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감하는 뇌 : 거울 뉴런과 철학

공감하는 뇌 : 거울 뉴런과 철학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Rizzolatti, Giacomo Rizzolatti, Giacomo Sinigaglia, Corrado, 1966-, 저 이성동, 역 윤송아, 역
서명 / 저자사항
공감하는 뇌 : 거울 뉴런과 철학 / Giacomo Rizzolatti, Corrado Sinigaglia 저; 이성동, 윤송아 역
발행사항
울산 :   UUP,   2016  
형태사항
221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3 cm
원표제
So quel che fai : il cervello che agisce e i neuroni specchio
ISBN
9788978683890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irror neurons Cognitive neuroscience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86917
005 20161108161127
007 ta
008 161108s2016 uskad VH 001c kor
020 ▼a 9788978683890 ▼g 03510
035 ▼a (KERIS)BIB000014081117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ita
082 0 4 ▼a 612.8/233 ▼2 23
085 ▼a 612.8233 ▼2 DDCK
090 ▼a 612.8233 ▼b 2016z2
100 1 ▼a Rizzolatti, Giacomo
245 1 0 ▼a 공감하는 뇌 : ▼b 거울 뉴런과 철학 / ▼d Giacomo Rizzolatti, ▼e Corrado Sinigaglia 저; ▼e 이성동, ▼e 윤송아 역
246 1 9 ▼a So quel che fai : ▼b il cervello che agisce e i neuroni specchio
260 ▼a 울산 : ▼b UUP, ▼c 2016
300 ▼a 221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3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Mirror neurons
650 0 ▼a Cognitive neuroscience
700 1 ▼a Rizzolatti, Giacomo
700 1 ▼a Sinigaglia, Corrado, ▼d 1966-, ▼e
700 1 ▼a 이성동, ▼e▼0 AUTH(211009)67916
700 1 ▼a 윤송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33 2016z2 등록번호 1117634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거울뉴런의 발견자인 리졸라티와 철학자인 시니갈리아의 공저. 우리 뇌에는 거울뉴런이 있어 인간의 발달과 사회적 학습 및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간은 태생적으로 거울뉴런 덕분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감정적 공감이 이루어진다. 거울 뉴런 이전의 뇌과학에서는 인간의 감각과 운동 및 추상적 이성 능력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하면, 거울 뉴런의 발견 이후에는 인간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책은 거울뉴런의 발견자인 리졸라티와 철학자인 시니갈리아의 공저입니다. 철학자가 공저자인 만큼 거울뉴런이 갖는 여러 다른 의미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번역은 원저 이태리판과 영어 번역본, 그리고 일본어 번역본을 참조하였습니다. 원본과 함께 다른 번역판을 참조하다보니 번역의 재미도 더 하였지만, 때로는 영어번역본과 일본어 번역본의 서로 다른 점을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유명한 신경의학자인 라마찬드란은 거울뉴런의 발견을 DNA의 발견 이래 최대의 업적이라고 평가하면서, 거울뉴런이야말로 인간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길로 접어들게 할 것이라고 예견하였습니다. 최근에 사망한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 역시 거울뉴런과의 연관성을 생각하면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 뇌에는 거울뉴런이 있어 인간의 발달과 사회적 학습 및 적응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인간은 태생적으로 거울뉴런 덕분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감정적 공감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사회적 감정 형성의 바탕을 이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거울 뉴런 이전의 뇌과학에서는 인간의 감각과 운동 및 추상적 이성 능력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하면, 거울 뉴런의 발견 이후에는 인간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은 새로운 인간이해에 뇌과학이 기여할 수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추천사 
감사의 글 
서문 

1장 운동계 
2장 행동하는 뇌 
3장 주위 공간 
4장 행위의 이해 
5장 인간의 거울 뉴런 
6장 모방과 언어 
7장 감정의 공유 

역자후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