과 ‘제삼국인’ | 귀환선 | 운명의 갈림길, 마지막 귀환(예정)선 
2 재일조선인 운동과 일본공산당 
해방 직후, 조련의 결성 | 조련과 일본공산당 | 조련과 남북한 | 민단의 발자취 | 전위당의 깊은 어둠 | 재일조선인에게 국제연대, 국제주의란 무엇인가 
3 재일 1세와 민족 교육 
제일 1세의 민족의식, 민족주의 | 민족 교육의 발자취 | 민족 교육을 위한 투쟁 | 조총련의 민족 학교, 그리고 공립학교의 민족 학급 

3장 한국전쟁과 재일조선인 
1 조선인 관리, 밀항, 외국인 등록제 
GHQㆍ일본 정부의 외국인 관리 | 밀항의 구체적인 모습 | 냉혹한 정치 상황과 밀항 | 외국인 등록의 벽 | 재류 특별 허가의 부여 | 밀항 체험 묘사 
2 한국전쟁과 오무라 수용소 
한국전쟁 발발과 민전 결성 | 전쟁에 저항하다 | 한일회담의 개시 | 오무라 수용소 | 재일조선인의 국적 문제 

4장 노선 전환과 문학 활동 
1 민전에서 조선총련으로-노선 전환의 발자취 
남일 외무상 성명의 파문, 그리고 노선 전환 | 통일전선의 모색과 통일동지회, 통협 | 조국파의 형성과 한덕수 | 백수봉 논문의 충격 | 조국파의 승리와 조총련 결성 | 노선 전환에 대한 평가와 ‘혁명’ 환상 | 조선인 당원의 고민 
2 재일조선인 문학(2)-해방 이후, 민족을 둘러싼 갈등 
해방 이후, 민족 문학의 출발과 김달수 | 시인 허남기와 조선총련, 공화국 | 역사 인식과 문학자, 일탈한 장혁주, 그리고 다치하라 마사아키 | 김석범과 김시종 

5장 귀국 사업과 4ㆍ19혁명, 그리고 한일조약 
1 귀국 사업과 4ㆍ19혁명 
귀국 사업의 전말 | 귀국의 실상 | 차별과 빈곤의 문제 | 민단과 한국 정부 | 조선총련과 공화국, 그리고 조선대학교 | 4ㆍ19혁명과 재일조선인 사회 | 1950~1960년대, 자이니치의 문화 활동 
2 박정희의 군사 쿠데타와 한일조약 
박정희의 군사 쿠데타 | 조용수와 『민족일보』 | 한청동ㆍ한학동ㆍ한민자통ㆍ한민자청 | 북의 대남 정책 변화 | 박정희 정권의 경제정책, 그리고 자이니치 | 자이니치 2세, 아이덴티티의 갈등 

6장 민족을 둘러싼 갈등 
1 조총련ㆍ민단의 대립, 재일 2세의 갈등 
조선총련이란 | 민단에 대해서 | 협정 영주와 국적 바꿔 쓰기 운동 | 한국 민주화 운동과 자이니치 운동 | 7ㆍ4 공동성명, 그리고 한민통ㆍ한통련 | 재일 2세, ‘민족’의 자각 | 남북 균형의 역전, 그리고 김병식 사건 
2 ‘세 국가’ 사이에서의 고투-작가 김달수의 경우 
김달수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일본 속의 조선 문화』 간행 | 넘을 수 없는 ''자이니치의 벽'' | 전기가 된 한국 방문 

7장 문학, 그리고 가족의 애증 
1 재일조선인 문학(3)-1970~1980년대 
''재일조선인 문학''이란 | 이회성의 활동 | 김석범, 그리고 국적 논쟁 | 김시종과 오임준 | 고사명, 그리고 김학영과 다케다 세이지 | 시인 강순, 유려한 문학자 김태생, 그리고 양석일 
2 재일조선인의 일본인 아내 
내선결혼의 역사 | 자이니치의 결혼과 일본인 아내 | 조혼 문제 | 일본인 아내에 얽힌 이야기 | 보이지 않는 국경 | 스미 게이코와 야마자키 도모코 | 조총련 조직의 일본인 아내 기피 | 일본인 아내와의 인생 

8장 정치와 인권 
1 남북의 체제 경쟁과 재일정치범 
재일정치범의 양산 | 서승ㆍ서준식 형제 사건 | 정치범의 양상 | 조총련의 대남 공작 | 망설임과 갈등의 청춘 
2 재일상공인의 명암-본국과의 관계 방식 
민단계 상공인 | 조총련계 상공인 | 합작 사업 실패와 조총련 비판 | 어느 민단 동포의 인생 

9장 ''자이니치로 산다''는 것 
1 아이덴티티의 동요, 그리고 표현자로서의 재일조선인 여성 
전환기, 1980년대 | 다양한 ''자이니치론'' | 본명 말하기 운동, 그리고 차별 반대 운동의 전재 | 귀화 문제 | 재일지식인의 모습 | 젊은 세대의 문학, ‘자이니치 문학’ 혹은 ''〈자이니치〉 문학'' | 표현자로서의 재일조선인 여성 
2 냉전 구조의 종언과 자이니치 
종군위안부 문제 | 일본인 납치 문제와 탈북자 | 김대중ㆍ노무현 정권과 자이니치 운동 | 조총련의 쇠퇴와 민단 | 정치범 재심 | 자이니치 운동의 변화 | 재일지식인의 함정 

결론을 대신하여 | 자이니치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옮긴이의 말 
현대사 연표-일본ㆍ세계 | 자이니치 | 한반도 
인용 문헌 
사항 색인 
인명 색인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