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아일랜드 노래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일우 朴一愚
Title Statement
아일랜드 노래 = Ireland vocal music / 박일우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민속원,   2016  
Physical Medium
543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Series Statement
민속원 ;1395
ISBN
978892850933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09-527)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2961
005 20180306191705
007 ta
008 170116s2016 ulka b 001c kor
020 ▼a 9788928509331 ▼g 93670
035 ▼a (KERIS)BIB000014386477
040 ▼a 211048 ▼c 211048 ▼d 244002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781.62415 ▼2 23
085 ▼a 781.62415 ▼2 DDCK
090 ▼a 781.62415 ▼b 2016
100 1 ▼a 박일우 ▼g 朴一愚
245 1 0 ▼a 아일랜드 노래 = ▼x Ireland vocal music / ▼d 박일우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16
300 ▼a 543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4 cm
440 0 0 ▼a 민속원 ; ▼v 1395
504 ▼a 참고문헌(p. 509-527)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900 1 0 ▼a Park, Il-woo,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415 2016 Accession No. 5110361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2415 2016 Accession No. 1513333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415 2016 Accession No. 5110361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2415 2016 Accession No. 1513333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아일랜드인은 프랑스인처럼 자신의 정복, 번영, 패배, 심지어 비참함과 불운에 대해서도 노래한다. 정복을 하건 정복을 당하건, 많건 부족하건, 행복하건 비탄에 젖어있건, 슬프거나 기쁘거나 간에 아일랜드인은 항상 노래한다. 아일랜드의 노래에 관한 책이다.

아일랜드 노래만들기에 영감을 준 매체는 물론 시이다. 시의 언어는 아일랜드인의 본래 언어인 게일어에서 라틴어, 옛 북구인 언어와 노르만인의 불어뿐 아니라, 영어의 번역도 포함된다. 이들 언어들은 아일랜드인의 정신을 테스트하고 단련시키면서 발전되었다. 계속되는 외부 침략의 물결로 목격자나 증거도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아일랜드의 시가 그처럼 상상력 있는 활력과 내적인 자유를 지니게 된 것은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억압된 역사에서 유래했다. 가장 위대한 시 작품이 ‘언어, 지위, 학습의 손실 … 육체적 및 정신적 안전의 손실’로부터 떠올랐다”는 것은 역설적이다.
-셰무스 히니Seamus Heaney

대부분의 영국민요는 아일랜드민요이다.
-마이클 티페트Michael Tippett

아일랜드인은 프랑스인처럼 자신의 정복, 번영, 패배, 심지어 비참함과 불운에 대해서도 노래한다. 정복을 하건 정복을 당하건, 많건 부족하건, 행복하건 비탄에 젖어있건, 슬프거나 기쁘거나 간에 아일랜드인은 항상 노래한다.
-캡틴 오니일Captain Francis ONeill

아일랜드 노래는 높은 곳에서부터 영혼이 조금씩 떨어져 발산하는데, 이 영혼을 통해 다양한 세계를 기억하듯 지나간다.
-윌리엄 플로드William Flood

영국의 위대한 민중 시 중 많은 수가 아일랜드 게일어 노래에서 유래되었음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도날 오설리반Donal OSullivan

아일랜드 전통음악과 노래 속에는 신비스런 점이 깃들어 있는데, 이것은 사랑, 비탄, 외로움, 현존해 있는 기쁨, 관능성과 찬양과 같은 가장 심오한 경험담들에서 인간정신의 영적인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반 모리슨Van Morrison, 엘머 번스타인Elmer Bernstein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일우(지은이)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영국의 골드스미스컬리지(런던대학교)에서 음악인류학 음악석사·박사를 수료했다. 현재 중앙대학교에서 세계음악사를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 『서유럽의 민속음악과 춤: 아일랜드에서 스페인까지』(2001, 저서), 『영국의 민요와 발라드』(2003, 저서), 『예후디 메뉴인과 함께하는 바이올린 레슨: 바이올린 연주의 동작원리와 적용』(2005, 역서), 『아일랜드의 역사: 도전과 투쟁, 부활과 희망의 대서사시』(2008, 역서)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아일랜드 노래지도 
머리말 

제1부 아일랜드 전통노래와 켈트 대중노래 

제1장 아일랜드어 노래와 시 전통 
사본에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노래 
아일랜드의 종교음악과 노래부르기 형식 
아일랜드어 시의 리듬 
바드전통과 시의 작법 
시인들의 노래만들기 
전통노래-에어의 특징 

제2장 샨노스 싱잉 
아일랜드어 사용지역 
샨노스 싱잉이란? 
샨노스 노래의 장르와 곡목 
샨노스 가수들 
샨노스 연주와 청중 
코네마라 샨노스 전통 
샨노스 노래의 현대적 발전 

제3장 에스니시티의 형성과 노래의 차용 및 국적화 
영국의 식민지하에 에스니시티의 형성과 음악적 교류 
영국에서 아일랜드 에어와 아일랜드에서 브로드사이드 발라드의 영향 
아일랜드에서 영어 발라드 작시와 국적화 
스코틀랜드 내러티브 발라드의 영향 
헤지학교 : 새로운 유형의 시와 노래 

제4장 영어노래와 실제 
영어노래의 유형과 실습 
노래의 기능과 사용 
대중적인 전통노래와 변형의 예 
가수와 청중 
대표적인 전통가수들 

제5장 민족주의와 리바이벌 : 노래수집가와 문화조직체 및 포크 리바이벌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운동 
민요와 발라드 수집가 
토머스 무어의 『아이리시 멜로디즈』 
〈다니 보이-본래의 곡명은 〈런던데리 에어〉〉 
문화조직체와 축제 및 리바이벌 
코울터스 쿄올토리 에이런과 음악교육기관 
포크송 리바이벌과 전문연주밴드 

제6장 진정성과 정체성의 이슈 : 노래의 상업화와 현대화 
포크적 표현과 현대화 
축제와 CC? 경연에서 정의한 전통노래의 가이드라인 
노래 매체로서의 매스미디어 
테크놀로지와 음악산업 
‘켈트’ 대중음악의 출현과 현대화 

제7장 전승의 방식과 현대의 노래 창작 및 이주민 공동체를 통한 세계화 
전승의 방식 
현대의 노래 창작과 송라이터 
기악반주를 수반한 노래 창작 
숀 오리아다의 등장 
송라이터의 역할 
아일랜드의 송라이터들 
영화음악에 나타난 전통음악 
아일랜드 이주민 공동체의 노래연주 
노래연행의 변화와 세계화 

제2부 42편의 노래를 통한 아일랜드의 역사와 장소 여행 

01 플랑씨 파니 파워 
02 계곡의 존 오다이어 
03 마리아의 라멘트 
04 책들의 노래 
05 나의 연인이여, 가세요 
06 슐리브 겔론 브리산山 
07 카를로까지 나를 따르라 
08 아마의 바드 
09 훠기 듀 
10 케리 보충병 
11 애국자 게임 
12 녹카누어의 계곡 
13 기근 노래 
14 아센라이의 벌판 
15 스키베린 
16 내 마음속의 당신이여 
17 맥갈핀의 퓨질리어들 
18 조개 행상인 또는 몰리 말론 
19 카릭훠거스 
20 메이그와의 이별 
21 아름다운 우너 
22 한 떨기 장미꽃 
23 강들의 만남 
24 여자들의 산 
25 골웨이 경마 
26 코네마라의 언덕 
27 머스케리의 운동선수들 
28 폐허가 된 교회 
29 로신 더 
30 버드나무 정원들 
31 스윌리 계곡 
32 내가 방랑함에 따라 
33 병사의 노래 
34 나는 멀리 가버렸네 
35 오호, 집에 온 것을 환영하네 
36 엘리미의 작은 보트 
37 집에 가자 
38 그것이 아일랜드의 자장가란다 
39 코네마라 자장가 
40 좀비 
41 이름 없는 거리들 
42 내가 그대를 사랑한다고 최근에 말하지 않았는가 

제3부 결론 

용어해설 
참고자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