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발달단계별, 특성별로 접근한) 자폐부모 교육

(발달단계별, 특성별로 접근한) 자폐부모 교육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붕년, 저 김준원, 저 권미경, 저 윤선아, 저 강태웅, 저 한일웅, 저
서명 / 저자사항
(발달단계별, 특성별로 접근한) 자폐부모 교육 / 김붕년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7  
형태사항
211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99711237
일반주기
공저자: 김준원, 권미경, 윤선아, 강태웅, 한일웅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가가 선사하는 ASD 아동의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침서!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2658
005 20170116131211
007 ta
008 170116s2017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11237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8.9285882 ▼2 23
085 ▼a 618.9285882 ▼2 DDCK
090 ▼a 618.9285882 ▼b 2017
245 2 0 ▼a (발달단계별, 특성별로 접근한) 자폐부모 교육 / ▼d 김붕년 [외]공저
246 1 1 ▼a Evidence based parent education for ASD : ▼b according to developmental leve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7
300 ▼a 21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저자: 김준원, 권미경, 윤선아, 강태웅, 한일웅
500 ▼a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가가 선사하는 ASD 아동의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침서!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붕년, ▼e▼0 AUTH(211009)82039
700 1 ▼a 김준원, ▼e▼0 AUTH(211009)53980
700 1 ▼a 권미경, ▼e▼0 AUTH(211009)122666
700 1 ▼a 윤선아, ▼e▼0 AUTH(211009)93416
700 1 ▼a 강태웅, ▼e▼0 AUTH(211009)53981
700 1 ▼a 한일웅, ▼e▼0 AUTH(211009)60249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5882 2017 등록번호 1117660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붕년(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이며,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치료하고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성 발달장애, 틱 장애, 지적 발달장애 등 신경 발달장애 분야에서 국내 최고 권위자로 꼽히며 부모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신뢰를 받고 있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이자 발달장애인거점병원 중앙지원단장을 맡고 있고,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 세계 학회인 국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IACAPAP) 부회장, 아시아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ASCAPAP) 회장으로 활동하며 국내외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증진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 교육인적자원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4~7세 조절하는 뇌 흔들리고 회복하는 뇌>는 학령기 전 뇌 발달의 특징과 부모의 역할을 소개하는 책이다. 4~7세는 뇌를 잘 사용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로, 이후 16년 공부 마라톤을 달릴 수 있는 힘을 쌓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가 되는 조절 능력 키우는 법, ‘공부 동기’ 심어주는 정서 지능 키우는 법, ‘공부 능력’을 확대하는 실행기능 키우는 법, 습관과 몰입으로 효율적인 뇌 만드는 법 등 학령기에 들어서는 내 아이가 공부도 잘하고 똑똑한 아이로 자랐으면 하는 부모의 바람을 응원하고 돕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다. 저서로는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10대 놀라운 뇌 불안한 뇌 아픈 뇌》, 《나보다 똑똑하게 키우고 싶어요》, 《공격적인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학교 폭력 치유 프로그램》(공저), 《발달단계별, 특성별로 접근한 자폐부모 교육》(공저) 외 다수가 있다.

윤선아(지은이)

현재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 특수교육 주임교사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특수교육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장애인 가족지원>(학지사,2006)이 있다.

권미경(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박사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전임강사

김준원(지은이)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신과학 석사·박사 중앙대학교병원 전공의 국립공주병원 공중보건의사 및 소아청소년정신과장 충남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중구정신건강증진센터 자문의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임상강사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조교수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연구간사

강태웅(지은이)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전임의 수료 현 아이나래 정신건강의학과 청주점 원장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평생회원 아동정신치료학회 정회원

한일웅(지은이)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일반대학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서울시 사회복귀시설협회 이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인천부천지회장 및 학술위원 현 서울시 종로아이존 센터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장 자폐 스펙트럼 장애: 부모님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것 
1.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2. 새로운 진단기준: DSM-5에서의 변화 
3.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얼마나 많은가요 
4.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차이가 있을까요 
5. 집안의 경제력과도 상관이 있을까요 
6.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지능이 낮을까요 
7.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특별한 재능 
8. 부모가 잘못 키워서 그런 병이 생기는 건가요 
9.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10. 아동이 보이는 모습들: 자폐증상 
11. 조금 더 일찍 발견할 수는 없을까요 
12. 자폐 관련 평가도구 중 어떤 것이 가장 믿을 수 있나요 
13.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다른 질환이 같이 있을 수 있나요 
14. 혹시 약물로도 자폐증상을 치료할 수 있나요 
15. 우리 아이가 어른이 되면 어떻게 지내나요 
16.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과 그 형제자매에 관한 내용 
17. 그럼 형제자매에게는 부모로서 어떻게 하는 것이 맞을까요 

제2장 영유아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양육과 치료 
1. 영유아기 사회정서 발달과 아동양육 
2. 자폐 스펙트럼 장애 영유아의 양육과 중재 

제3장 유아기 및 학령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1. 조기교육으로서의 특수교육 
2. 특수교육은 어디서 받을 수 있으며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3.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한 프로그램 
4.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지원 서비스 

제4장 의학적 문제를 동반한 아동의 부모 교육 
1. 진단적 보조도구로서의 의학적 평가 
2.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에서의 뇌전증 
3.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에서 주목해야 하는 신체증상 
4. 자폐 스펙트럼 장애 증상과 연관된 유전질환 

제5장 자폐 스펙트럼 장애 보완대체치료의 과학적 근거 
1. 보완대체치료란 
2. 보완대체치료를 찾는 이유 
3. 보완대체치료 이용현황 
4. 환자나 보호자들이 의사와 상의하지 않는 이유 
5. 보완대체치료의 분류 
6.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 흔히 사용되는 보완대체치료의 종류와 특성 
7. 근거기반에 중점을 둔 보완대체치료의 분류 
8.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 보완대체치료의 임상적 지침 
9. 제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