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89517 | |
005 | 20161227132413 | |
007 | ta | |
008 | 161130s2016 ggk 000c kor | |
020 | ▼a 9791195760244 ▼g 03340 | |
035 | ▼a (KERIS)BIB000014241172 | |
040 | ▼a 211029 ▼c 211029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4.73 ▼2 23 |
085 | ▼a 324.73 ▼2 DDCK | |
090 | ▼a 324.73 ▼b 2016 | |
100 | 1 | ▼a Lehrer, James |
245 | 1 0 | ▼a 대통령의 토론법 : ▼b 반드시 이기는 토론의 기술 / ▼d 짐 레러 지음 ; ▼e 홍영만 옮김 |
246 | 1 9 | ▼a Tension city : ▼b inside the Presidential debates, from Kennedy-Nixon to Obama-McCain |
260 | ▼a 파주 : ▼b 종이와나무, ▼c 2016 | |
300 | ▼a 239 p. ; ▼c 23 cm | |
600 | 1 0 | ▼a Lehrer, James |
650 | 0 | ▼a Campaign debates ▼z United States |
650 | 0 | ▼a Presidents ▼z United States ▼x Election |
650 | 0 | ▼a Television in politics ▼z United States |
700 | 1 | ▼a 홍영만, ▼e 역 |
900 | 1 0 | ▼a 레러, 짐,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73 2016 | Accession No. 1513323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짐 레러(지은이)
1934년에 태어났다. 1988년(조지 W H 부시 (아버지 부시)vs 마이클 듀카키스)부터 1992년 (조지 W H부시 (아버지 부시)?vs 빌 클린턴), 1996년 (빌 클린턴 vs 밥 돌), 2000년 (조지 W 부시 vs 앨 고어), 2004년 (조지 W 부시 vs 죤 케리)까지 미국 대통령후보간 토론회의 사회자를 맡아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2007년 현재 미국의 공영방송국이 PBS의 앵커로, 'The NewsHour with Jim Lehrer'라는 프로를 진행하고 있다.
홍영만(옮긴이)
현재 YTN 라디오(FM 94.5) 「생생경제」 “홍영만의 뉴스 경제수업” 코너를 담당하고 있는 역자는 35년간 기획재정부 과장,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등 금융전문가로 활동하고 지금은 육군사관학교와 서울여자대학교에서 거시경제학과 화폐금융론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 정외과를 거쳐 미국 워싱톤대학(시애틀)에서 경제학박사를 받았으며 그동안 <자본시장법 유권해석(편저)> <구조조정개설(공저)> <스트레스테스트(공역)> <대통령의 토론법(번역)>을 출간했다. 지식격차를 줄여 더불어 잘사는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경제현상 쉽게 설명하기’를 ‘알기 쉬운 경제강연’을 재능기부로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저자서문 역자서문 1. 승패를 가른 「주요 순간」들 2. 논란이 된 살인자 질문 3. 선택을 돕는 동일한 질문 4. 너무나 점잖은 대응 5. 패배를 자초한 한숨 6. 부시-케리 토론 실황중계 7. 마지막 토론회 8. 다양한 토론의 해프닝 9. 우아한 진행과 의견 교환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