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86916 | |
005 | 20161108160647 | |
007 | ta | |
008 | 161108s2016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59334650 ▼g 93070 | |
035 | ▼a (KERIS)BIB000014222628 | |
040 | ▼a 221002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70.44930366 ▼2 23 |
085 | ▼a 070.44930366 ▼2 DDCK | |
090 | ▼a 070.44930366 ▼b 2016 | |
100 | 1 | ▼a Lynch, Jake ▼0 AUTH(211009)109462 |
245 | 1 0 | ▼a 평화 저널리즘 / ▼d 제이크 린치, ▼e 요한 갈퉁 지음; ▼e 김동진 옮김 |
246 | 1 9 | ▼a Reporting conflict : ▼b new directions in peace journalism |
260 | ▼a 서울 : ▼b 선인, ▼c 2016 | |
300 | ▼a 291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46 | ▼a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
700 | 1 | ▼a 김동진, ▼e 역 ▼0 AUTH(211009)23774 |
700 | 1 | ▼a Galtung, Johan, ▼e 저 ▼0 AUTH(211009)53414 |
900 | 1 0 | ▼a 린치, 제이크, ▼e 저 |
900 | 1 0 | ▼a 갈퉁, 요한,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4930366 2016 | 등록번호 1117634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론인 출신 학자인 제이크 린치와 평화학자 요한 갈퉁이 함께 저술한 이 책은 언론이 분쟁 지역을 보도할 때 어떻게 하면 평화를 뉴스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한다. 흔히 폭력은 사건이며 평화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폭탄테러나 총기난사와 같은 폭력은 발생할 때마다 사건이 되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다. 평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 또는 평화를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은 주목을 끌 만한 단기적 사건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이다. 평화 활동이 좀처럼 문지기를 통과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문제는 이런 방식의 뉴스 유통 과정이 지구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왜곡시킨다는 점이다. 매일의 뉴스를 살펴보면 폭력 이야기가 평화 이야기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폭력을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인간 사회가 원래 평화보다는 폭력적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고정관념과 달리 지구 사회에는 폭력보다 평화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다수이다. 주목받지 못하지만 자신의 일상에서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평화 저널리즘은 이들에 주목한다.
언론인 출신 학자인 제이크 린치와 평화학자 요한 갈퉁이 함께 저술한 이 책은 언론이 분쟁 지역을 보도할 때 어떻게 하면 평화를 뉴스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한다. 흔히 폭력은 사건이며 평화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폭탄테러나 총기난사와 같은 폭력은 발생할 때마다 사건이 되지만, 평화는 그렇지 않다. 평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 또는 평화를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은 주목을 끌 만한 단기적 사건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이다. 평화 활동이 좀처럼 문지기를 통과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문제는 이런 방식의 뉴스 유통 과정이 지구 사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왜곡시킨다는 점이다. 매일의 뉴스를 살펴보면 폭력 이야기가 평화 이야기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폭력을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인간 사회가 원래 평화보다는 폭력적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리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거나 우리가 싫어하는 국가는 우리와 가까운 국가에 비해 훨씬 더 폭력적인 곳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평범한 일반 사람이 한 일은 그것이 세계의 중심부였건, 주변부였건 간에 거의 보도되지 않는다.
우리의 고정관념과 달리 지구 사회에는 폭력보다 평화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다수이다. 주목받지 못하지만 자신의 일상에서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평화 저널리즘은 이들에 주목한다.
한반도에서 평화를 위해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이야기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쉽게 파묻혀 버린다. 린치와 갈퉁의 주장처럼 언론이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평화 활동가가 될 수는 없다. 이는 언론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한반도의 주요 언론이 폭력을 현실로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에 좀 더 기회를 준다면, 보다 진정한 현실에 가까운 균형 잡힌 보도가 가능할 것이다. 린치와 갈퉁이 제시하는 새로운 보도의 패러다임 가운데 한반도 평화가 현실로 보도되는 날을 기대한다. (옮긴이 후기 中)
정보제공 :

저자소개
요한 갈퉁(지은이)
TRANSCEND 설립자이자 책임자이며 TRANSCEND 평화대학(TPU) 학장
제이크 린치(지은이)
영국 BBC 뉴스 앵커, 더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스카이 뉴스(Sky News) 특파원으로 일했던 언론인 출신 학자이다. 17년 동안 세계 전역의 분쟁을 보도한 자신의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평화 저널리즘 논의를 이끌고 있다. 현재 시드니 대학교 교수 및 평화분쟁학 센터장이며, 요하네스버그 대학 커뮤니케이션 스쿨의 선임 연구원이다. 국제평화학회(International Peace Research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한 그는 학술활동 외에도 동남아시아, 중동, 발칸반도, 유럽 주요 국가들에서 언론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평화 저널리즘의 실천적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동진(옮긴이)
한신대학교 신학과, 동 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시드니 대학교(University of Sydney)에서 평화학(MLItt, Peace and Conflict Studies)을, 북한대학원 대학교에서 북한학(PhD)을 공부했다. 현재 평화문화연구원 원장,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Trinity College Dublin) 겸임교수(Adjunct Assistant Professor)로 평화 관련 연구 및 강의를 하고 있다. 평화학 관련 다수의 국문 및 영문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한반도 평화구축과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한국신학연구소, 2011), 역서로는 스튜어트 리즈의 「평화를 향한 열정」(삼인, 2011), 존 폴 레더라크의 「평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후마니타스, 2012)가 있다.

목차
ㆍ한국어판 서문 서론 평화 저널리즘 제1장 분쟁 보도: 내리막길과 오르막길 제2장 실천을 이론화하기 커뮤니케이션 제3장 논쟁거리들: 객관성, 공정성, 진실 그리고 윤리 균형 잡힌 보도 / 탐사 보도 / 윤리적 보도 / 좋은 보도 제4장 세계의 갈등을 보도하기 평화 저널리즘: 어떻게 할 것인가? / 평화 저널리즘: 누가 해야 하는가? / 평화 저널리즘 매뉴얼 / 네 가지 평화의 각도 / 사례 연구 제5장 9/11과 10/07에 대한 보도 국가 테러리즘, 합리성과 테러리즘 / 세계의 여론은 어떻게 반응했는가? / 미국 언론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 세계 언론의 반응들 / 설명은 정당화가 아니다 제6장 민주주의, 이라크 전쟁과 영국 언론 공공언론 / 실천적 제안 / 전쟁 프로파간다 / 민주적 결핍 / 평화 저널리즘을 위한 캠페인: 머독으로부터의 실마리 제7장 언론 모니터링 언론 모니터링: 언론 모니터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분쟁 보도를 위한 미슐랭 스타일의 체계: 전 지구적 표준을 향하여 제8장 포스트-연계 매체 환경 평화에게 기회를 / ‘테러리즘’ / 관습주의와 사실주의 / 구조주의 그리고 그 이후 ㆍ감사의 글 ㆍ참고문헌 ㆍ옮긴이 후기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