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90796 | |
005 | 20161222110709 | |
007 | ta | |
008 | 161221s2016 ulk 000c kor | |
020 | ▼a 9788997484676 ▼g 13510 | |
035 | ▼a (KERIS)BIB000014001649 | |
040 |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6.079 ▼2 23 |
085 | ▼a 616.079 ▼2 DDCK | |
090 | ▼a 616.079 ▼b 2016z2 | |
100 | 1 | ▼a 安保徹, ▼d 1947- ▼0 AUTH(211009)80334 |
245 | 2 0 | ▼a (내 몸을 치유하는 힘) 면역습관 : ▼b 내가 만든 병은 내가 고친다! / ▼d 아보 도오루 지음 ; ▼e 황소연 옮김 |
246 | 1 9 | ▼a 病気は自分で治す : ▼b 免疫学101の処方箋 |
246 | 3 | ▼a Byōki wa jibun de naosu : ▼b men'ekigaku 101 no shohōsen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전나무숲, ▼c 2016 | |
300 | ▼a 251 p. ; ▼c 23 cm | |
500 | ▼a 이 책은 '면역처방 101'의 개정판임 | |
700 | 1 | ▼a 황소연, ▼e 역 ▼0 AUTH(211009)62244 |
740 | 2 | ▼a 면역처방 101 |
900 | 1 0 | ▼a 아보 도오루, ▼e 저 |
900 | 1 0 | ▼a Abo, Tōru,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079 2016z2 | Accession No. 1117650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는 아보 도오루의 책. 저자는 이 책에서 건강을 지키는 원리를 세포, 혈액, 스트레스, 체온, 식사, 감정 등 다양한 원리를 토대로 명쾌하게 서술하였다. 일반인들도 쉽게 건강의 원리와 면역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대중적인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가 질병을 치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온열요법, 심리조절, 식사요법 등 어떻게 하면 일상생활 속에서 손쉽게 면역력을 높이는 습관을 기를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많은 질병이 있어도
병의 근본 원인은 하나 !
내 몸을 지키는 면역습관만이 만성질환으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주요내용]
● 저자 아보 도오루(安保 徹)는 백혈구의 자율신경 지배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혀낸 일본의 저명한 의사. 현재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으며 활발히 활동
● 약과 수술에 의존하지 않고 환자 스스로 면역습관을 길러 건강을 지키는 법
● 건강을 지키는 원리를 세포, 혈액, 스트레스, 체온, 식사, 감정 등 다양한 원리를 토대로 명쾌하게 서술
● 병원에만 의존하려는 환자들의 무지를 일깨워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설득 가능
● 일반인들도 쉽게 건강의 원리와 면역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대중적인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가 질병을 치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
● 온열요법, 심리조절, 식사요법 등 어떻게 하면 일상생활 속에서 손쉽게 면역력을 높이는 습관을 기를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방법을 제시
‘내가 만든 병은 내가 고친다’는
‘환자 책임’의 인식이 필요
수많은 현대인들이 만성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암, 당뇨병, 궤양성 대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요통, 고혈압 등등 이루 다 셀 수 없을 정도이다. 환자들은 자신의 병을 고치기 위해 부지런히 병원을 찾는다. 동네 병원에서 큰 병원, 큰 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옮기며 병원 쇼핑에 앞장선다. 그러나 이 지긋지긋한 만성 질환은 좋아질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암 환자에게는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제가 처방되고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대증요법(對症療法)에 불과한 것으로 원인을 밝혀 치료하는 원인요법이 아니다.
분명 질병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대증요법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암 환자가 수술을 받고 항암제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암이 재발하거나 유감스럽게도 사망했다 하더라도 명확한 실수가 없는 한 의사의 책임을 묻지는 않는다. 이는 환자와 의사 모두 책임은 의사 측에 없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서로 납득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모순된 상황에서 벗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만성 질환이나 난치병으로 불리는 대부분의 질환은 환자 자신의 잘못된 생활방식, 습관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장시간에 걸친 노동이나 스트레스를 끌어안고 있는 여유 없는 생활은 교감신경을 지속적으로 긴장시킨다. 교감신경이 긴장하면 혈액순환 장애와 백혈구에 의한 조직 파괴가 발생해 암에 걸리기 쉽다.
이와 같은 질병의 구조를 이해한다면 환자 스스로 자신의 질병을 만들고 키우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생활방식을 바꿈으로써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내가 만든 병은 내가 고친다’는 이른바 ‘환자 책임’의 인식이 필요하다. 의료관계자도 대증요법은 질병의 근본적인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환자의 생활방식이나 습관을 바로잡고 지원해 나가는 방향으로 치료의 흐름을 바꾸어야 한다.
건강과 질병에 대한 명쾌한 해법, 면역을 올리는 최고의 습관!
‘자율신경의 조절과 백혈구의 방어 작용’
질병과 건강과 관련해 수많은 학설과 이론이 있다. 이는 자율신경과 백혈구를 이해하지 않은 채, 질병 자체만을 규명하고자 덤벼들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자율신경의 조절 작용과 백혈구의 방어 작용이 균형을 잃었을 때, 병에 걸린다. 이 점에 주목한다면 건강도 질병도 아주 명쾌하게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스트레스 → 교감신경 긴장 → 혈류 장애와 과립구 증가 → 조직 파괴의 질병’이라는 흐름과, ‘운동 부족 · 무기력 → 부교감신경 우위 → 피로감과 림프구 증가 → 알레르기 질환 · 의욕 상실의 질병’이라는 흐름이다.
이는 교감신경 긴장이 초래한 과립구 지배, 부교감신경 우위가 초래한 림프구 지배의 법칙에서 탄생한다. 몸을 혹사시키는 생활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긴장하게 만든다. 그 밖에도 몸의 냉증과 약물 과다 복용도 교감신경 긴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몸을 단련하지 않는 생활은 부교감신경을 앞서가게 만든다. 균형을 생각하지 않고 좋아하는 음식만 먹는 편식도 부교감신경을 앞서가게 하는 주범이다.
치유를 위한 12계명, 올바른 면역습관을 위한 지름길!
극심한 불황에 허덕이는 오늘날, 인생관이나 가치관을 바꿔 물질적인 여유보다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구한다면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몸이 아프면 마음의 여유는커녕 생활이 황폐해지기 마련이다. 만성 질환이나 난치병은 대개 균형을 잃은 생활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질병에 걸린 후라도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진단할 수 있다면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우선 ‘자가 진단을 위한 12계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12가지는 ‘치유를 위한 12계명’이기도 하다.
1. 안색이 나쁘다, 손발이 차다, 쉬 피로하다, 변비가 있다.
2. 일에 치여 살며, 그런 날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3. 매사에 근면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다.
4. 고민거리를 항상 달고 산다.
5. 무기력, 낮에도 늘 졸리다, 자세가 나쁘다.
6. 비만이다, 운동 부족이다.
7. 음식에 주의하지 않는다.
8. 장기간 약을 복용하고 있다.
9. 수면 시간이 지나치게 짧다.
10. 단것, 찬 것, 매운 것을 너무 많이 먹는다.
11. 비상식·비정상적인 버릇에 빠져 있다.
12.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지 않는다.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는 이 12계명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1~2개 정도가 걸린다면 고치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체크 대상이라면 굳은 결심으로 자신의 생활을 반성해야 한다.
수많은 질병이 있어도 병의 근본원인은 하나!
병은 수만 가지, 수천 가지가 있지만, 병의 근본 원인은 하나로 통한다. 35억 년의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능력을 초월했을 때, 인간은 병에 걸린다. 생각하는 힘을 획득한 인간은 생활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야생동물은 환경에 적응해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자유가 없는 대신 생활의 정도(正道)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에는 만끽할 수 있는 자유가 몸을 망가뜨리는 주범이 된다.
일을 하거나 운동을 즐기려면, 맥박을 상승시키거나 혈압을 올리거나 혈당을 올릴 필요가 있다. 근육 긴장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교감신경의 긴장이 이어지면 우리는 건강을 잃고 만다. 균형을 잃은 생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을 꼽는다면 아래와 같다.
1. 장시간의 노동
2. 마음의 번뇌
3. 냉방이나 찬 음식
4. 약물 남용
장시간의 노동과 마음의 번뇌로 만들고 키운 질병은 결과적으로 약물 남용을 초래한다. 정도를 벗어난 생활은 고혈압과 당뇨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밤중에도 맥박이 가파르게 뛴다면 불면증이나 불안감에 휩싸일 것이다.
정도를 벗어난 생활을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은 의사나 약이 아닌, 환자 자신의 의지이다. 본인의 자각이나 의지가 없으면 질병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경제적인 풍요로움이 질병을 초래했지만, 그 넉넉함이 있기에 생활을 반성하고 바로잡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한창 경제 발전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생활태도에 무리가 있어도 그대로 밀고나갈 수밖에 없다.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는 절박한 상황이라면, 생활을 되돌아볼 만큼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생활을 선택해야 할,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면역습관으로 바꾸면 병은 바로 낫는다!
생활습관이나 태도를 바로잡으면 병은 바로 낫는다. 그런데 잘못된 생활을 본인이 자각했다 하더라도, 기존의 생활방식을 바꾸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 때문에 방법을 알아도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이들 가운데 대다수가 의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대증요법의 ‘쉬운’ 길을 선택한다.
또 의료계 입장에서 보면, 병원을 찾은 환자에게 의사는 대증요법을 위한 약을 ‘쉽게’ 처방함으로써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계와 환자가 만들어내는 현대의료 시스템은 더 공고해질 따름이다.
한편 잘못된 혹은 치우친 생활방식을 자각하기 위해서는 감성이 필요하다. 과학만능주의와 분석의학만으로는 의사도 환자도 감성을 갈고닦을 수 없다. 특히 의대생은 공부하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자신감 과잉으로 치닫기 쉽다. 자신이 학문의 최고봉에 도달했다고 착각하기 쉽고, 여기에 전문 영역이 덧붙여지면 자부심은 하늘을 찌른다. 개중에는 병이 전혀 차도를 보이지 않는 데도 기세등등한 의사가 있다. 그래도 사람들은 병원을 찾고 의사를 찾아간다. 어쩌면 대다수의 성실한 소시민들이 현대 의료를 떠받치고 발전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약을 먹는다고 해서 바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부작용은커녕 감기약을 먹으면 고통스런 증상이 씻은 듯이 낫는다. 벌레에 물렸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스테로이드 연고는 일회성이기 때문에 큰 부작용 없이 치료가 된다. 고혈압증 치료에 혈압강하제를, 고지혈증 치료에 콜레스테롤 대사저해제를 복용해도 2~3년 정도는 아무렇지도 않다. 이와 같이 아주 조금씩 부작용을 축적해 나가는 것이 현대 의료의 현실이다. 대증요법으로 질병이 악화되어도 자신의 병은 나이 탓이라고 생각하는 환자도 많다.
요즘 의료계를 돋보기로 들여다보면,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근본 치료에서 멀어지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항암제 부작용을 스테로이드 병용(倂用)으로 막아보고, 교원병에 스테로이드 펄스(pulse)요법(스테로이드제를 점적(點滴)으로 보통 3일간 대량 투여하는 치료법)도 모자라서, 스테로이드 유지요법을 시술하고 있다.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도 마찬가지이다. 결과적으로 치료는 고사하고, 병만 더 깊어져 간다. 도대체 얼마나 더 골병이 들어야만 진실에 눈 뜰 수 있을까?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아보 도오루(지은이)
1947년 아오모리(靑森)현에서 태어났으며 도호쿠(東北)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현재 니가타(新潟)대학 대학원 의치학 종합연구과 면역학·의동물 분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국제 감염의학 강좌·면역학·의동물학 분야). 1980년 미국 앨라배마 주립대학 유학 중에‘인간 NK세포 항원 CD57에 대한 모노클로널 항체’를 개발했으며, 1989년에는 흉선외분화 T세포의 존재를 발견했다. 또한 1996년에 백혈구의 자율신경 지배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고, 2000년에는 위궤양의 원인이 위산이 아닌 과립구 때문이라는 이론을 발표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강연 및 저술 활동을 통해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으며 활발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면역혁명』을 비롯해 『면역습관』, 『생활 속 면역 강화법』 『약을 끊어야 병이 낫는다』, 『면역진화론』 등이 있으며 다수의 저서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황소연(옮긴이)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하고 첫 직장이었던 출판사와의 인연 덕분에 지금까지 10여 년간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면서 [바른번역 아카데미]에서 출판번역 강의도 맡고 있다. 어려운 책을 쉬운 글로 옮기는, 그래서 독자를 미소 짓게 하는 ‘미소 번역가’가 되기 위해 오늘도 일본어와 우리말 사이에서 행복한 씨름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젊음 뇌로 돌아가는 두뇌훈련 30》《내 몸 안의 생명원리 인간생물학》, 《내 몸 안의 지식여행 인체생리학》, 《내 몸 안의 작은 우주 분자생물학》, 《내 몸 안의 주치의 면역학》, 《내 몸안의 두뇌탐험 신경정신의학》, 《유쾌한 공생을 꿈꾸다》, 《우울증인 사람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등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PART 1 인간의 몸을 이해한다 다세포생물로서의 인간 = 16 '조절계'의 기본은 '자율신경계' = 19 '방어계'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21 과립구과 림프구 = 24 호산구 = 27 NK세포 = 29 단식하면 몸은 어떻게 반응할까? = 31 매크로파지는 인간의 몸을 재활용하고 있다 = 34 유전자의 활동 = 36 체온을 결정하는 자율신경 = 38 분석과학만으로 세상만사를 이해할 수 있을까? = 40 당뇨병에 왜 걸릴까? = 42 동물의 체온과 혈당 = 45 혈액 속을 흐르는 것들 = 47 깨끗한 피, 더러운 피 = 49 스트레스를 받으면 왜 체온이 떨어질까? = 52 인간은 악조건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 55 스트레스와 부교감신경 = 57 질병에 대하여 = 59 건강에 대하여 = 62 '깔끔 떨기'는 스트레스의 근원 = 65 PART 2 질병이 되기까지 일벌레병, 혈관면역모세포 림프절병증 = 68 림프구 암, 악성 림프종 = 70 관절은 제2의 골수 = 72 결석이 생기는 이유 = 74 마음의 갈등, 교원병 = 76 온몸으로 방어하는 파킨슨병 = 79 치주염, 그리고 치조농루 = 81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 = 84 크론병은 오진이었다 = 87 간질성 폐렴이 유행하는 이유는? = 89 섬유근육통의 불가사의 = 92 원인을 모르는 수많은 질병들 = 94 잇달아 선보이는 항염증제 = 96 비염이 잘 낫지 않는 이유 = 99 기립성 조절장애를 치유한다 = 101 질병의 본질은 균형을 잃은 생활 = 104 열이 나면 왜 싫을까? = 106 염분이 부족해도 치매에 걸린다 = 108 단맛과 치매 = 111 이팔청춘에 꽃피는 질병들 = 113 질병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다 = 116 림프절을 제거하면 = 118 PART 3 내 병은 내가 고친다 항암제는 발암제 = 122 20%의 법칙 = 124 암 치료의 3대 요법에 이끌리는 심리 = 126 항암제를 끊으면 공포의 끈을 끊을 수 있다 = 128 암 검진의 폐해 = 131 지나친 바른생활이 생명을 단축할 수도 있다 = 134 시한부 선고 = 137 암이 낫는다는 것 = 140 치유를 위한 12계명 = 142 네 자신을 알라 = 144 열심히 더 열심히! = 147 몸과 마음은 하나 = 149 무기력의 정체 = 151 식사에 대해 = 153 약을 복용하다 = 155 수면시간 = 158 달콤, 써늘, 매콤 = 160 기질과 버릇 = 162 감사하는 마음 = 164 저혈당과 분노 = 166 별이 반짝, 눈앞이 캄캄 = 168 일과처럼 혈압을 재는 사람들 = 170 현대의학에 도전하는 사람들 = 172 진료기록 카드 작성법 = 174 전자 진료카드의 도입 = 176 자율신경 면역요법 = 178 온열 요법 = 181 질병 체험의 의미 = 183 현대 의료를 변화시키는 어려움 = 185 건강식품은 왜 인기가 있을까? = 187 환자가 변해야 병이 낫는다 = 190 질병을 바라보는 마음가짐 = 192 암 치료와 가족들 = 195 내 병은 내가 고친다 = 197 PART 4 건강하게 산다는 것 태양의 힘 = 200 시대가 변하면 병도 변한다 = 202 주거와 건강 = 204 자율신경과 정신세계 = 206 즐거움이 있으면 고통도 있나니 = 208 마음의 평화를 위해 = 210 인간의 구원 = 212 새로운 생활, 새로운 시대 = 214 균형을 잃은 생활, 균형이 깨진 식사 = 216 소식과 소박한 밥상의 효용 = 218 이상적인 식단이란? = 220 추천하고 싶은 건강법 = 222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 = 224 독도 약이 되는 호르메시스 = 226 복잡미묘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 228 입으로 씹어먹는 일, 그리고 치아의 역할 = 230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치아 = 232 영구치가 생기지 않는다 = 234 전자파의 공포 = 236 다리를 꼰다, 팔을 꼰다 = 238 질병, 불행, 그리고 굶주림 = 240 필연의 법칙을 믿는 사람 = 242 숭고한 의지 = 244 생활을 바로잡는 일은 불가능한 것일까? = 247 맺음말 = 249 옮긴이의 글 =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