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의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homsky, Noam 구미화, 역 조숙환, 감수
서명 / 저자사항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의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 / 노엄 촘스키 지음 ; 구미화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와이즈베리 :   미래엔,   2017  
형태사항
247 p. ; 21 cm
원표제
What kind of creatures are we?
ISBN
9788937889233
일반주기
감수: 조숙환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anguage and languages --Philosophy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3991
005 20170131091713
007 ta
008 170126s2017 ulk 001c kor
020 ▼a 9788937889233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01 ▼2 23
085 ▼a 401 ▼2 DDCK
090 ▼a 401 ▼b 2017
100 1 ▼a Chomsky, Noam ▼0 AUTH(211009)41272
245 1 0 ▼a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 ▼b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의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 / ▼d 노엄 촘스키 지음 ; ▼e 구미화 옮김
246 1 9 ▼a What kind of creatures are we?
260 ▼a 서울 : ▼b 와이즈베리 : ▼b 미래엔, ▼c 2017
300 ▼a 247 p. ; ▼c 21 cm
500 ▼a 감수: 조숙환
500 ▼a 색인수록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Philosophy
700 1 ▼a 구미화, ▼e▼0 AUTH(211009)59949
700 1 ▼a 조숙환, ▼e 감수
900 1 0 ▼a 촘스키, 노엄,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17 등록번호 11176663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 2017 등록번호 1513340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17 등록번호 11176663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401 2017 등록번호 1513340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 언어학과 인지과학의 창시자이자 열렬한 사회 비평가로서 지난 50년간의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에 관한 자신의 핵심 철학을 정리하고 논쟁점을 광범위하게 비평한 ‘촘스키 인간론’의 정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처음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정립했던 1950년대 이후 거둔 인지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언어 연구가 어떻게 과학적으로 발전했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언어의 사회적 측면과 의사소통, 지시와 관련된 측면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을 설명하고 비평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론 언어학, 인지과학, 과학철학, 과학사, 진화생물학, 형이상학, 지식 이론, 언어철학, 도덕 · 정치철학,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 인간이 어떠한 존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사회, 정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설명하면서 언어 과학자로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전한다.

한 언어 과학자가 과학적 연구의 폭넓은 함의에 대해 평생에 걸쳐 고민한 내용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정치적 논평과 달리 일반 독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촘스키 자신이 직접 정리한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과 그 답을 따라 가다 보면 그가 인간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째서 무정부주의자가 되었는지 그의 거대한 사유의 자취와 정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대 최고의 지성 놈 촘스키가 들려주는 인간, 언어, 그리고 사회에 대한 생각들. 이론 언어학, 인지과학, 과학철학, 과학사, 진화생물학, 형이상학, 지식 이론, 언어철학, 도덕 · 정치철학,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 인간이 어떠한 존재이며 언어가 사회, 정치적으로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설명하면서 언어 과학자로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되돌아보는 내용의 책“인간이 하등 동물과 다른 유일한 점은 대단히 복합적인 소리를
생각과 결부시키는 능력이 거의 무한정 더 크다는 것이다.”
- 찰스 다윈

변형생성문법에서 인지과학까지,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 철학 사상의 결정판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는 현대 언어학과 인지과학의 창시자이자 열렬한 사회 비평가로서 지난 50년간의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에 관한 자신의 핵심 철학을 정리하고 논쟁점을 광범위하게 비평한 ‘촘스키 인간론’의 정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처음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정립했던 1950년대 이후 거둔 인지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언어 연구가 어떻게 과학적으로 발전했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언어의 사회적 측면과 의사소통, 지시와 관련된 측면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을 설명하고 비평한다. 또한 관심을 사회와 정치로 옮겨, 그가 ‘자유 사회주의’라고 설명하는 입장을 면밀히 탐구하고 철학적으로 옹호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론 언어학, 인지과학, 과학철학, 과학사, 진화생물학, 형이상학, 지식 이론, 언어철학, 도덕 · 정치철학,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 인간이 어떠한 존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사회, 정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설명하면서 언어 과학자로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전한다.
이 책은 한 언어 과학자가 과학적 연구의 폭넓은 함의에 대해 평생에 걸쳐 고민한 내용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정치적 논평과 달리 일반 독자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촘스키 자신이 직접 정리한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과 그 답을 따라 가다 보면 그가 인간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째서 무정부주의자가 되었는지 그의 거대한 사유의 자취와 정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놈 촘스키(지은이)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한 뒤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를 만나면서 언어학의 세계에 발을 디뎠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펜 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1958년(30세) 부교수, 1961년(33세) 종신교수, 1966년(38세) 석좌교수, 1976년(48세) ‘인스티튜트 프로페서Institute Professor(독립적인 학문기관으로 대우하는 교수)’가 된 그는 지금까지 논문 1,000여 편과 저서 100여 권을 발표했다. 노엄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자 인지과학 혁명의 주역으로서 명성을 누리는 데 머물지 않았다. 젊은 시절부터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1967년 〈지식인의 책무〉를 발표하면서 세계 지식인들의 양심에 경종을 울린 그는, 여든 살을 넘긴 오늘날까지도 시대의 양심이자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 또한 세계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거대 다국적기업들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미국의 제국주의, 자본의 언론 장악과 프로파간다를 신랄하게 파헤친다. 주요 저서로는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외에도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비밀, 거짓말 그리고 민주주의》, 《공공선을 위하여》, 《촘스키, 知의 향연》, 《촘스키, 사상의 향연》, 《촘스키, 고뇌의 땅 레바논에 서다》,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숙명의 트라이앵글》, 《지식인의 책무》, 《여론조작》, 《통사 구조》,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 등이 있다.

구미화(옮긴이)

연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과 서양사를 전공하고 동아일보사에서 기자로 일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영어교육을 공부하고 번역을 시작했다. 옮긴 책으로는 『참선』(1, 2) 『농장에서 식탁까지 100마일 다이어트』 『민주주의를 넘어서』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인생학교-지적으로 운동하는 법』 『인생학교-자연과 연결되는 법』 『지속 가능한 교육을 꿈꾸다』(공역) 『변화를 이끄는 이사회』 등이 있다. 매일 두 아이에게 부끄러운 모습을 보이고 후회하지만 내일은 좀 더 나아지리라 번번이 다짐하는 엄마다.

조숙환(감수)

서강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후, 캐나다 앨버타대학교에서 언어학으로, 하버드대학교에서 인간발달학과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언어와 인지, 언어처리, 언어습득, 언어장애 등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모교인 서강대학교에서 언어학과 인지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마음의 재구성 : 촘스키와 스키너』, 『언어와 인지 이야기』, 『언어는 어떻게 소통되는가』(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2015), 한국연구재단 50선 선정도서(201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감수의 글 

서문 

1장 언어란 무엇인가? 
2장 우리는 무엇을 이해할 수 있는가? 
3장 공공선이란 무엇인가? 
4장 자연의 신비: 얼마나 깊이 숨겨져 있는 것일까? 

주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