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3445 | |
005 | 20170118174639 | |
007 | ta | |
008 | 170118s2016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8173752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12079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3 |
085 | ▼a 410 ▼2 DDCK | |
090 | ▼a 410 ▼b 2016z2 | |
245 | 0 0 | ▼a 언어의 현장성과 복합지식 = ▼x Language settings and complex knowledge / ▼d 서상규 [외] ; ▼e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엮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6 | |
300 | ▼a xiv, 282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인문언어학과 복합지식 총서 ; ▼v 1 |
500 | ▼a 공저자: 유현경, 김향희, 강현화, 한송화, 김현강, 구인모, 김진웅, 안의정, 김한샘, 윤영민, 김보선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총서는 2009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09-361-A00027) | |
700 | 1 | ▼a 서상규, ▼e 저 ▼0 AUTH(211009)48832 |
700 | 1 | ▼a 유현경, ▼e 저 ▼0 AUTH(211009)117632 |
700 | 1 | ▼a 김향희, ▼e 저 ▼0 AUTH(211009)123972 |
700 | 1 | ▼a 강현화, ▼e 저 ▼0 AUTH(211009)121102 |
700 | 1 | ▼a 한송화, ▼e 저 ▼0 AUTH(211009)13816 |
700 | 1 | ▼a 김현강, ▼e 저 ▼0 AUTH(211009)10002 |
700 | 1 | ▼a 구인모, ▼e 저 ▼0 AUTH(211009)51968 |
700 | 1 | ▼a 김진웅, ▼e 저 ▼0 AUTH(211009)33811 |
700 | 1 | ▼a 안의정, ▼e 저 ▼0 AUTH(211009)74737 |
700 | 1 | ▼a 김한샘, ▼e 저 ▼0 AUTH(211009)79654 |
700 | 1 | ▼a 윤영민, ▼e 저 |
700 | 1 | ▼a 김보선, ▼e 저 |
710 | ▼a 연세대학교. ▼b 언어정보연구원, ▼e 편 | |
910 | 0 | ▼a Yonsei University. ▼b Institute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16z2 | Accession No. 1117662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문언어학과 복합지식 총서 1권. 3단계의 '인문언어학의 정립: 복합지식의 인문학적 확산'이라는 목표를 위한 학술활동과 기획 연구의 결과물이 실려 있는 책이다. 이를 통해 언어의 현장 속에서 복합 지식을 창출하고 이러한 복합지식이 인문언어학으로 정립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한국(HK) 사업단은 ‘복합지식의 창출과 소통을 위한 인문언어학’이라는 아젠다로 입체적 언어 자료인 다면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인간이 산출하는 ‘삶의 언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삶과 사회, 문화 속에서의 인간을 탐구하며, 이를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인문학적 실천으로 전환시키려는 다층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세상에 내어 놓고 있다. 이번에 내어 놓은 ‘인문언어학과 복합지식 총서 1’은 그러한 결실의 하나로, 3단계의 ‘인문언어학의 정립: 복합지식의 인문학적 확산’이라는 목표를 위한 학술활동과 기획 연구의 결과물이 실려 있으며, 이를 통해 언어의 현장 속에서 복합 지식을 창출하고 이러한 복합지식이 인문언어학으로 정립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유현경(지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국어 형용사 연구』(1998) 『왜 다시 품사론인가』(2006, 공저) 『한국어 사전편찬학 개론』(2008, 공저) 『한국어의 문법 단위』(2015, 공저) 『형태 중심 한국어 통사론』(2017)
강현화(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상규(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후(1982년),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8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음(1992년). 1988년~1993년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1993년~1995년 츠쿠바(筑波)대학의 문예언어학계 교수를 지냄. 1995년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부임, 부교수를 거쳐 현재 교수로 재직 중. 1995년~1996년 한국어 능력 시험(현재 TOPIK)을 위한 기초 연구와 모형 개발에 참여했으며, 1998년~2007년 문화관광부의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기반 구축 사업의 국어 특수자료 구축 분과의 책임을 맡아서 한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같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에 참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을 개발함. 『국어정보학입문』(공저 1998), 『한국어 구어 연구(1, 2)』(공편 2003, 2005),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공저 2004, 2006),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공저 2013),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2013),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2)』(2015), 『한일대역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2017), 『최현배의 우리말본 연구(1, 2)』(2017, 2018) 등의 저서와, 한국어 문법 연구, 말뭉치언어학과 국어정보학, 학습 사전 편찬, 한국어 기본어휘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함.
김향희(지은이)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병리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대학병원과 리더스 재활병원 등에서 임상수련과정(CFY)을 마친 후, 1995년부터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와 의학과에서 책임연구원이자 연구교수로 연구 및 임상 활동을 하였다. 미국 언어청각협회(ASHA) 언어치료사 자격증(CCC-SLP)과 미국 신경언어장애학회(ANCDS) 신경언어장애전문가 자격증(BC-ANCDS)를 취득하였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KASA)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언어청각학회(APSSLH)의 회장을 맡고 있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에서 전임교수로 대학원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구인모(지은이)
2013년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한국(HK) 교수이다. 동국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와 일본 도쿄(東京)대학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에서 수학했다. 주로 한국 근대시의 형성 과정을 한일비교문학·비교문화론의 관점으로 조망해왔으며, 최근에는 유성기 음반을 매개로 근대기 한국의 문학사와 문화사를 잇는 시도를 하고 있다. 저서로서는 <한국근대 시의 이상과 허상>(2008)이 있고, 번역서로서는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2010)가 있다. 그 외 몇 권의 공저와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안의정(지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박사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2009),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2015) 저
김한샘(지은이)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국어정보학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국립국어원에서 21세기 세종계획, 어휘 조사, 신어 조사, 전문용어 정비, 국어 순화 등 말뭉치와 어휘에 대한 언어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어사전에 나타난 근대 사회 문화 연구> 등이 있으며, 국제표준화기구(ISO) TC/37 언어자원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학술부문 한국어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언어정보연구원의 언어관측소장을 맡고 있다.
김현강(지은이)
홍익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빙교수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언어학을 공부했으며 대화, 담화 연구를 주로 해왔다. 특히 매체와 정치 언어에 관심을 갖고 라디오, 정치 광고, 신문 등 다양한 영역과 미디어에 나타나는 언어 문제, 대화, 담론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제스처(2017),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2009), 역서로 제스처(2012, 공역), 정치담화분석(2015, 공역)이 있다. “50, 60년대 신문의 언론자유 논증에 대한 담화 연구”(2018), “언론의 공정성 개념”(2016), “정치광고의 내러티브 이면에 있는 논증 분석”(2014),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2015), “고개 끄덕임의 대화 내 상호작용 연구”(201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윤영민(지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어학 전공. 「개화기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의 문법 항목 연구」(2015), 「「繪入智慧の環」연구-初編 上下권을 중심으로-」(2016) 외 다수의 논문 발표.
한송화(지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교수. 한국어문법론, 한국어교육 전공.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절 사용 양상과 언어 발달 연구」(2015), 「종결어미 ‘-거든(요)’의 의미와 기능 연구」(2016) 외 다수의 논문 발표.
김진웅(지은이)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에 텍사스 주립대학(Austin)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의 의미론과 화용론을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어의 화시나 환유 등 지시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저로 『언어 정보와 인문언어학』, 『언어의 현장성과 복합지식』, 『사전에 없는 진짜 한국어1, 2』 등이 있다.
김보선(지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수료. 「노년층의 주관적 언어호소: 객관적 언어 수행을 반영하는가?」(2015) 외 다수의 논문 발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엮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은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를 널리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정보화하며, 각종 언어 정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입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⑴ 각종 사전 편찬에 관련된 연구 ⑵ 언어의 정보화에 관련된 전자·전산 기술의 개발 ⑶ 언어 정보에 관한 자료의 수집, 정리, 출판 ⑷ 국내외 유관 학자, 학회, 기관과의 교류 ⑸ 연구 및 실무 인원의 양성과 연수 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문화 간 의사소통’ 등에 관련된 연구 및 사업 ⑺ 한국어의 사회적 현상과 관련된 화용론, 담화 연구, 수사학, 이야기 연구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⑻ 고전적 인문학과 관련된 각종 서지, 문헌, 고문서, 문자 자료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⑼ 그 밖의 연구원의 목적 사업에 따르는 일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홈페이지 : http://ilis.yonsei.ac.kr/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인문언어학의 연구사적 검토와 비판적 전망 /김진웅 1. 들어가며: 인문언어학, 새롭거나 혹은 오래 되었거나 2. 인문학적 관점에 입각한 언어학 연구 2.1. 언어학, 역사학의 도구 2.2. 낭만주의적 언어관: 국가주의의 성립에 기여한 언어학 2.3. 언어결정론과 언어상대주의 3. 과학적 관점에 입각한 언어학 연구 3.1. 진화론의 언어학적 수용 3.2. 언어의 행동주의적 분석 3.3. Chomsky의 언어학 혁명 4. 인문학으로서 언어학에 대한 비판과 쟁점들 4.1. 가치중립성과 객관성 4.2. 언어의 보편성과 상대성의 대립 4.3. 역사 언어학: 일관성과 필연성의 상실 5. 인문언어학의 영역과 경계 5.1. 협의의 인문언어학 5.2. 광의의 인문언어학 6. 나가며 ■ 인문언어학과 빅데이터 -외국어 교육과 웹 활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윤영민 1. 머리말 2. 외국어 교육과 웹 활용의 가능성 모색 2.1 자료조사 2.2 용례 수집 2.3 상세검색 3. 한일어 교육에 있어서 실제 적용 방안 모색 3.1 교육자와 학생 간의 상호 활동 3.2 개방형 API 4. 맺음말 ■ 구어 언어자료에 나타난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사용과 부정의 담화기능 -단순부정을 중심으로- /한송화 1. 서론 2. 구어에서의 부정문 사용 양상 3. 부정문의 의미와 기능 3.1. 부정서술문에서의 부정의 의미와 기능 3.2. 부정의문문에서의 부정의 의미와 기능 4. 결론 ■ 계량적 접근에 의한 한국어 반응 표지 연구 /안의정 1. 서론 2. 반응 표지의 개념과 분류 기준 2.1. 반응 표지의 개념 2.2. 반응 표지의 분류 기준 3. 연구 방법 4. 반응 표지 사용 결과 분석 4.1. 기존 감탄사 목록과의 비교 4.2. 사용역별 분석 4.3. 개별 표지별 분석 5. 결론 ■ 전문용어의 일반어화에 대한 소고 /김한샘 1. 머리말 2. 전문용어와 일반어의 관계 3. 국어사전과 전문용어의 일반어화 3.1 『표준국어대사전』의 다의어 전문용어 3.2 국어사전에 나타난 전문용어의 일반어화 양상 4. 맺음말 ■ 대통령 선거 광고의 담론적 내러티브와 논증 분석 /김현강 1. 서론 1.1. 정치광고 연구의 의미 1.2. 연구의 흐름과 경향 2. 이론적 배경 2.1. 정치와 정치담화의 속성 2.2. 정치담화의 논증 구조 2.3. 선거광고, 이야기를 내포한 담론적 내러티브 3. 담론적 내러티브의 다양한 논증 구축 양상 3.1. 이야기에 의지한 내러티브 3.2. 쟁점 논증으로 축소된 내러티브 3.3. 이야기와 논증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내러티브 3.4. 정치 참여와 논증의 확장 4. 남은 문제 ■ 변사와 화예(話藝), 구술된 역사 -김영환의 음반 《역려(歷旅)》(1932)를 중심으로- /구인모 1. 서론 2. 초기 영화관의 풍경, 변사의 등장 3. 상설 영화관의 풍경, 변사의 화예와 담화 전략 4. ‘변사’와 ‘해설자’, 화예 혁신의 의미 5. 결론 ■ 한국어교육용 복합어의 조어 단위 연구 -한국어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강현화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분석 결과 4.1. 복합어 사용 양상 4.2.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복합어의 품사별 분포 4.3. 조어력 분석 4.4. 구 단위의 복합 형식 5. 결론 ■ 품사 통용어 ‘조금’의 사전적 처리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유현경 1. 서론 2. 국어사전에서의 ‘조금’의 기술 3. ‘조금’의 용례 분류 기준 4. ‘조금’의 사전 용례 분석 4.1. 격조사와 결합한 경우 4.2. 보조사와 결합한 경우 4.3. 조사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5. 결론 ■ 치매환자 담화분석의 최근 연구동향 -과제, 전사 및 측정요인- /김보선·김향희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3.1 치매유형 별 담화과제 및 연구 목적 3.2. 전사방법 및 전사규약 3.3. 담화측정 및 측정 프로그램 4.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