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학생운동, 1980 : 10·28 건대항쟁을 중심으로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석, 저 김정주, 저 김정한, 저 임미리, 저 강진웅, 저 박영균, 저 이동연, 저 장성규, 저 홍성민, 저 김창수, 저 정현곤, 저
서명 / 저자사항
학생운동, 1980 : 10·28 건대항쟁을 중심으로 / 김석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오월의봄,   2016  
형태사항
328 p. ; 22 cm
총서사항
질문의 책 ;7
ISBN
9791187373025
일반주기
공저자: 김정주, 김정한, 임미리, 강진웅, 박영균, 이창언, 이동연, 장성규, 홍성민, 김창수, 정현곤  
기획: 10·28건대항쟁계승사업회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89024
005 20161128103050
007 ta
008 161125s2016 ulk 000c kor
020 ▼a 9791187373025 ▼g 03300
035 ▼a (KERIS)BIB000014241189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82 0 4 ▼a 378.1981 ▼2 23
085 ▼a 378.1981 ▼2 DDCK
090 ▼a 378.1981 ▼b 2016z1
245 0 0 ▼a 학생운동, 1980 : ▼b 10·28 건대항쟁을 중심으로 / ▼d 김석 [외]지음
246 3 ▼a 학생운동, 천구백팔십 : ▼b 십·이팔 건대항쟁을 중심으로
260 ▼a 서울 : ▼b 오월의봄, ▼c 2016
300 ▼a 328 p. ; ▼c 22 cm
440 0 0 ▼a 질문의 책 ; ▼v 7
500 ▼a 공저자: 김정주, 김정한, 임미리, 강진웅, 박영균, 이창언, 이동연, 장성규, 홍성민, 김창수, 정현곤
500 ▼a 기획: 10·28건대항쟁계승사업회
700 1 ▼a 김석, ▼e▼0 AUTH(211009)20724
700 1 ▼a 김정주, ▼e▼0 AUTH(211009)51486
700 1 ▼a 김정한, ▼e▼0 AUTH(211009)88615
700 1 ▼a 임미리, ▼e▼0 AUTH(211009)18317
700 1 ▼a 강진웅, ▼e▼0 AUTH(211009)63557
700 1 ▼a 박영균, ▼e▼0 AUTH(211009)40308
700 1 ▼a 이동연, ▼e▼0 AUTH(211009)9042
700 1 ▼a 장성규, ▼e▼0 AUTH(211009)137396
700 1 ▼a 홍성민, ▼e▼0 AUTH(211009)64151
700 1 ▼a 김창수, ▼e▼0 AUTH(211009)140992
700 1 ▼a 정현곤,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8.1981 2016z1 등록번호 1117641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8.1981 2016z1 등록번호 1513320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8.1981 2016z1 등록번호 1117641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8.1981 2016z1 등록번호 1513320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질문의 책 7권. 역사적인 건대항쟁 3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학생운동을 학문적으로 조망하고 평가하기 위해 출판한 연구 서적이다. 1986년 단일 시국사건으로는 최대 구속자를 낳았던 10.28 건대항쟁은 1980년대 학생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사건이었다. 주지하듯이 10.28 건대항쟁은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의 결성식을 경찰이 과잉 진압하고 이들을 용공세력으로 몰아 당시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세력을 동시에 괴멸시키려는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하지만 건대항쟁의 패배는 학생운동의 도약에 새로운 계기가 된다. 남은 학생운동권 지도부는 이전의 소수 조직원 동원 위주 방식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면서 대중조직인 과 학생회와 동아리를 중심으로 학생운동의 확장을 도모해 성공한 것이다. 저자들은 직간접적으로 학생운동 경험이 있거나 일부는 198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한 세대에 속하는 소장학자들이다. 단순히 학생운동 내부의 시각에서 과거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지평에서 전문가적 안목으로 1980년대를 평가해보면서 학생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정리했다.

“오리라, 반드시 그날은 오리라.”
한국의 민주화 역사를 다시 쓴 1980년대 학생운동을 말한다

1980년대 학생운동은 한국 사회에 무엇이었는가?
무엇을 이루고 무엇을 이루지 못했는가?

민주화의 역사에서 학생운동이 차지하는 위치

“1970년대와 비교하여 1980년대 학생운동의 가장 고유한 특징은 매우 자기-의식적이었고 조직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스스로 이념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그들은 독재정권의 폭력성과 반민중성을 규탄하고 이에 저항하는 데 머무르지 않았다. 그들은 그 스스로를 ‘혁명가’로, 마키아벨리가 이야기하는 ‘무장한 예언가’로 만들고자 했다. 그들은 현재의 지배권력을 뒤집어엎고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는 주체가 되고자 했다. 그들은 새로운 세상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했으며 특정한 이념에 따라 그 스스로를 무장했다. 그들은 일상적인 토론과 학습을 통해 그 자신과 동료들을 의식화했으며 조직했다.”
“1980년대 학생운동의 급격한 성장은 5.18에서 학살당한 광주 시민에 대한 슬픔과 그들의 투쟁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5.18 광주 시민에 복수하고 동시에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일신의 안녕을 버리고 저항운동에 투신한 학생들의 희생은 광주의 학살에 뒤를 이어 부당한 폭압의 증거가 되었다.”
한반도의 역사는 지난한 투쟁의 역사다. 동서 냉전의 여파 속에 미국과 소련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대리전처럼 치러진 한국전쟁 결과로 단절된 진보적 민족주의 운동의 명맥이 4·19 학생의거와 유신 반독재투쟁을 거치면서 살아나기 시작했다. 유신의 가혹한 철권통치도 민주화를 향한 1970년대 민중들과 지식인의 열망까지 없애지는 못했다. 폭압적이던 박정희 정권이 민중들의 저항과 정권 내부 분열로 막을 내리고 서울의 봄과 함께 민주화 시대가 열리는 듯했다. 그러나 다시 쿠데타를 일으킨 소수 신군부세력에 의해 1980년 광주는 처절히 피를 흘리며 숨을 죽일 수밖에 없었다. 전두환 정권이 집권하고, 공안정국이 지배하면서 민주화운동의 명맥은 끝났다고 믿었다. 그러나 탄압과 희생을 딛고 들불처럼 일어난 청년 학생운동에 의해 민주화를 위한 투쟁의 열기가 점화되기 시작했으며 1983년 학원자율화조치 이후 각 대학은 변혁운동의 실질적 거점이 되기 시작한다. 한국의 정치 지형과 담론을 바꾼 1987년 6월 시민항쟁은 우연히 일어난 게 아니라 광주항쟁 학살정권 퇴진과 진상규명을 위해 끈질긴 투쟁의 불을 지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피의 희생으로 가능했다. 그리고 1980년대 학생운동은 새로운 과학적 이념과 대중운동으로 무장하면서 우리 사회의 민주화 역사를 다시 쓰기 시작했다. 1980년 수많은 열사들의 희생과 죽음으로 중요한 민주화 이슈들이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각인되고, 민중들이 깨어나기 시작했으며, 소극적이던 정치권도 동참하기 시작했다. 6월항쟁 이후에는 노동자대투쟁과 시민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한국 사회의 변화를 주도했다. “1980년대 ‘운동에 의한 민주화’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던 것은 분명 학생운동이었다. 대학생들의 선도적인 정치활동과 투쟁은 체계적인 국가폭력으로 정치 자체가 불가능한 조건에서 지속적으로 틈새를 만들어냈고, 강력한 군부독재에 균열을 일으키는 매개체였다.”

1980년대 학생운동의 재구성
이 책은 역사적인 건대항쟁 30주년을 기념하여 1980년대 학생운동을 학문적으로 조망하고 평가하기 위해 출판한 연구 서적이다. 1986년 단일 시국사건으로는 최대 구속자를 낳았던 10·28 건대항쟁은 1980년대 학생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사건이었다. 주지하듯이 10·28 건대항쟁은 ‘전국반외세반독재애국학생투쟁연합(애학투련)’의 결성식을 경찰이 과잉 진압하고 이들을 용공세력으로 몰아 당시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세력을 동시에 괴멸시키려는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이 결과 총 1,525명이 연행되고 1,288(추가 구속 23)명이 구속되어 단일 사건으론 건국 후 최다 구속자를 기록했다. 연행자 중 53명의 학생이 부상과 화상을 입고 경찰병원 등으로 후송되었다. 학생운동 진영은 사상 유례없는 대량 구속 사태와 정권의 이데올로기 공세로 위축되었다. 하지만 건대항쟁의 패배는 학생운동의 도약에 새로운 계기가 된다. 남은 학생운동권 지도부는 이전의 소수 조직원 동원 위주 방식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면서 대중조직인 과 학생회와 동아리를 중심으로 학생운동의 확장을 도모해 성공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직간접적으로 학생운동 경험이 있거나 일부는 198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한 세대에 속하는 소장학자들이다. 적어도 현장과 완전히 동떨어져 학생운동을 문헌과 과거 자료로만 연구하는 사람들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학생운동 내부의 시각에서 과거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지평에서 전문가적 안목으로 1980년대를 평가해보면서 학생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그리고 여기서 다뤄진 주제도 그간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던 1980년대 학생운동의 모습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고심해 선정한 주제들이다.
1980년대 군부독재의 국가폭력과 이념논쟁을 통괄하면서 평가한 주제들도 있고(김정한 <1980년대 국가폭력과 대학생들의 저항>), 당시 유인물을 통해 학생운동의 이념을 파헤친 글(이창언 <10·28 유인물로 본 학생운동의 이념>)도 있다. 또 당시의 학생운동 정파 간의 노선과 이념논쟁을 분석한 글(박영균 <1980년대 학생운동의 이념논쟁>)과 1980년대에 이미 한국 경제에 신자유주의가 도입되었으나 학생운동이 이에 잘 대비하지 못했다는 글(김정주 <198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학생운동>)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 학생운동의 반미주의와 연계, 교류, 긴장, 갈등하며 다양한 얼굴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반미 현상을 분석한 글(강진웅 <1980년대 학생운동과 한국 사회의 반미주의>)도 수록되어 있다. 무거운 주제뿐 아니라 운동권의 모습을 분석한 운동권문화에 대한 글(이동연 <1980년대 문화의 지형과 운동권문화의 위치>)과 문학 텍스트를 통해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학생운동을 분석한 글(장성규 <학생운동의 문학적 재현과 언어의 문제>)도 있으며, 저항적 자살의 의미와 내면 심리를 파헤친 글(임미리 <건대항쟁 전후 대학생의 저항적 자살>)도 있다. 특히 정현곤의 글(<1986 애학투련, 오늘을 말하다>)은 당시 건대항쟁을 직접 이끈 지도부의 한 사람이 건대항쟁에 대해 평가한 글로 그 의미가 크다. 이 밖에 민주화 이행기에 감정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건대항쟁을 중심으로 분석한 글(홍성민 <민주화 이행과 감정의 역할>)과 한국 통일운동의 전개과정과 1980년대 학생운동을 분석한 글(김창수 <통일운동의 전개과정과 1980년대 학생운동>)이 수록되어 있다.
우리가 이와 같이 다양한 주제로 1980년대 학생운동을 분석하고, 정리하며, 평가한 연구 서적을 내놓는 의도는 건대항쟁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후대의 긍정적 평가가 내려지길 바라는 마음 때문이다. E. H 카가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부단한 대화라고 했듯, 단순히 지나간 일에 대한 추억이 역사는 아니다. 오히려 끊임없이 과거를 현재에 불러들이고 대화하면서 그 의미를 현재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더구나 고작 5년 임기를 가진 정권이 자신들 입맛대로 역사에 대해 이러저러한 잣대를 들이대고, 역사에 대한 획일적인 시각을 가질 것을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황당한 월권행위이다. 국가재난 방지와 긴급구호 시스템의 부재로 수많은 사망자를 낸 ‘세월호 사건’을 있을 수 있는 자연재해나 교통사고처럼 매도하면서 진실을 은폐하는 것을 보라. 또 명백히 물대포로 인해 한 농민이 뇌사에 빠져 근 1년을 고통받다 죽었는데 이를 병사라고 우겨대는 것을 보라. 한마디로 상식과 합리성을 비웃고, 인간적 양심조차 저버린 일들이 이 나라에서 너무 자주 일어난다. 수많은 역사적 사례에서 보듯 바르게 기록하고, 기억하며, 재평가하지 않는 역사는 시간이 지나면 그 의미가 왜곡되거나 망각되어 기억 저편으로 사라질 수 있다. 역사는 항상 그것을 기억하려는 사람들의 역사로 남는다. 다소 성급할지도 모르지만 우리가 10·28 건대항쟁과 이를 중심으로 1980년대 학생운동을 재평가하는 글을 이 시점에서 남기는 것은 단순한 교훈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역사를 우리 것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정한(지은이)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강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 연구: 5·18광주항쟁과 6·4천안문 운동의 비교』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문화 과학 편집위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민간조사관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현대 정치철학연구회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 현대 정치철학을 통해 역사적 사회운동들을 새롭게 인식하고, 그와 함께 보편적 사회운동을 위한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사 회운동과 정치철학의 마주침’을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중과 폭력: 1991년 5월의 기억』, 『1980 대중 봉기의 민주주의』(제7회 일곡유인호학술상 수상),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알튀세르 효과』(공 저), 『너와 나의 5·18』(공저),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 (공저),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n Global Perspective(공저), Korean Memories and Psycho-Historical Fragmentation(공저), Toward Democracy: Sou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1945~1980(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폭력의 세기』, 『혁명가: 역사의 전복자들』(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5·18 항쟁 시기에 일어난 일가족 살인 사건: 전쟁, 학살, 기억」, 「5·18학살 이후의 미사未死: 아직 죽지 못한 삶들」, 「광주 학살의 내재성: 쿠데타, 베트남전쟁, 내전」 등이 있다.

김창수(지은이)

1964년 광산(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나 목사고을 나주, 빛고을 광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린 시절은 누구나 그러하듯 인생의 꿈을 키우는 시간이었다. 그러다 1980년 5월 광주에서의 경험은 끝없는 고뇌의 수렁 속에 빠뜨렸다. 죄 없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간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국민을 우롱하는 모습을 보면서 무언가 잘못되어도 크게 잘못되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학교도 사회도 가르쳐주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사춘기의 방황은 깊어졌다. 광주 동신고등학교 친구들과 아직까지도 마음을 나누고 있는 것은 어두운 그 시절에 만났기 때문이다. 그 후 무언가에서 해답을 찾으려 갈구하다 1983년 고려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 데모도 많이 하고 자신과 나라에 대한 고민도 하다가 겨우 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군사안보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국대학교 북한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8년부터 재야단체인 평화연구소에서 평화운동과 통일운동을 시작했다. 그 무렵 세계사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연구소에서 그러한 세계사적 변화를 관찰하려고 노력했다. 결국 그때 시작했던 평화와 통일이라는 화두를 지금도 여전히 붙잡고 살고 있다. 통일맞이 늦봄문익환목사기념사업 정책실장,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정책실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실장, 코리아연구원 원장, 통일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초대 사무처장, 청와대 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학생운동, 1980》,《천안함 외교의 침몰》(공저) 등이 있다.

김석(지은이)

프랑스 파리 제8대학교 철학과에서 자크 라캉의 욕망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철학아카데미,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건국대학교 융합인재학부 교수를 거쳐 2018년부터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정신분석 개념과 철학을 접목해 한국 사회의 집단 심리와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하면서 공동체를 위한 인문학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신장애, 일탈과 범죄 등 사회 병리적 주제를 분석하면서 사회 통합을 위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중 강연과 활발한 집필을 통해 학문적 성과를 사회로 환원하며 대중과 소통하는 것에도 열심이다. 지은 책으로 ≪자아, 친숙한 이방인≫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무의식에로의 초대: 프로이트&#8201;&&#8201;라캉≫ ≪프로이트, 꿈의 해석≫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문자라는 증서: 라캉을 읽는 한 가지 방법≫ 등이 있다.

홍성민(지은이)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파리 제10대학에서 정치철학 박사를 취득했다. 일찍이 미국식 국제정치학의 한계를 인식하고, 미국의 지식 지배로부터 탈출해 진정한 한국의 (국제)정치학을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그리하여 철학, 사회학, 인문학, 문화 이론 등 다방면의 이론을 넘나드는 저술 활동을 해왔다. 그동안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프랑스 포스트모던의 흐름을 한국적 상황에 맞게 수용하려 노력했고, 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취향의 정치학’ 혹은 ‘감성의 정치학’이라는 주제로 글들을 발표해 왔다. 최근에는 정치사상의 대중화를 위해 인터넷 방송에서도 적극적인 활동을 했다. 네이버 오디오 클립에서 &lt홍성민 교수의 열린생각&gt을 55회 연속 강연했고, 또 유튜브에서 &lt홍성민 교수의 알기 쉬운 정치철학 이야기&gt를 강연하고 있다. 저서로는 『포스트 모던의 국제정치학』(1992), 『문화와 아비투스』(2000), 『지식과 국제정치』(2008), 『문화정치학 서설』(2009), Culture and Politics(2012, SNU Press)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근대성과 육체의 정치학』(2003)이 있다.

김정주(지은이)

2000년 한양대학교에서 &lt;한국에서의 가치생산 및 가치분배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gt;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 분야는 마르크스 경제학과 한국경제론이다. 그간 &lt;노동시장 분석을 통한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 재검토&gt;(2002), &lt;생산가격에 의한 가치체계의 재생산: 전형문제의 재검토&gt;(2003), &lt;1980년대 이후 한국경제에서 산업부문 간 가치분배구조의 변화 및 변동요인에 관한 분석&gt;(2005), &lt;1970년대 경제적 동원기제의 형성과 기원: 한국 사회는 박정희 체제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gt;(2007) 등 40여 편의 글을 통해 마르크스 경제학 내의 이론적, 실증적 문제들과 한국경제의 역사적 구조전환의 문제들을 주로 다루어왔다. 성공회대학교, 한신대학교, 경상대학교 등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강사로 있으면서 계간지 《진보평론》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박영균(지은이)

일곡 유인호 학술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노동가치』 『맑스, 탈현대적 지평을 걷다』 『칼 마르크스』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공저)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교수이자 통일인문학대학원 교수이다.

이동연(지은이)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술세상 마을 프로젝트’ 총감독, 경기아트센터 이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문화연대 집행위원장, 문화사회연구소 소장, 플랫폼창동61 총감독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예술과 삶》, 《예술@사회》,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대안문화의 형성》, 《문화자본의 시대》 등이 있다.

장성규(지은이)

197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인문학부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학교 박사 후 국내 연수 과정과 서울대학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커뮤니케이션문화학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7년《경향신문》신춘문예로 등단해 문학 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평론집으로 『사막에서 리얼리즘』 『신성한 잉여』, 비평대담집으로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공저)가 있다.

이창언(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에서 SDGs 한·중·일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2021년부터 경주대학교 로고스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주대학교 SDGs·ESG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관심 분야는 도시와 대학 SDGs, ESG 경영, 거버넌스(협치·협동), 지방상생이다. 현재는 한국NGO학회 이사, 한국지속가능발전학회 대학협력위원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정책위원, SDSN Korea 집행위원,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 이사,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열린사회와 21세기: 마을에서 희망을 찾다』(공저, 2015.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한국형 마을 만들기의 역사·이론·실제』(공저, 지식의 날개, 2015), 『옛길이 들려주는 이야기 (삶과 문화의 현장을 찾아서)』(공저, 지식의 날개,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시민행동지수로 본 한국시민사회역량』(공저, 유나기획, 2020), 『한국인의 에너지, 실용주의: 현세주의에서 실리주의로』(단독, 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공저, 피어나, 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총서 사업 지원 도서) 등이 있고 『지속가능성의 도전』(공역, 도요새, 2013.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선정) 등의 번역서가 있다.

임미리(지은이)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광화문에 있는 직장을 다니다 1987년 6월항쟁을 목격했다. 1988년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해 데모는 하지만 운동권이라 말하기에는 부족한 대학 시절을 보냈다. 지역 신문사에서 일하다 2000년에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에서 지방행정 석사학위를 받았다. (사)현대사기록연구원에서 일하며 구술사 연구에 관심을 느꼈고, 다시 공부를 시작해 2016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경기동부: 종북과 진보 사이, 잃어버린 우리들의 민주주의》가 있다.

강진웅(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박사후연구원 및 사회학과 강사에 이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를 거쳐 현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북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사회의 민족주의와 북한의 사회변동을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주체의 나라 북한』(2018) 등이 있다.

정현곤(지은이)

1986년 건대항쟁 당시 서울대학교 자민투위원장으로 본관에 상주하면서 농성 전 과정을 책임진 당사자이다. 그 후 이부영, 장기표, 김근태가 주도한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에 가담했고 민주화운동청년연합의 사무국장을 지냈다. 10여 년간 구로동에서 구로청년회, 구로사랑민주협의회, 참세상을여는노동자연대를 창립해 민주, 인권운동을 했다. 2000년부터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에 관여, 사무처장으로 평양, 개성, 금강산을 오가며 남북화해를 위해 일했다. 2010년에 시민운동으로 자리를 옮겨 시민평화포럼 운영위원장,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공익활동가사회적협동조합 동행 이사를 거쳤다. &lt;남북거버넌스 연구&gt;로 경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세교연구소 선임연구원,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책위원장, 서울사회적경제네트워크 이사를 맡고 있다. 공저로 《천안함을 묻는다》(2010), 엮은 책으로 《변혁적 중도론》(2016)이 있다.

10.28 건대항쟁계승사업회(기획)

민주·평화·통일미라는 10·28 건대항쟁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면서 1987년 6월항쟁의 뿌리이자 도화선으로서 10·28 건대항쟁의 역사적, 운동사적 의미를 정립하고, 학술사업과 당시 참가자들의 재심청구, 명예회복의 권리회복 사업들을 추진하기 위해 만든 단체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0·28 건대항쟁 30주년을 맞아: 가슴의 기억은 영원하다 7 

1부 1980년대를 말하다 
6월항쟁의 서곡, 10·28 건대항쟁_ 김석 16 
198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학생운동_ 김정주 39 
1980년대 국가폭력과 대학생들의 저항_ 김정한 68 
건대항쟁 전후 대학생의 저항적 자살_ 임미리 96 
1980년대 학생운동과 한국 사회의 반미주의_ 강진웅 119 

2부 운동권을 말하다 
1980년대 학생운동의 이념논쟁_ 박영균 144 
10·28 유인물로 본 학생운동의 이념_ 이창언 181 
1980년대 문화의 지형과 운동권문화의 위치_ 이동연 208 
학생운동의 문학적 재현과 언어의 문제_ 장성규 232 

3부 과거와 현재를 말하다 
민주화 이행과 감정의 역할_ 홍성민 256 
통일운동의 전개과정과 1980년대 학생운동_ 김창수 285 
1986 애학투련, 오늘을 말하다_ 정현곤 307 

글쓴이 소개 326

관련분야 신착자료

연세대학교. 학생운동사 편찬위원회 (2022)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2023)
Rudestam, Kjell Erik (2022)
총신대학교. 100년사 개정위원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