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헤르메스 콤플렉스 : 번역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

헤르메스 콤플렉스 : 번역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e Blanc, Charles, 1965- 손주경, 역
Title Statement
헤르메스 콤플렉스 : 번역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 / 샤를 르 블랑 ; 손주경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Physical Medium
234 p. ; 24 cm
Varied Title
Le complexe d'Hermès : regards philosophiques sur la traduction
ISBN
9788976419200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Philosoph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2488
005 20170112103851
007 ta
008 170111s2016 ulk AC 000c kor
020 ▼a 9788976419200 ▼g 93800
035 ▼a (KERIS)BIB000014351854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418/.02 ▼2 23
085 ▼a 418.02 ▼2 DDCK
090 ▼a 418.02 ▼b 2016z1
100 1 ▼a Le Blanc, Charles, ▼d 1965- ▼0 AUTH(211009)31375
245 1 0 ▼a 헤르메스 콤플렉스 : ▼b 번역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 / ▼d 샤를 르 블랑 ; ▼e 손주경 옮김
246 1 9 ▼a Le complexe d'Hermès : ▼b regards philosophiques sur la traduction
246 3 9 ▼a Complexe d'Hermès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16
300 ▼a 234 p. ; ▼c 24 cm
650 0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x Philosophy
700 1 ▼a 손주경, ▼e▼0 AUTH(211009)53081
900 1 0 ▼a 르 블랑, 샤를,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1117659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5110330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521004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1117659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5110330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18.02 2016z1 Accession No. 521004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번역학에서 다루어지는 수많은 이론들은 ‘헤르메스 콤플렉스’의 징후이다. 자유를 상실하였지만 리라를 아폴론에게 건네준 자로서의 헤르메스에게 예술성과 창의성을 누리며 신의 반열 맨 앞자리에 자리를 마련하려는 욕망이 초래한 콤플렉스가 낳은 현상들이다. 그것은 무한한 자유를 누리게 된 전령사 헤르메스가 가져온 비극, 그리고 아폴론의 메시지를 자기 의도대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 헤르메스 스스로가 처하게 될 불행이다.

가정과 추측에 근거할 뿐인 이론을 정론으로 수용하는 것은, 텍스트에 기초한 분석이 아니라 ‘의도’라는 이론적 개념에서 궁극을 맛보려 하는 것은, 번역을 그리고 번역에 대한 성찰을, 자기 의도대로 메시지를 자유롭게 해석하게 된 헤르메스처럼, 초월적 행위로 만들어 버리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번역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겨가는 표현활동이 아니라 도착언어 안에 출발언어를 재창조하는 시도의 차원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음을 이 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번역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이라는 부제를 지닌 《헤르메스 콤플렉스》는 기존의 번역이론을 비판하며 시학으로서의 번역, 독서행위로서의 번역, 낯섦이 아닌 동일성에 토대를 둔 번역, 그리고 창조적 결과물로서의 번역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이 책에 따르면 번역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의 이동이 아니라 한 편의 시에서 다른 한 편의 시로의 이동, 언어의 창조력을 극단까지 밀고 나가는 텍스트에 대한 시학적 접근의 결과이다.

번역은 사실이 아니라 의미의 가정들에 오히려 기반을 두기 때문에, 번역이론에는 합리적인 토대가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든 번역이론은 어떤 객관적 의미도 지니지 않은 가정에 기초한다. 정신이나 글자에 대한 충실이라는 추상성에 머물고 있는 번역이론을 비판하며 저자는 낯섦과 타자이론의 주인공들인 베르만, 벤야민, 데리다 등을 검토하고, 전기 독일낭만주의 철학을 참조하며 총체성을 지향하는 번역, 재창조의 영역 안에 위치한 번역의 시학과 미학에 대한 관점을 전개한다. 중요한 것은 번역해야 할 텍스트는 언제나 열려있으며,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은 언어가 아니라 미학이다. 그에 따르면 번역에 대한 성찰은 이론의 협소함을 벗어나야 한다. 번역에 관한 하나의 이론이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고, 텍스트에 관한 그리고 언어의 전이에 관한 다양한 층위의 진실임 직한 가정들만이 있을 뿐기에 그러하다.

이 책에 따르면 번역학에서 다루어지는 수많은 이론들은 ‘헤르메스 콤플렉스’의 징후이다. 자유를 상실하였지만 리라를 아폴론에게 건네준 자로서의 헤르메스에게 예술성과 창의성을 누리며 신의 반열 맨 앞자리에 자리를 마련하려는 욕망이 초래한 콤플렉스가 낳은 현상들이다. 그것은 무한한 자유를 누리게 된 전령사 헤르메스가 가져온 비극, 그리고 아폴론의 메시지를 자기 의도대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 헤르메스 스스로가 처하게 될 불행이다.

가정과 추측에 근거할 뿐인 이론을 정론으로 수용하는 것은, 텍스트에 기초한 분석이 아니라 ‘의도’라는 이론적 개념에서 궁극을 맛보려 하는 것은, 번역을 그리고 번역에 대한 성찰을, 자기 의도대로 메시지를 자유롭게 해석하게 된 헤르메스처럼, 초월적 행위로 만들어 버리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번역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겨가는 표현활동이 아니라 도착언어 안에 출발언어를 재창조하는 시도의 차원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음을 이 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샤를 르 블랑(지은이)

캐나다 오타와대학 통번역학과 교수로서 번역사와 번역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프랑스와 독일 그리고 이탈리아에서 수학한 후 1995년 라발대학에서 프리드리히 슐레겔을 다룬 독일 낭만주의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히텐베르크와 키르케고르, 슐레겔, 스위프트, 말로, 레오나르도 브루니의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Kierkegaard, La forme poetique du monde, Le masque de l’ecriture (공저), Laicite et humanisme 등 독일철학과 번역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퀘벡 아동문학 선집》을 출간했을 뿐만 아니라 아동문학작가로도 활동 중이다. 《헤르메스 콤플렉스》로 퀘벡 문예아카데미 에세이 부문 빅토르-바르보 상을 수상했다.

손주경(옮긴이)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투르대학교 르네상스고등연구소CESR에서 피에르 드 롱사르 정치시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르네상스 궁정의 시인 롱사르》, 《글쓰기의 가면Le masque de l’ecriture》(공저), 《낯선 시간의 매혹》(공저), 《프랑스 문학의 이해》(공저) 등의 저서가 있으며, 《프렌치 프랑스》, 《헤르메스 콤플렉스》, 《카상드르에 대한 사랑시집》, 《프랑스어의 옹호와 현양》, 《자발적 복종》 등을 번역했다. 르네상스 시와 시학 및 번역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저자 서문 
일러두기 

헤르메스 찬가 
헤르메스 콤플렉스 
혀를 놀리지 말라 

옮긴이 후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