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제2언어 평가 길라잡이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rown, James Dean 김영규, 역 박주경, 역 오준일, 역 유제명, 역 이소영, 역 전지현, 역
서명 / 저자사항
제2언어 평가 길라잡이 / James Dean Brown 지음 ; 김영규 [외]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6  
형태사항
445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한국문화사) 응용언어학 번역총서 = Hankookmunhwasa series in applied linguistics in Korean translation ; 3
원표제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 a comprehensive guide to English language assessment (New ed.)
ISBN
9788968174216
일반주기
공역자: 박주경, 오준일, 유제명, 이소영, 전지현  
서지주기
참고문헌(p. 434-445)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anguage arts --Ability testing Examinations --Design and construction Examinations --Validit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91552
005 20161229101358
007 ta
008 161228s2016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8174216 ▼g 93370
035 ▼a (KERIS)BIB000014263823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2.6/044 ▼2 23
085 ▼a 372.6044 ▼2 DDCK
090 ▼a 372.6044 ▼b 2016
100 1 ▼a Brown, James Dean ▼0 AUTH(211009)126177
245 1 0 ▼a 제2언어 평가 길라잡이 / ▼d James Dean Brown 지음 ; ▼e 김영규 [외]옮김
246 1 9 ▼a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 ▼b a comprehensive guide to English language assessment ▼g (New ed.)
246 3 ▼a 제이언어 평가 길라잡이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6
300 ▼a 445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40 1 0 ▼a (한국문화사) 응용언어학 번역총서 = ▼x Hankookmunhwasa series in applied linguistics in Korean translation ; ▼v 3
500 ▼a 공역자: 박주경, 오준일, 유제명, 이소영, 전지현
504 ▼a 참고문헌(p. 434-445)과 색인수록
650 0 ▼a Language arts ▼x Ability testing
650 0 ▼a Examinations ▼x Design and construction
650 0 ▼a Examinations ▼x Validity
700 1 ▼a 김영규, ▼e▼0 AUTH(211009)14847
700 1 ▼a 박주경, ▼e▼0 AUTH(211009)96828
700 1 ▼a 오준일, ▼e▼0 AUTH(211009)32827
700 1 ▼a 유제명, ▼e▼0 AUTH(211009)34369
700 1 ▼a 이소영, ▼e▼0 AUTH(211009)83885
700 1 ▼a 전지현, ▼e▼0 AUTH(211009)11959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6044 2016 등록번호 1117653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응용언어학 번역총서 3권. 저자가 꽤 정기적으로 가르쳐 왔던 수업인 대학원생 대상의 언어 평가 과목에 기반하고 있다. 저자는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지 않은, 언어 평가의 기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이 판에서는 전체 주제에 걸쳐 최근의 지식을 반영을 반영하기 위한 전반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새로운 섹션과 참고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초판을 사용했던 교수들이 피드백과 제안을 토대로 하여 초판에서 다루었던 다양한 통계 기술의 개념적, 계산적 설명을 확장함으로써 스프레드시트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다양한 통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명확한 지시문을 포함시켰다.

언어 교수 분야에서 종종 그랬듯이, 이 책은 저자가 꽤 정기적으로 가르쳐 왔던 수업인 대학원생 대상의 언어 평가 과목에 기반하고 있다. 언어 평가에 관한 책이 많이 출간되었지만 그 어느 책도 저자의 수업에서 제시하고자 했던 정보 유형을 다루지 않은 듯했다. 어떤 책은 지나치게 기술적이고 복잡해서 한 학기에 모두 다루기 어려웠던 반면, 다른 책은 지나치게 실제적이었다. 이 책들은 언어 시험 문제의 여러 유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던 반면, 시험 제작, 분석, 개선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본 언어 평가 책은 그러한 책들의 중간 입장에 서려고 한다. 저자는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지 않은, 언어 평가의 기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머리말]

저자는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예를 들어, 입학과 배치 결정)을 내릴 때 즉각적으로 유용한 언어 평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실 수준의 결정(예를 들어, 진단이나 성취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평가)을 위한 평가 정보도 제공하는 총체적 목적을 갖고 있다. 이 두 가지의 결정 및 이 결정을 내리는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유형은 상당히 다르다.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에 가장 유용한 검사 유형은 학생의 수행을 상호 간에 비교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고안된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검사는 규준참조검사라고 하는데, 이러한 유형은 검사에서 나온 점수의 해석은 정규분포(“종형”곡선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사는 어떤 일반적 지식이나 기술에 기반을 두는 일련의 점수에 따라 학생들을 분포시킴으로써 학생들은 능력 수준에 따라 배치하거나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된다. 이 유형의 검사를 사용하는 행정가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능력의 학생들을 동일한 집단에 소하게 함으로써 교사의 업무를 쉽게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른 상황에서는 행정가가 다른 수준, 다른 언어 기관에서 속한 학생들, 또는 나라 전체의 학생들 간의 평균 숙달도 수준을 비교하는데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규준참조 부류에 속한 검사의 목적은 어떤 기관 내의 학생 간의 수행 비교(배치 목적용), 또는 여러 과목이나 기관에 속한 학생 간의 수행 비교(능숙도 평가용)에 있음을 주목하라. 요약하자면 좋은 규준참조검사는 행정가와 교사가 자신들의 일을 더 잘 할 수 있게 해 준다.
반면에 준거참조검사 부류는 교실 내의 교사에게 가장 유용하다(물론 행정가 또한 이러한 조사에 관심을 가져야겠지만). 준거참조검사는 학생들의 과목에서 다룰 교재나 기술을 얼마나 많이 학습했는가를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준거참조검사는 학생 상호 간의 수행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교재나 교육과정에 관한 개별 학생의 수행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검사들은 무엇을 가르칠지에 관해 잘 정의된 기술을 즉각적으로 평가하는데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준거참조검사라고 불린다. 이러한 검사는 종종 과목이나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와 관련해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경우, 준거참조검사는 “각 학생이 얼마나 배웠는가?”라는 점에서 성취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과목에서 학생 수행에 대해 점수를 부여할 때, 또는 교재, 발표 교수 내용의 연계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학생을 현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보내는 결정을 내릴 때 유용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좋은 준거참조검사는 교사가 자신의 일을 더 잘 할 수 있게 해준다.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하게 된 주요 동기는 언어 프로그램 행정가와 교사들이 각자의 업무를 좀 더 잘 할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이고 유용한 검사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 간의 구별은 행정가와 교사가 자신들이 내릴 결정의 유형에 가장 적합한 개별 검사 유형에 주의를 기울에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각 장의 주제는 규준참조와 준거참조라는 두 관점 모두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결국 행정가와 교사가 내리는 결정은 때로는 많은 시간과 돈이 관여되는 극적인 형태로, 다른 경우는 심리적, 태도적 요인을 포함한 미묘한 형태로 학생의 인생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는 교실 수준의 검사에 가장 관심을 갖고 있더라도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행정가는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더라도 교실 수준의 검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각 집단은 불가피하게 다른 집단이 내리는 결정에 관여되어, 아마도 교사가 배치 검사를 감독하고 채점하는 형태나 교사가 만든 교실 수준의 검사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행정가의 형태로,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논하는 결정 유형은 무한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므로 행정가와 교사가 결정을 내릴 때 서로 협력하는 것은 전반적으로는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는 검사 개발에 유익하다.
이 책의 독자가 교사이건 행정가이건 또는 둘 다이건 상관없이 이 책을 읽는 목적은 모든 유형의 검사를 잘 실시할 수 있게 학습하는데 있어야 한다. 저급하거나 평범한 검사가 흔한데, 대부분의 언어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행이 무책임하여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인생에 관해 저급하거나 평범한 결정을 내리게 될 것임을 인지하고 있다. 양질의 검사에 필요한 도구가 이 책에 제공되어 있다. 통계가 관련된 부분에서는 간단히 “요리책” 스타일로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즉시 이해하여 학습한 내용을 교수 상황이나 행정 상황에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책이 단 하나의 언어 프로그램에서 내릴 결정의 질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면 이 책을 저술하는데 들어간 시간과 노력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 책은 이 책의 제2판이다. Brown(1996a)은 초판이고 Brown(1999, Wada가 번역함)은 일본어 번역판이다. 이 책은 여러 면에서 초판과 다르다. 가장 두드러진 점으로, 이 판에서는 전체 주제에 걸쳐 최근의 지식을 반영을 반영하기 위한 전반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새로운 섹션과 참고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이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서, 초판을 사용했던 교수들이 피드백과 제안을 토대로 하여 초판에서 다루었던 다양한 통계 기술의 개념적, 계산적 설명을 확장함으로써 스프레드시트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다양한 통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명확한 지시문을 포함시켰다. 독자들의 피드백으로 판단해 보건대, 이 책의 초판이 유용하였다고 한다. 여러분이 처한 것과 같은 실제 언어 교수 상황에서 제2판이 더 유용하다고 입증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검토 과정에서 Kathleen Bailey, John Nelson 그리고 Betsy Parrish가 제공해준 유용한 조언에 감사한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 Mark Nelson과 Sophia Wisener가 도와준 바에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Microsoft 사가 ExcelTM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허락해 준 바에도 감사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언어 검사의 유형과 용도	17 
서론	17 
언어 검사의 두 부류	17 
규준참조검사	18 
준거참조검사	19 
검사를 의사 결정 목적에 일치시키기	26 
왜 하나의 검사가 네 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가?	34 
언어 평가에서의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사용	38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 무엇인가?	38 
이 책에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38 
복습 문제	40 
응용 연습 문제	41 

제2장 언어 검사의 채택, 개정 및 개발	42 
서론	42 
이론적 이슈	42 
언어 교수 방법론 이슈	43 
언어 능력/수행 이슈	51 
분리/통합 이슈	52 
실제적 이슈	53 
채택, 개정 또는 개발?	59 
좋은 검사 시행하기	66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시작하기	69 
복습 문제	74 
응용 연습 문제	75 

제3장 양질의 언어 검사 문항 개발하기	76 
서론	76 
검사 문항이란 무엇인가?	76 
문항 형식 분석을 위한 지침	77 
복습 문제	110 
응용 연습 문제	110 

제4장 언어 평가의 문항 분석	112 
서론	112 
규준참조 문항 분석	112 
준거참조 문항 분석	126 
복습 문제	139 
응용 연습 문제	140 

제5장 언어 검사 결과의 기술	143 
서론	143 
자료 제시하기	143 
측정 척도	151 
기술통계	155 
기술통계 보고서 작성	168 
복습문제	173 
응용 연습 문제	173 

제6장 언어 검사 점수의 해석	178 
서론	178 
확률분포	178 
정규분포	181 
표준화 점수	190 
NRT와 CRT 분포	203 
표준화 점수를 스프레드시트로 접근하기	205 
복습문제	209 
응용 연습 문제	210 

제7장 언어 평가에서의 상관관계	213 
서론	213 
기초 정의들	213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계산하기	217 
상관계수 해석하기	231 
상관관계 분석에 잠재하는 문제점들	241 
상관관계 분석의 또 다른 유용한 방법	243 
복습문제	250 
응용 연습 문제	251 

제8장 언어 검사의 신뢰도	253 
서론	253 
분산의 원인	254 
NRT 신뢰도	261 
스프레드시트로 NRT 신뢰도를 계산하기	280 
규준참조검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289 
복습문제	290 
응용 연습 문제	290 

제9장 언어 검사의 의존도	292 
서론	292 
경계 손실 일치도 접근법	293 
제곱오차 손실 일치도 접근법	300 
신뢰구간	306 
스프레드시트로 CRT 의존도 계산하기	307 
CRT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3 
복습 문제	315 
응용 연습 문제	315 

제10장 언어 검사의 타당도	319 
서론	319 
NRT와 CRT에서의 전통적인 타당도 전략	321 
준거관련 타당도: NRT 검사를 위한 전통적인 전략	337 
범위의 제한과 NRT 검사 타당도	339 
기준 설정	340 
타당도와 관련된 다른 이슈들	349 
복습 문제	358 
응용 연습 문제	358 

제11장 현실 속의 언어 평가	362 
서론	362 
교육과정 계획하기에서 검사의 위상	362 
ELI 언어 프로그램	364 
복습 문제	375 
응용 연습 문제	375 
해설 및 정답	376 

·해설 및 정답__376 
·한영 용어 대조__402 
·용어 해설__ 406 
·찾아보기__424 
·참고문헌__43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