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2676 | |
005 | 20201208184859 | |
007 | ta | |
008 | 170116s2016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58482497 ▼g 93680 | |
035 | ▼a (KERIS)BIB000014241298 | |
040 | ▼a 211015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9 ▼2 23 |
085 | ▼a 791.4309 ▼2 DDCK | |
090 | ▼a 791.4309 ▼b 2016z2 | |
100 | 1 | ▼a 정태수, ▼g 鄭泰秀 |
245 | 1 0 | ▼a 세계 영화예술의 역사 / ▼d 정태수 지음 |
246 | 1 1 | ▼a The history of world cinema art |
246 | 3 1 | ▼a History of world cinema art |
250 | ▼a 개정증보 |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16 ▼g (2019 3쇄) | |
300 | ▼a 855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789-804)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9 2016z2 | 등록번호 11183837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9 2016z2 | 등록번호 151333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9 2016z2 | 등록번호 11183837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9 2016z2 | 등록번호 1513330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0년에 출간된 초판본의 16개의 테마에서 세계 영화 역사에서 빠져서는 안 될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 쿠바의 혁명 영화, 체코의 혁신 영화, 대만의 신전영을 추가하여 20개의 테마로 늘린 증보개정판이다. 영화 등장에서부터 한국 영화로 종결되는 총 20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영화 연구자들이 영화에 대한 인식을 더욱 다양하고 총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은 2010년에 출간된 초판본의 16개의 테마에서 세계 영화 역사에서 빠져서는 안 될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 쿠바의 혁명 영화, 체코의 혁신 영화, 대만의 신전영을 추가하여 20개의 테마로 늘린 증보개정판이다.
영화를 발명한 것은 과학이지만 영화를 창작의 영역으로 격상시킨 것은 인간의 삶, 사회, 역사를 관통하는 인간의 사상이다. 이것은 영화의 표현 수단이 필름에서 디지털로 바뀌고 새로운 형태의 포스트 시네마의 시대가 도래할지라도 변하지 않을 세계영화 예술의 보편성을 이루게 되는 핵심이다. 영화 속에는 다양한 개별 인간의 역사와 함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의 역사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과 경향은 시대적 요청에 따라 그 강조점이 각각 다른 형태로 영화 속에 투영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영화와 영화 역사를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 자체의 변화와 발전뿐 아니라 동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의 흐름을 함께 파악해야 한다.
위와 같은 관점으로 집필된 이 책은 영화 등장에서부터 한국 영화로 종결되는 총 20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영화 연구자들이 영화에 대한 인식을 더욱 다양하고 총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1장 영화의 등장 제2장 현실재현으로부터의 이탈, 1920년대 아방가르드 영화(1916-1930) 제3장 영화의 진보성과 보수성, 독일 표현주의 영화(1920-1924) 제4장 영화의 정치적 기능화와 창작으로서의 영화,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1922-1930) 제5장 현실과 감성을 넘어, 프랑스 시적 리얼리즘 영화(1930-1939) 제6장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혼란, 필름 누아르(1941-1958) 제7장 현실과 표현의 일체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1945-1952) 제8장 전통적 사회 구조의 비판과 현대화, 가치의 재인식, 1950년대 일본 영화(1949-1962) 제9장 현실에 대한 저항과 전복, 민족의 정체성 탐구,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1955-1971) 제10장 정치권력의 변화와 영화, 해빙기 시기의 소비에트 영화(1956-1966) 제11장 영화, 미디어로서의 독립과 창작 이론과의 만남, 프랑스 누벨바그(1958-1967) 제12장 단절과 수용의 변증법, 1959년 혁명 이후 1960년대 쿠바 영화(1959-1971) 제13장 영국 사회와 노동자 계급에 대한 표면(表面)적 묘사, 영국 뉴웨이브 영화(1959-1963) 제14장 역사 정체성 탐구와 파시즘에 대한 우려, 뉴 저먼 시네마(1962-1982) 제15장 일상적 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창작 수법의 혁신, 체코슬로바키아 영화(1963-1968) 제16장 기성 사회에 대한 저항과 작가주의와 할리우드 상업주의의 결합, 뉴 할리우드 시네마 (1967-1975) 제17장 진실 앞에 선 사회적 현실과 도덕적 불안, 폴란드의 도덕적 관심의 영화(1976-1981) 제18장 과거와 현실을 통한 대만(臺灣)의 정체성 찾기, 신전영(新電影, 1982-1996) 제19장 역사 속에서 새로운 창작의 혁신을 찾다, 중국 영화의 혁신기(1984-1989) 제20장 모든 것에 우선한 자본의 가치와 남북 분단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국영화(1998-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