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88960 | |
005 | 20161125174830 | |
007 | ta | |
008 | 161125s2016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58482596 ▼g 93700 | |
035 | ▼a (KERIS)REQ000038093019 | |
040 | ▼a 247009 ▼c 247009 ▼d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410.9 ▼2 23 |
085 | ▼a 410.9 ▼2 DDCK | |
090 | ▼a 410.9 ▼b 2016 | |
100 | 1 | ▼a 권재일 ▼g 權在一, ▼d 1953- ▼0 AUTH(211009)41372 |
245 | 1 0 | ▼a 언어학사강의 / ▼d 권재일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16 | |
300 | ▼a 458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438-444)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9 2016 | Accession No. 1117640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글쓴이가 그동안 ‘말’로 강의한 내용을 그대로 ‘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언어학사는 역사적 연구이다. 역사적 연구란 기본적으로 어떤 현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 주는 연구이다. 그래서 언어학사 연구는, 언어 연구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서술하고, 지금 시대의 언어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언어 연구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언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이 변화한 계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구사의 시대를 구분하고, 연구의 역사적인 흐름을 생명체적으로 기술하여, 연구 사실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계승해 가는 역사적인 모습을 서술하였다.
이 책은 글쓴이가 그동안 ‘말’로 강의한 내용을 그대로 ‘글’로 옮겨 놓은 것이다. 그래서 책이름을 “언어학사연구”라 하지 않고 “언어학사강의”라 하였다. 언어학이라는 학문이 시대가 바뀜에 따라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언어학 연구사, 즉 언어학사이다.
언어학사는 역사적 연구이다. 역사적 연구란 기본적으로 어떤 현상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 주는 연구이다. 그래서 언어학사 연구는, 언어 연구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서술하고, 지금 시대의 언어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언어 연구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언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이 변화한 계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연구사의 시대를 구분하고, 연구의 역사적인 흐름을 생명체적으로 기술하여, 연구 사실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계승해 가는 역사적인 모습을 서술하였다.
언어학사를 통해 보면, 어떤 특정 이론은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라 항상 앞 시대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형성되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앞선 이론을 이해하고 지금 시대의 다양한 여러 이론을 수용한다면 균형 잡힌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언어학사에 대한 폭넓고 올바른 이해는 언어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지향하는 바이다.
이 책을 통하여 언어와 언어 연구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독자들이 언어학사의 발자취를 되살펴, 언어학을 새롭게 이해하고, 나아가서 인류 문화를 발전시키고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총론 제1강 언어학, 그리고 언어학사 제2부 18세기까지의 언어 연구 제2강 고대 서양의 언어 연구 제3강 중세와 근대 서양의 언어 연구 제4강 동양의 언어 연구 제5강 근대 이전 한국의 언어 연구 제3부 19세기의 비교언어학 제6강 고전 비교언어학 제7강 젊은이문법학파 제8강 19세기 언어철학 연구 제4부 20세기의 구조주의 언어학 제9강 20세기 언어학의 성격 제10강 소쉬르의 언어 연구 제11강 유럽의 구조주의 언어학 제12강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 제5부 현대 언어학의 발전 제13강 변형생성문법 이론 제14강 현대 언어학의 다양한 전개 제15강 현대 한국의 언어 연구 제16강 현대 언어학이 나아갈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