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세계 영화 대사전 3판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Nowell-Smith, Geoffrey, 편 이순호, 1956-, 역 김경식, 1956-, 역 이남, 1960-, 역 이영아, 1976-, 역 이유란, 1970-, 역 전찬일, 1961-, 역 주영상, 1967-, 역 허인영, 1964-, 역
서명 / 저자사항
세계 영화 대사전 = The history of world cinema / 제프리 노웰 스미스 책임편집 ; 이순호 외 옮김
판사항
3판
발행사항
파주 :   미메시스,   2015  
형태사항
996 p. : 삽화 ; 25 cm
원표제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ISBN
9791155350386
일반주기
공역자: 김경식, 이남, 이영아, 이유란, 전찬일, 주영상, 허인영  
서지주기
참고문헌(p. 901-923)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otion pictures --Histo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87919
005 20161115151409
007 ta
008 161115s2015 ggka b 001c kor
020 ▼a 9791155350386 ▼g 03680
035 ▼a (KERIS)BIB000013732659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91.43/09 ▼2 23
085 ▼a 791.4309 ▼2 DDCK
090 ▼a 791.4309 ▼b 2015z1
245 0 0 ▼a 세계 영화 대사전 = ▼x The history of world cinema / ▼d 제프리 노웰 스미스 책임편집 ; ▼e 이순호 외 옮김
246 3 1 ▼a History of world cinema
246 1 9 ▼a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246 3 9 ▼a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250 ▼a 3판
260 ▼a 파주 : ▼b 미메시스, ▼c 2015
300 ▼a 996 p. : ▼b 삽화 ; ▼c 25 cm
500 ▼a 공역자: 김경식, 이남, 이영아, 이유란, 전찬일, 주영상, 허인영
504 ▼a 참고문헌(p. 901-923)과 색인수록
650 0 ▼a Motion pictures ▼x History
700 1 ▼a Nowell-Smith, Geoffrey, ▼e
700 1 ▼a 이순호, ▼d 1956-, ▼e▼0 AUTH(211009)105883
700 1 ▼a 김경식, ▼d 1956-, ▼e▼0 AUTH(211009)58788
700 1 ▼a 이남, ▼d 1960-, ▼e
700 1 ▼a 이영아, ▼d 1976-, ▼e
700 1 ▼a 이유란, ▼d 1970-, ▼e
700 1 ▼a 전찬일, ▼d 1961-, ▼e
700 1 ▼a 주영상, ▼d 1967-, ▼e
700 1 ▼a 허인영, ▼d 1964-, ▼e
900 1 0 ▼a 노웰 스미스, 제프리,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9 2015z1 등록번호 111763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 영화의 역사를 백과사전 형식으로 기록한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의 2015년 신판으로, 1895년 무성영화 시절부터 1995년 현대 영화까지 100년의 방대한 영화사를 기록하였다. 각 장마다 그 시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작품, 감독, 배우들의 모습뿐만 아니라 필름, 사운드, 스크린, 렌즈, 카메라 등 기술적 요소들의 발전 과정도 함께 짚고 있다.

영화와 인접 장르, 산업, 사회심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1·2차 세계 대전 이후 권력의 올가미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음울한 시대상과 함께 영화가 지나온 시간의 흔적을 정리하였다. 주요 영화 강대국들의 영화나 영화 운동, 탁월한 몇몇 개인들의 이력에 초점을 맞춰 서술되어 온 기존 세계 영화사들의 피상적인 한계를 저만치 뛰어넘으며 말 그대로의 의미에서 세계 영화사가 다루어야 할 항목들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다.

영화 탄생 100주년에 맞춰 기획된 이 책은 책임 편집자인 제프리 노웰스미스가 전 세계 80명 이상의 영화학자와 영화 평론가들을 참여시켜 '서커스 무대 같은 곳에서 초라하게 시작된 영화가 수백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자 가장 스펙터클하고 창의적인 현대 예술'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포괄적인 시각으로 놀랍도록 생생하게 보여 준다.

전체 원고 분량 1만 장, 색인 항목 1만 개, 본문 1천 페이지
80명의 영화 전문가 참여, 8명의 번역가가 매달린
영화 관람 2억 명 시대를 위한 최고의 영화 기록물

100년의 영화사를 집대성한 최고의 영화 대사전

이 책은 세계 영화의 역사를 백과사전 형식으로 기록한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의 2015년 신판으로, 1895년 무성영화 시절부터 1995년 현대 영화까지 100년의 방대한 영화사를 기록하였다. 제목을 『세계 영화 대사전』로 새롭게 바꾼 이 책은 각 장마다 그 시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작품, 감독, 배우들의 모습뿐만 아니라 필름, 사운드, 스크린, 렌즈, 카메라 등 기술적 요소들의 발전 과정도 함께 짚고 있다. 영화와 인접 장르, 산업, 사회심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1·2차 세계 대전 이후 권력의 올가미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음울한 시대상과 함께 영화가 지나온 시간의 흔적을 정리하였다. 영화 탄생 100주년에 맞춰 기획된 이 책은 책임 편집자인 제프리 노웰스미스가 전 세계 80명 이상의 영화학자와 영화 평론가들을 참여시켜 '서커스 무대 같은 곳에서 초라하게 시작된 영화가 수백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자 가장 스펙터클하고 창의적인 현대 예술'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포괄적인 시각으로 놀랍도록 생생하게 보여 준다.

없어서는 안 될 최대 분량의 영화 안내서
『세계 영화 대사전』은 거의 백과사전적인 서술의 방대함으로 영화사를 둘러싼 정보에 대한 열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 주고 있는데, 주요 영화 강대국들의 영화나 영화 운동, 탁월한 몇몇 개인들의 이력에 초점을 맞춰 서술되어 온 기존 세계 영화사들의 피상적인 한계를 저만치 뛰어넘으며 말 그대로의 의미에서 세계 영화사가 다루어야 할 항목들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다. 1만 개의(색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무수한 인물과 영화, 단체의 숫자 또한 분량이 상당하다) 색인은 영화사 100년의 역사 속에서 벌어진 주요한 모든 사건들을 다룬 결과이며 그 안에는 애니메이션이나 아방가르드, 다큐멘터리 등 영화 산업 외곽의 장르들이라고 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상세한 설명 외에도 영화와 음악의 상관관계, 연작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의 홍보에 끼쳤던 영향, 카메라, 필름, 렌즈, 와이드스크린, 자기 사운드 등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몰고 온 예술적, 산업적 변화, 라디오, TV, 비디오, 케이블, 위성 방송 등 영화 이후에 생겨난 뉴 미디어들의 영화에 대한 영향까지 기존의 영화사에서 충분히 서술하지 못했던 영역까지 『세계 영화 대사전』은 외연을 한껏 넓히고 있다. 또한 본문의 내용과 별도로 132명의 위대한 영화인들에 대한 글이 난외 기사의 형태로 들어 있다. 영화사 기술에서 도저히 누락시킬 수 없는 감독과 배우들 외에도 각 문화권 안에서 커다란 영향을 끼친 영화인들과 여성 감독, 다큐멘터리 제작자, 아방가르드 영화인, 애니메이터, 독립 영화인, 그리고 겉으로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제작자와 촬영 감독, 미술 감독, 극장주, 검열관, 심지어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 각각의 미니 바이오그라피는 대상이 되는 영화인들에 대한 소개뿐만이 아니라 영화라는 매체의 광범위한 속성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다큐멘터리의 요리스 이벤스나 크리스 마르케, 애니메이션의 브와디스와프, 현대 아방가르드 예술의 총아 앤디 워홀 같은 인물들을 통해서는 영화사에서 일반 대중에게 생소한 부분들을 알려줘 영화라는 매체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만드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프리 노웰 스미스(엮은이)

196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영화 이론 분야를 주도해 온 인물 중 한 명이다. 루턴대학교 등 영국과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영화학을 가르쳤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영국영화연구소(BFI: British Film Institute)에서 교육 부문과 출판 부문 책임자로 일하기도 했다. 여러 권의 저서를 쓰고 편집했는데, 그중에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작품을 분석한 ≪정사L’Avventura≫,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메이킹 웨이브즈: 뉴 웨이브, 네오리얼리즘, 1960년대의 뉴 시네마들Making Waves: New Wave, Neorealism, and the New Cinemas of the 1960s≫ 등이 있다.

이영아(옮긴이)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사회교육원 전문 번역가 양성 과정을 이수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걸 온 더 트레인』 『쌤통의 심리학』 『도둑맞은 인생』 『스티븐 프라이의 그리스 신화』 3부작, 『엽란을 날려라』 『신부의 딸』 『숨 쉴 곳을 찾아서』 『익명 작가』 『코미디언스』 등이 있다.

이순호(옮긴이)

홍익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뉴욕 주립 대학에서 서양사를 공부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타타르로 가는 길』, 『살라딘』, 『문신, 금지된 패션의 역사』, 『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미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미국사』, 『가상역사 21세기』, 『살라미스 해전』, 『발칸의 역사』, 『인류의 미래사』, 『페르시아 전쟁』, 『제국의 최전선』, 『불로만 밝혀지는 세상』, 『로마제국 최후의 100년』, 『지중해 5,000년의 문명사』, 『바다의 제국들』, 『인류의 역사』, 『비잔티움』, 『로마제국과 유럽의 탄생』,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위대한 바다』, 『발칸의 역사』, 『현대 중동의 탄생』, 『이슬람제국의 탄생』, 『지리의 복수』, 『스페인 내전,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 『하버드&#8211;C.H.베크 세계사 1870~1945』(공역), 『코드걸스』 등을 번역했다.

이남(옮긴이)

1960년에 태어나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언론대학원 영상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중앙일보 영화 담당 기자로 일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남가주대(USC)에서 영화학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스티그 비에르크만의 『우디가 말하는 앨런』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영상(옮긴이)

1967년에 태어나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했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디지털영상아카데미, 미디어센터 미디액트 등에서 시나리오 강의와 창작 워크숍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한국문화교육진흥원의 영화예술 강사로 일하고 있다. 번역서로 윌리엄 필립스의 『단편영화 시나리오 이렇게 쓴다』, 앤드루 호튼의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마리사 드바리의 『시나리오 쓰기의 마법』 등이 있다.

김경식(옮긴이)

1956년에 태어나 서울대 불어교육과를 졸업했다. 영화 조감독으로 충무로에 입문한 후 영화 기획자로 일하다가 삼성, 현대 그룹의 영화 사업 관련 부서에서 영화 제작 투자, 외화 수입, 배급 등의 일을 했다. 로저 코먼의 『나는 어떻게 할리우드에서 백 편의 영화를 만들고 한 푼도 잃지 않았는가』, 폴 오스터의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다리 위의 룰루』, 『마틴 프로스트의 내면의 삶』, 피터 바트의 『할리우드의 영화 전략』 등을 우리 말로 옮겼다.

이유란(옮긴이)

1970년에 태어나 서울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를 수료했다. 『씨네21』에서 5년간 기자로 일하면서 2년간 「영화사 신문 코너」를 연재했다.

전찬일(옮긴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영화를 즐겨 관람했다. 독문학을 전공하던 대학 2학년 때 영화 스터디에 전격 뛰어들었다. 주간신문 기자를 거친 후 음악평론가 임진모와 의기투합해 서울대 재학 중인 6인조 남성 아카펠라 그룹 ‘인공위성’을 매니지먼트 하던 1993년 11월, 월간 『말』에 기고하며 영화 비평에 투신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로 부산국제영화제(BIFF)에 느슨하게 참여했고, 2009년부터 2016년까지는 프로그래머, 마켓 부위원장, 연구소장으로 그 영화제에 몸담았다. 저서로 평론집 『영화의 매혹, 잔혹한 비평』(2008), 『부산의 문화 인프라와 페스티벌』(공저, 2017), 『호모헌드레드와 문화산업 : 대중문화 백세를 품다』(공저, 2018) 등이, 역서로 『존 레논 1940-1980』(1993) 등이 있다. 2020년 5월 현재,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강원영상위원회 운영위원,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집행위원, 도서출판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 기획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로컬 컬처 플래너 & 커넥터’(Glocal Cuture Planner & Connector)를 표방하며 비평을 넘어 다채로운 문화 프로젝트들을 기획·추진해오고 있다. 지난해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100주년을 기념해 기획·출간한 단행본 『내 삶에 스며든 헤세』(라운더바우트, 2019년 5월 25일)도 그 중 하나다.

허인영(옮긴이)

1964년에 태어나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연극영화학과 대학원을 마쳤다. 공주영상정보대학, 가야대학, 동국대학, 상명대학 등에서 영화 실기 등에 대해 강의헀으며, 전주대 영상학부 겸임교수와 용인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로 일했다. 단편 영화 작업을 10여 편했고, 마틴 메이어의 『아드보카트의 열정 매니지먼트』, 로스 로웰의 『영상 조명 강의』를 번역했으며, 공저로 『영상제작입문』을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무성 영화 1895 ~ 1930초창기할리우드의 부상무성 영화각국의 영화무성 영화 체험 
2 유성 영화 1930 ~ 1960소리스튜디오 시대장르 영화현실 참여각국의 영화2차 대전 이후의 세계 
3 현대 영화 1960 ~ 1995텔레비전 시대의 영화미국 영화경계를 넓혀세계의 영화결론영화의 새로운 개념영화의 부활 
용어 설명참고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