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요약 15
제1장 교육개혁과 프로젝트 학습 24
제1절 서론 24
제2절 심층학습의 개념 26
1. 고차원적 사고능력의 개발 27
2. 높은 수준의 사회정서 능력의 개발 29
3. 고난도의 행동을 체화하는 능력의 개발 30
제3절 프로젝트 학습의 정의 32
제4절 심층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도입 36
1. 배움의 공동체 37
2. 하브루타(Havruta) 교육 40
3.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41
4. 융합인재교육 44
5. 스마트교육 46
6. 프로젝트 학습 47
제5절 프로젝트 학습을 강조하는 학교의 해외 사례 51
1. New Technology High School 53
2. High Tech High 56
제6절 프로젝트 학습의 확산을 위한 교육개혁 전략 58
1. 프로젝트 학습 학교를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단계적 접근 58
2. 학교별 맞춤형 교사연수 및 컨설팅 체제 구축 60
3. 자유학기제도 및 수행평가제도와의 연계 63
4.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교사 유인체제 강화 66
5.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체제 구축 67
참고문헌 69
제2장 프로젝트 학습의 현장 실천 및 시사점 74
제1절 개요 74
제2절 연수 시행 및 결과 75
1. 연수 개요 75
2. 연수 일정 75
3. 연수 내용 76
4. 연수 결과 분석 97
제3절 컨설팅 시행 및 결과 104
1. 개요 104
2. 컨설팅 전략 104
3. 컨설팅 내용 105
4. 컨설팅 결과 106
제4절 시사점 113
1. 참여 학교분석 113
제5절 제언 및 향후 계획 120
1. 제언 120
2. 향후 진행계획안 125
참고문헌 139
제3장 프로젝트 학습이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영향 140
제1절 서론 140
제2절 한국의 낮은 프로젝트 학습 비중 142
제3절 프로젝트 학습과 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학생의 행복도 146
제4절 TALIS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분석 150
제5절 프로젝트 학습 실험학교 결과에 대한 실증분석 160
제6절 결론 163
참고문헌 166
[부록] 168
제4장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170
제1절 서론 170
제2절 언구설계 172
1. 연구 설계: 프로젝트 학습 교사연수 172
2. 실험학교 및 통제학교 기초통계량 비교 173
제3절 사회적 자본과 측정 도구 177
1.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177
2. 측정 도구 178
제4절 프로젝트 학습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184
1. 경제실험 및 친구연결망 기초통계량 185
2. 프로젝트 학습 효과 분석 187
제5절 결론 195
참고문헌 197
제5장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인지역량에 미치는 영향 199
제1절 서론 199
제2절 선행연구 201
제3절 분석 결과 204
1.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204
2. 인지역량에 미친 영향 208
제4절 결론 210
참고문헌 212
ABSTRACT 213
판권기 219
표목차
〈표 1-1〉 교육목표 분류법(인지적 영역) 28
〈표 1-2〉 지식 차원에 따른 인지과정을 표현하는 동사의 예시 28
〈표 1-3〉 사회정서 학습의 목표(미국 알래스카의 앵커리지 교육구) 30
〈표 1-4〉 교육목표 분류법(정의적 영역) 30
〈표 1-5〉 교육목표 분류법(심체적 영역) 31
〈표 1-6〉 심층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국내 현황 49
〈표 2-1〉 과학 협업 결과물 81
〈표 2-2〉 융합 협업 결과물 1 82
〈표 2-3〉 융합 협업 결과물 2 83
〈표 2-4〉 수학 협업 결과물 84
〈표 2-5〉 기술ㆍ가정 협업 결과물 88
〈표 2-6〉 과학 협업 결과물 89
〈표 2-7〉 영어 협업 결과물 90
〈표 2-8〉 수학 협업 결과물 91
〈표 2-9〉 도덕 협업 결과물 92
〈표 2-10〉 체육 협업 결과물 97
〈표 2-11〉 학교별 컨설팅 담당 인력 구성 104
〈표 2-12〉 A중학교 직위별 교원 현황 114
〈표 2-13〉 B중학교 직위별 교원 현황 114
〈표 2-14〉 학교 특성 비교를 통한 이해 119
〈표 3-1〉 프로젝트 학습 비중과 교사의 자기효능감 147
〈표 3-2〉 기술통계 151
〈표 3-3〉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회귀분석(모형 1) 154
〈표 3-4〉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회귀분석(모형 2) 156
〈표 3-5〉 교사의 교수학습법 관련 자기효능감에 대한 회귀분석 157
〈표 3-6〉 학샘 참여ㆍ몰입 관련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회귀분석 158
〈표 3-7〉 학습환경관리 관련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회귀분석 159
〈표 3-8〉 프로젝트 학습 교사 설문조사 160
〈표 3-9〉 실험학교 및 통제학교 간 교사 특성 비교 161
〈표 3-10〉 교사의 자기효능감 분석 162
〈표 4-1〉 프로젝트 학습 연구 설계 172
〈표 4-2〉 실험학교와 통제학교의 사전 특성 비교(1) 174
〈표 4-3〉 실험학교와 통제학교의 사전 특성 비교(2) 175
〈표 4-4〉 실험학교와 통제학교의 사후 후속조사 불참 여부 비교 176
〈표 4-5〉 각 게임의 학교별/시점별 기초통계량 186
〈표 4-6〉 각 친구연결망 변수의 학교별/시점별 기초통계량 186
〈표 4-7〉 실험학교-통제학교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0
〈표 4-8〉 A중학교-통제학교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1
〈표 4-9〉 B중학교-통제학교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2
〈표 4-10〉 실험학교-통제학교 네트워크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3
〈표 4-11〉 A중학교-통제학교 네트워크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4
〈표 4-12〉 B중학교-통제학교 네트워크 이중차분 분석 결과 194
〈표 5-1〉 학업성취도 기초통계량 205
〈표 5-2〉 프로젝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이중차분 분석) 206
〈표 5-3〉 프로젝트 학습이 하위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삼중차분모형) 207
〈표 5-4〉 인지역량 기초통계량 209
〈표 5-5〉 프로젝트 학습이 인지역량에 미친 영향 210
그림목차
[그림 1-1] 인지영역 발달 단계 27
[그림 1-2] 교사 전문성 개발의 적합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중 61
[그림 1-3] 교사 전문성 개발활동에서 Active Learning 활용 비중 62
[그림 1-4] 교사 전문성 개발활동에서 교사들과의 협력학습 및 연구 활동 비중 62
[그림 1-5] 학생평가 - 성적과 별도로 서면으로 피드백 제공 65
[그림 1-6] 학생평가 - 학생 관찰 후 즉시 피드백 제공 65
[그림 2-1] A중학교 국가학업성취도평가 결과 118
[그림 2-2] B중학교 국가학업성취도평가 결과 118
[그림 2-3] 대구 경신중 국가학업성취도평가 결과 119
[그림 2-4] 프로젝트 학습 형식과 내용의 비유 121
[그림 2-5] 프로젝트 학습 수업을 통한 일반 수업 개선 123
[그림 2-6] 프로젝트 학습 수업효과 달성과정 126
[그림 2-7] 연수 계획 및 일정 128
[그림 2-8] 프로젝트 수업 포털 화면 예시 129
[그림 2-9] 2013 교육전문직 임용예정자과정 연수방법 분포 130
[그림 2-10] 신임교육전문직 역량강화과정 연수방법 분포 131
[그림 3-1] 수학 수업의 프로젝트 학습 학생 비중 144
[그림 3-2] 프로젝트 학습 비중 145
[그림 3-3] 프로젝트 학습 비중과 교사의 자기효능감 147
[그림 3-4] 교사의 임금과 자기효능감 148
[그림 3-5] 프로젝트 학습 비중과 학생의 행복감 149
[그림 3-6] 학생의 PISA 성적과 행복감 149
[그림 4-1] 실험 시 사용한 분배 게임 의사결정지 180
[그림 4-2] 실험 시 사용한 학교기부 게임 의사결정지 181
[그림 4-3] 실험 시 사용한 공공재 게임 의사결정지 182
[그림 4-4] A중학교-통제학교 실험 결과 비교 187
[그림 4-5] B중학교-통제학교 실험 결과 비교 188
부표목차
〈부표 3-1〉 TALIS 조사의 교수학습법 관련 자기효능감 168
〈부표 3-2〉 TALIS 조사의 학생 참여ㆍ몰입 관련 자기효능감 168
〈부표 3-3〉 TALIS 조사의 학습환경관리 관련 자기효능감 169