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파이썬으로 익히는 딥러닝 이론과 구현 (Loan 34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斎藤康毅, 1984- 이복연, 역
Title Statement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파이썬으로 익히는 딥러닝 이론과 구현 / 사이토 고키 지음 ; 개앞맵시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빛미디어,   2017   (2021 13쇄)  
Physical Medium
312 p. : 삽화, 도표 ; 24 cm
Varied Title
ゼロから作るDeep Learning : Pythonで学ぶディープラーニングの理論と実装
ISBN
9788968484636
General Note
'개앞맵시'의 본명은 '이복연'임  
부록: A. Softmax-with-Loss 계층의 계산 그래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0-307)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3490
005 20220207133214
007 ta
008 170118s2017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484636 ▼g 93000
035 ▼a (KERIS)BIB000014348567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d 211092
041 1 ▼a kor ▼h jpn
082 0 4 ▼a 006.31 ▼2 23
085 ▼a 006.31 ▼2 DDCK
090 ▼a 006.31 ▼b 2017
100 1 ▼a 斎藤康毅, ▼d 1984- ▼0 AUTH(211009)122664
245 1 0 ▼a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b 파이썬으로 익히는 딥러닝 이론과 구현 / ▼d 사이토 고키 지음 ; ▼e 개앞맵시 옮김
246 1 9 ▼a ゼロから作るDeep Learning : ▼b Pythonで学ぶディープラーニングの理論と実装
246 3 ▼a Zero kara tsukuru dīpu rāningu : ▼b paison de manabu dīpu rāningu no riron to jissō
260 ▼a 서울 : ▼b 한빛미디어, ▼c 2017 ▼g (2021 13쇄)
300 ▼a 312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0 ▼a '개앞맵시'의 본명은 '이복연'임
500 ▼a 부록: A. Softmax-with-Loss 계층의 계산 그래프
504 ▼a 참고문헌(p. 300-307)과 색인수록
546 ▼a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700 1 ▼a 이복연, ▼e▼0 AUTH(211009)86652
900 1 0 ▼a 사이토 고키, ▼e
900 0 0 ▼a 개앞맵시, ▼e
900 1 0 ▼a Saitō, Kōki,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117681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117861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38857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392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4369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8-2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46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310519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구로 외과 006.31 2017 Accession No. 931003533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9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안암영상의학 006.31 2017 Accession No. 93100146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10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34312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1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3957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1-04-1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1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611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117681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117861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38857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392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4369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8-29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21246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310519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구로 외과 006.31 2017 Accession No. 931003533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안암영상의학 006.31 2017 Accession No. 93100146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34312 Availability Missing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3957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1-04-1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6.31 2017 Accession No. 1513611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딥러닝의 핵심을 ‘밑바닥부터’ 직접 만들어보며 즐겁게 배울 수 있는 본격 딥러닝 입문서이다. 술술 읽힐 만큼 쉽게 설명하였고, 역전파처럼 어려운 내용은 ‘계산 그래프’ 기법으로 시각적으로 풀이했다. 무엇보다 작동하는 코드가 있어 직접 돌려보고 요리조리 수정해보면 어려운 이론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딥러닝에 새롭게 입문하려는 분과 기초를 다시금 정리하고 싶은 현업 연구자와 개발자에게 최고의 책이 될 것이다.

직접 구현하고 움직여보며 익히는 가장 쉬운 딥러닝 입문서

파이썬으로 익히는 딥러닝 이론과 구현


새로운 지식을 배울 때 설명만 들어서는 석연치 않거나 금방 잊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책은 딥러닝의 기본을 ‘이론 설명’과 ‘파이썬 구현 코드’라는 투 트랙으로 설명합니다. 각 장은 주제 하나를 설명한 후 그것을 실습할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즉, 실행되는 소스 코드를 준비했습니다. 직접 실행해보세요! 소스 코드를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하고 그 생각을 반영해 실험하다 보면 확실하게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 실험을 해보면서 겪는 시행착오 역시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_예제 소스: https://github.com/WegraLee/deep-learning-from-scratch

★ 누구를 위한 책인가?
_ 외부 라이브러리는 최소한만 이용하고 파이썬을 사용해 딥러닝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구현합니다.
_ 파이썬이 처음인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파이썬 사용법도 간략히 설명합니다.
_ 실제 동작하는 파이썬 코드와 독자가 직접 실험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_ 간단한 기계학습 문제부터 시작하여 궁극에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_ 딥러닝과 신경망 이론을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_ 오차역전파법(backpropagation)과 합성곱(convolution) 연산 등 복잡해 보이는 기술을 구현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_ 하이퍼파라미터 결정 방식, 가중치 초깃값 등 딥러닝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기술을 소개합니다.
_ 배치 정규화, 드롭아웃, Adam 같은 최근 트렌드를 설명하고 구현해봅니다.
_ 딥러닝이 왜 뛰어난지, 층이 깊어지면 왜 정확도가 높아지는지, 은닉층이 왜 중요한지와 같은 ‘왜’에 관한 문제도 다룹니다.
_ 자율 주행, 이미지 생성, 강화학습 등, 딥러닝을 응용한 예를 소개합니다.

★ 누구를 위한 책이 아닌가?
_ 딥러닝 분야의 최신 연구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습니다.
_ 카페(Caffe), 텐서플로(TensorFlow), 체이너(Chainer) 등의 딥러닝 프레임워크 사용법은 설명하지 않습니다.
_ 딥러닝, 특히 신경망에 관한 아주 상세한 이론까지는 담지 않았습니다.
_ 딥러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튜닝은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_ 딥러닝 성능을 높여주는 GPU 기술은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_ 주로 이미지 인식을 다룹니다.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 등의 사례는 다루지 않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사이토 고키(지은이)

1984년 나가사키 현 쓰시마 태생. 도쿄공업대학교 공학부를 졸업하고 도쿄대학대학원 학제정보학부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기업에서 인공지능 관련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오라일리재팬에서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시리즈를 집필했으며 『파이썬 인 프랙티스』, 『밑바닥부터 만드는 컴퓨팅 시스템』 등을 일본어로 옮겼다.

개앞맵시(옮긴이)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전자에서 자바 가상 머신, 바다 플랫폼, 챗온 메신저 서비스 등을 개발했다. 주 업무 외에 분산 빌드, 지속적 통합, 수명주기 관리 도구, 애자일 도입 등 동료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그 후 창업 전선에 뛰어들어 좌충 우돌하다가, 개발자 커뮤니티에 기여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아 출판 시장에 뛰어들었다. 한빛미디어에서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시리즈, 『리팩터링 2판』, 『Effective Unit Testing』을 번역했고, 인사이트에서 『이펙티브 자바 3판』과 『JUnit 인 액션 2판』을 번역했다. 개발자들과의 소통 창구로 소소하게 facebook.com/dev.loadmap 페이지를 운영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장 헬로 파이썬 
1.1 파이썬이란? 
1.2 파이썬 설치하기 
__1.2.1 파이썬 버전 
__1.2.2 사용하는 외부 라이브러리 
__1.2.3 아나콘다 배포판 
1.3 파이썬 인터프리터 
__1.3.1 산술 연산 
__1.3.2 자료형 
__1.3.3 변수 
__1.3.4 리스트 
__1.3.5 딕셔너리 
__1.3.6 bool 
__1.3.7 if 문 
__1.3.8 for 문 
__1.3.9 함수 
1.4 파이썬 스크립트 파일 
__1.4.1 파일로 저장하기 
__1.4.2 클래스 
1.5 넘파이 
__1.5.1 넘파이 가져오기 
__1.5.2 넘파이 배열 생성하기 
__1.5.3 넘파이의 산술 연산 
__1.5.4 넘파이의 N차원 배열 
__1.5.5 브로드캐스트 
__1.5.6 원소 접근 
1.6 matplotlib 
__1.6.1 단순한 그래프 그리기 
__1.6.2 pyplot의 기능 
__1.6.3 이미지 표시하기 
1.7 정리 

2장 퍼셉트론 
2.1 퍼셉트론이란? 
2.2 단순한 논리 회로 
__2.2.1 AND 게이트 
__2.2.2 N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2.3 퍼셉트론 구현하기 
__2.3.1 간단한 구현부터 
__2.3.2 가중치와 편향 도입 
__2.3.3 가중치와 편향 구현하기 
2.4 퍼셉트론의 한계 
__2.4.1 도전! XOR 게이트 
__2.4.2 선형과 비선형 
2.5 다층 퍼셉트론이 출동한다면 
__2.5.1 기존 게이트 조합하기 
__2.5.2 XOR 게이트 구현하기 
2.6 NAND에서 컴퓨터까지 
2.7 정리 

3장 신경망 
3.1 퍼셉트론에서 신경망으로 
__3.1.1 신경망의 예 
__3.1.2 퍼셉트론 복습 
__3.1.3 활성화 함수의 등장 
3.2 활성화 함수 
__3.2.1 시그모이드 함수 
__3.2.2 계단 함수 구현하기 
__3.2.3 계단 함수의 그래프 
__3.2.4 시그모이드 함수 구현하기 
__3.2.5 시그모이드 함수와 계단 함수 비교 
__3.2.6 비선형 함수 
__3.2.7 ReLU 함수 
3.3 다차원 배열의 계산 
__3.3.1 다차원 배열 
__3.3.2 행렬의 내적 
__3.3.3 신경망의 내적 
3.4 3층 신경망 구현하기 
__3.4.1 표기법 설명 
__3.4.2 각 층의 신호 전달 구현하기 
__3.4.3 구현 정리 
3.5 출력층 설계하기 
__3.5.1 항등 함수와 소프트맥스 함수 구현하기 
__3.5.2 소프트맥스 함수 구현 시 주의점 
__3.5.3 소프트맥스 함수의 특징 
__3.5.4 출력층의 뉴런 수 정하기 
3.6 손글씨 숫자 인식 
__3.6.1 MNIST 데이터셋 
__3.6.2 신경망의 추론 처리 
__3.6.3 배치 처리 
3.7 정리 

4장 신경망 학습 
4.1 데이터에서 학습한다! 
__4.1.1 데이터 주도 학습 
__4.1.2 훈련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 
4.2 손실 함수 
__4.2.1 평균 제곱 오차 
__4.2.2 교차 엔트로피 오차 
__4.2.3 미니배치 학습 
__4.2.4 (배치용) 교차 엔트로피 오차 구현하기 
__4.2.5 왜 손실 함수를 설정하는가? 
4.3 수치 미분 
__4.3.1 미분 
__4.3.2 수치 미분의 예 
__4.3.3 편미분 
4.4 기울기 
__4.4.1 경사법(경사 하강법) 
__4.4.2 신경망에서의 기울기 
4.5 학습 알고리즘 구현하기 
__4.5.1 2층 신경망 클래스 구현하기 
__4.5.2 미니배치 학습 구현하기 
__4.5.3 시험 데이터로 평가하기 
4.6 정리 

5장 오차역전파법 
5.1 계산 그래프 
__5.1.1 계산 그래프로 풀다 
__5.1.2 국소적 계산 
__5.1.3 왜 계산 그래프로 푸는가? 
5.2 연쇄법칙 
__5.2.1 계산 그래프에서의 역전파 
__5.2.2 연쇄법칙이란? 
__5.2.3 연쇄법칙과 계산 그래프 
5.3 역전파 
__5.3.1 덧셈 노드의 역전파 
__5.3.2 곱셈 노드의 역전파 
__5.3.3 사과 쇼핑의 예 
5.4 단순한 계층 구현하기 
__5.4.1 곱셈 계층 
__5.4.2 덧셈 계층 
5.5 활성화 함수 계층 구현하기 
__5.5.1 ReLU 계층 
__5.5.2 Sigmoid 계층 
5.6 Affine/Softmax 계층 구현하기 
__5.6.1 Affine 계층 
__5.6.2 배치용 Affine 계층 
__5.6.3 Softmax-with-Loss 계층 
5.7 오차역전파법 구현하기 
__5.7.1 신경망 학습의 전체 그림 
__5.7.2 오차역전파법을 적용한 신경망 구현하기 
__5.7.3 오차역전파법으로 구한 기울기 검증하기 
__5.7.4 오차역전파법을 사용한 학습 구현하기 
5.8 정리 

6장 학습 관련 기술들 
6.1 매개변수 갱신 
__6.1.1 모험가 이야기 
__6.1.2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 
__6.1.3 SGD의 단점 
__6.1.4 모멘텀 
__6.1.5 AdaGrad 
__6.1.6 Adam 
__6.1.7 어느 갱신 방법을 이용할 것인가? 
__6.1.8 MNIST 데이터셋으로 본 갱신 방법 비교 
6.2 가중치의 초깃값 
__6.2.1 초깃값을 0으로 하면? 
__6.2.2 은닉층의 활성화 분포 
__6.2.3 ReLU를 사용할 때의 가중치 초깃값 
__6.2.4 MNIST 데이터셋으로 본 가중치 초깃값 비교 
6.3 배치 정규화 
__6.3.1 배치 정규화 알고리즘 
__6.3.2 배치 정규화의 효과 
6.4 바른 학습을 위해 
__6.4.1 오버피팅 
__6.4.2 가중치 감소 
__6.4.3 드롭아웃 
6.5 적절한 하이퍼파라미터 값 찾기 
__6.5.1 검증 데이터 
__6.5.2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__6.5.3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구현하기 
6.6 정리 

7장 합성곱 신경망(CNN) 
7.1 전체 구조 
7.2 합성곱 계층 
__7.2.1 완전연결 계층의 문제점 
__7.2.2 합성곱 연산 
__7.2.3 패딩 
__7.2.4 스트라이드 
__7.2.5 3차원 데이터의 합성곱 연산 
__7.2.6 블록으로 생각하기 
__7.2.7 배치 처리 
7.3 풀링 계층 
__7.3.1 풀링 계층의 특징 
7.4 합성곱/풀링 계층 구현하기 
__7.4.1 4차원 배열 
__7.4.2 im2col로 데이터 전개하기 
__7.4.3 합성곱 계층 구현하기 
__7.4.4 풀링 계층 구현하기 
7.5 CNN 구현하기 
7.6 CNN 시각화하기 
__7.6.1 1번째 층의 가중치 시각화하기 
__7.6.2 층 깊이에 따른 추출 정보 변화 
7.7 대표적인 CNN 
__7.7.1 LeNet 
__7.7.2 AlexNet 
7.8 정리 

8장 딥러닝 
8.1 더 깊게 
__8.1.1 더 깊은 네트워크로 
__8.1.2 정확도를 더 높이려면 
__8.1.3 깊게 하는 이유 
8.2 딥러닝의 초기 역사 
__8.2.1 이미지넷 
__8.2.2 VGG 
__8.2.3 GoogLeNet 
__8.2.4 ResNet 
8.3 더 빠르게(딥러닝 고속화) 
__8.3.1 풀어야 할 숙제 
__8.3.2 GPU를 활용한 고속화 
__8.3.3 분산 학습 
__8.3.4 연산 정밀도와 비트 줄이기 
8.4 딥러닝의 활용 
__8.4.1 사물 검출 
__8.4.2 분할 
__8.4.3 사진 캡션 생성 
8.5 딥러닝의 미래 
__8.5.1 이미지 스타일(화풍) 변환 
__8.5.2 이미지 생성 
__8.5.3 자율 주행 
__8.5.4 Deep Q-Network(강화학습) 
8.6 정리 

부록 A Softmax-with-Loss 계층의 계산 그래프 
A.1 순전파 
A.2 역전파 
A.3 정리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GPT 개발포럼 (2023)
앤미디어 (2023)
Fregly, Chris (2023)
이세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